• 제목/요약/키워드: Hepatitis B e Antigen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Phylogenetic Analysis of Hepatitis B Virus Genome Isolated from Korean Patient Serum

  • Kim, Seon-Young;Kang, Hyen-Sam;Kim, Yeo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6호
    • /
    • pp.823-828
    • /
    • 2000
  • The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of hepatitis B virus DNA isolated from Korean patient serum was determined and characterized, and its phylogenetic relation was then investigated. The viral genome was 3,215 base pairs long and included four well known open reading frames (i.e. surface antigens, core antigens, X protein and DNA polymerase). The sequence of the surface antigen showed that the HBV genome under investigation, designated HBV 315, was characteristic of subtype adr. A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total genome sequence revealed that HBV315 was grouped into genomic group C together with isolates from Japan, China, Thailand, Polynesia, and New Caledonia. The mean percent similarity between HBV315 and other HBV isolates in genomic group C was 97.25%, and that with other genomic groups ranged from 86.16% to 91.25%. The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s of HBV315 were compared with two closely related subtype adr isolates, M38636 and D1298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X gene product was identical in the three strain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amino acid sequence differences between HBV315 and M38636 in the Pre-S1 and Pre-S2 regions.

  • PDF

Efficient Induction of Th1-type Immune Responses to Hepatitis B Virus Antigens by DNA Prime-Adenovirus Boost

  • Lee, Chang-Geun;Yang, Se-Hwan;Park, Su-Hyung;Song, Man-Ki;Choi, So-Young;Sung, Young-Chul
    • IMMUNE NETWORK
    • /
    • 제5권1호
    • /
    • pp.1-10
    • /
    • 2005
  • Background: Chronic infection with hepatitis B virus (HBV) affects about 350 million people worldwide, which have a high risk of development of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Treatment of chronic HBV infection relies on IFN-${\alpha}$ or lamivudine. However, interferon-${\alpha}$ is effective in only about 30% of patients. Also, the occurrence of escape mutations limits the usage of lamivudine.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ew compounds or approaches are urgent. Methods: We comparatively evaluated DNA and adenoviral vaccines expressing HBV antigens, either alone or in combined regimens, for their ability to elicit Th1-type immune responses in Balb / c mice which are believed to be suited to resolve HBV infection. The vaccines were tested with or without a genetically engineered IL-12 (mIL-12 N220L) which was shown to enhance sustained Th1-type immune responses in HCV E2 DNA vaccine. Results: Considering the Th1-type cytokine secretion and the IgG2a titers, the strongest Th1-type immune response was elicited by the DNA prime-adenovirus boost regimen in the presence of mIL-12 N220L. In addition, the codelivery of mIL-12 N220L modulated differentially the immune responses by different vaccination regimen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NA prime-adenovirus boost regimen in the presence of mIL-12 N220L may be the best candidate for HBV vaccine therapy of the regimens tested in this study and will be worthwhile being evaluated in chronic HBV patients.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Hepatitis B Virus preS1 Humanized Antibody that Binds to the Essential Receptor Binding Site

  • Wi, Jimin;Jeong, Mun Sik;Hong, Hyo J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7호
    • /
    • pp.1336-1344
    • /
    • 2017
  • Hepatitis B virus (HBV) is a major cause of liver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recent identification of HBV receptor, inhibition of virus entry has become a promising concept in the development of new antiviral drugs. To date, 10 HBV genotypes (A-J) have been defined. We previously generated two murine anti-preS1 monoclonal antibodies (mAbs), KR359 and KR127, that recognize amino acids (aa) 19-26 and 37-45, respectively, in the receptor binding site (aa 13-58, genotype C). Each mAb exhibited virus neutralizing activity in vitro, and a humanized version of KR127 effectively neutralized HBV infection in chimpanzees. In the present study, we constructed a humanized version (HzKR359-1) of KR359 whose antigen binding activity is 4.4-fold higher than that of KR359, as assessed by competitive ELISA, and produced recombinant preS1 antigens (aa 1-60) of different genotypes to investigate the binding capacities of HzKR359-1 and a humanized version (HzKR127-3.2) of KR127 to the 10 HBV genotypes. The results indicate that HzKR359-1 can bind to five genotypes (A, B, C, H, and J), and HzKR127-3.2 can also bind to five genotypes (A, C, D, G, and I).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antibodies can bind to eight genotypes (A-D, G-J), and to genotype C additively. Considering that genotypes A-D are common, whereas genotypes E and F are occasionally represented in small patient population,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antibodies might block the entry of most virus genotypes and thus broadly neutralize HBV infection.

소아 만성 B형 간염에서 라미부딘 치료의 3년 누적 치료 반응과 장기 지속성 (Three Years' Cumulative Therapeutic Efficacy and Long-term Durability of Lamivudine in Korean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 장유철;조민현;최병호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2호
    • /
    • pp.197-207
    • /
    • 2004
  • 목적: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아들에게 라미부딘으로 치료 시작 후 그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소아에서 라미부딘 장기 치료의 지속성과 안정성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만성 B형 간염으로 라미부딘 치료를 시작한 후 2004년 9월 현재까지 최소 6개월 이상 치료한 48명(남 31, 여 17명, 1~18세, 평균 8세)을 대상으로 29개월(8~66개월) 추적 관찰하면서 연구를 시행하였다. 치료에 대한 효과는 치료 시작 후 혈청 ALT 치의 정상화와 HBV DNA의 음전 및 HBeAg/anti-HBe로의 혈청전환을 모두 만족할 때 치료반응이 있다고 정의하였다. Kaplan-Meier법을 이용한 누적 HBeAg 혈청전환율을 치료 시작 0.5, 1, 1.5, 2, 2.5, 3년에서 구하였다. 결과: 라미부딘으로 치료 시작 후 0.5년이 경과한 48명 중 치료 반응은 29명(60%)에서 보였고 9명(19%)에서는 HBsAg의 소실도 일어났다. 치료 시작 1년째 ALT치가 정상화된 환아는 94%, HBV DNA치가 음전된 환아는 94%, HBeAg 혈청전환까지 되어 치료 반응이 있던 환아는 34%였다. Kaplan-Meier법에 의한 누적 HBeAg 혈청전환율은 0.5, 1, 1.5, 2, 2.5, 3년째에 각각 13, 34, 50, 68, 79, 90%로 계산되었다. 특히 7세 미만의 소아 22명 중에서는 HBsAg의 소실이 8명(36%)에서 일어나 7세 이상에서 치료를 시작하는 것에 비하여 탁월한 성적을 보여주었다(p=0.002). 결론: 한국의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아에서 라미부딘의 장기 치료는 HBeAg 혈청전환을 가속화 시키며 3년 동안 추적 관찰 결과 장기적으로 치료 반응이 지속되었다. 소아 만성 간염의 경과 관찰 중 면역제거기에 들어서면 라미부딘으로 장기간 적극적인 치료를 시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아에서 라미부딘과 알파 인터페론의 치료효과 비교 : 치료 시작 후 2년 경과 시점 비교 (Comparison of Therapeutic Efficacy between Lamivudine and Alpha-Interferon in Korean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at Two Years after the Initiation of Treatment)

  • 최병호;장유철;장창환;오기원;이준화;고철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호
    • /
    • pp.55-62
    • /
    • 2005
  • 목 적 :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아들에게 인터페론 또는 라미부딘으로 치료 후 그 치료효과를 치료 시작 후 2년 경과 시점에서 비교해 보고 소아에서 라미부딘의 장기 치료효과와 안정성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9월부터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만성 B형 간염으로 치료를 시작한 후 2004년 6월까지 2년이 경과한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23명은 알파 인터페론으로, 나머지 21명은 라미부딘으로 치료하면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인터페론 치료군과 라미부딘 치료군 사이에 성비, 나이, 치료 전 혈청 ALT 및 HBV DNA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에 대한 효과는 치료 시작 2년 후 혈청 ALT 치의 정상화와 HBV DNA의 음전, HBsAg 소실 및 HBeAg 혈청전환 여부에 따라 결정하였다. 결 과 : 인터페론으로 치료한 23명 중 2년 경과 후 ALT치가 정상화된 환아는 10명(43%), HBV DNA치가 음전된 환아는 12명(52%), HBsAg이 소실된 환아는 1명(4%), HBeAg 혈청전환된 환아는 9명(39%)이었다. 이에 비해 라미부딘으로 치료한 21명에서는 각각 20명(95%), 19명(90%), 5명(24%), 13명(62%)이었다. 특히 라미부딘 치료군 중에서 7세 미만의 어린 환아 8명에서는 HBeAg 및 HBsAg 혈청전환이 각각 6명(75%)과 5명(63%)에서 일어나서 인터페론 치료군에 비해 좋은 치료효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유아기에 치료를 시작한 경우 7세 이상에 비해 HBsAg 소실이 유의하게 더 잘 일어났다. 결 론 : 한국의 소아 만성 B형 간염 환아에서 라미부딘의 장기 치료효과는 알파 인터페론에 비해 우수한 편이었고 부작용도 적었다.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liver fibrosis grade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nd normal transaminases

  • Cristina, San Juan Lopez;Marta, Casado Martin;Mercedes, Gonzalez Sanchez;Almudena, Porcel Martin;Alvaro, Hernandez Martinez;Luis, Vega Saenz Jose;Tesifon, Parron Carreno
    • 대한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4-391
    • /
    • 2018
  • Backgrounds/Aims: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the epidemiological, laboratory, and s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and normal transaminases. The study also aimed to evaluate liver damage by measuring the liver fibrosis (LF) grade and to identify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fibrosis. Method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and classified as inactive carriers or immune-tolerant. Epidemiological variables of age, sex, immigrant, alcohol consumption, and body mass index (BMI), as well as virological variables (HBV DNA) and transaminase level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follow-up. The LF grade was evaluated by transient elastography. The cutoff value for significant fibrosis (SF) was liver stiffness ${\geq}7.9kPa$. Results: A total of 214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62% of them had a BMI ${\geq}25kg/m^2$. During follow-up, 4% of patients showed transaminase elevation (<1.5 times normal). Most patients had a viral DNA level <2,000 IU/mL (83%). Data on LF were available in 160 patients; of these, 14% had SF, 9% F3, and 6% F4.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SF were transaminase alteration during follow-up, as 23% of patients with SF had elevated transaminases versus 3% of patients without SF (P<0.005), and BMI, as the vast majority of patients with SF (88%) had a BMI ${\geq}25kg/m^2$ versus 56% of patients without SF (P<0.05).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and normal transaminases, liver damage does not seem to be related to DNA levels, alcohol consumption, or immigrant status. SF seems to be associated with transaminase alteration during follow-up and elevated BMI.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o measure LF grade with validated non-invasive methods in such patients.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소아청소년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적절 치료 기간 결정을 위한 장기 치료 경험 (Clinical Experience with Long-term Lamivudine Therapy to Determine the Adequate Duration of Trea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 김정미;홍석진;최병호;추미애;조승만;최병호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1호
    • /
    • pp.23-29
    • /
    • 2009
  • 목 적: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적절한 치료 기간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 보고된 바 없다. 저자 등은 라미부딘의 장기 치료 효과를 분석하여 HBeAg 음성 소아 만성 B형 간염의 적절한 치료 기간을 결정하는데 예비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9년 7월부터 2006년 8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받은 83명 중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되어 라미부딘 치료를 시작하였던 환자 7명 중 2년 이상 경과한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모두 혈청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었다. 라미부딘을 3 mg/kg (최대 100 mg)으로 매일 1회, 최소 2년 이상 경구 투여하였다. HBV DNA의 소실과 혈청 ALT 수치의 정상화를 1차 목표로 하였고 라미부딘 종료 후 관해 유지를 최종 목표로 하였다. 라미부딘은 HBV DNA의 음전화 및 ALT치의 정상화 후 2년 이상 추가 투여하기로 하였다. 치료 시작 후 매 2~3 개월 마다 HBV DNA, 혈청 ALT, HBeAg과 anti-HBe 역가의 변화 추이를 조사하였다. 결 과: 라미부딘 치료 기간은 평균 32.3개월(26~40개월)이었고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59.5개월(26~110개월)이었다. 라미부딘 치료를 받은 모든 환자에서 3개월 이내에 HBV DNA가 0.5 pg/mL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2005년 이후에 치료를 시작한 환자는 3명이었는데 3명 모두에서 3~23개월에 0.007 pg/mL (=357 IU/mL)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ALT치 정상화에 걸린 기간은 6명의 환자에서 평균 3.5개월(2~7개월)이었다. 라미부딘으로 치료한 환자 중 5명은 HBV DNA PCR에서 357 IU/mL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한 명의 환자에서 18개월에 생화학적 돌파현상(breakthrough)이 관찰 되어 28개월째에 투여를 중단하였다. 라미부딘 치료가 종료된 4명에서 평균 23.8개월(4~75개월)동안 추적 관찰하였지만 재발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 론: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은 효과적으로 HBV 증식을 저지할 뿐 아니라 혈청 ALT치를 정상화시켰다. 치료 종료 후의 재발률을 낮추기 위해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적절 치료 기간은 HBV DNA 음전 및 혈청 ALT치 정상화 후 2년 추가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내면항원의 발현 및 분비 (Expression and Secretion of Hepatitis B Viral Mutant Core Antigen)

  • 김용석;김성기;노현모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9-175
    • /
    • 1989
  • 포유동물 세포내에서 간염 바이러스의 내면항원의 발현과 전위내면 항원(precore) 부위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고등동물세포 발현용 벡터에 전위내면항원 부위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내면항원 유전자를 클로닝 하여 COS 세포내에서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전위내면항원 부위를 포함한 내면항원 유전자를 갖는 플라스미드로감염시킨 COS 세포는 항원들이 세포추출물과 배양액에서 검출되었다. 분비된 항원의 증가율은 감염후 2일과 3일 사이가 가장 높았고, 부분결실된 제조합 플라스미드 중 내면항원의 ATG codon에서 180bp 떨어진 것이 가장 발현이 잘 되었다. 전위내면항원을 갖지 않거나 하나의 염기가 첨가되어 변형된 전위내면항원을 갖는 제조합 플라스미드의 경우 항원들이 세포 추출물에서만 검출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전이내면항원 부위가 HBe 항원의 분비에 관여 한다는 경우 항원들이 세포 그러나 대장균이나 효모 세포의 경우는 전위내면항원의 존재와 상관없이 항상 세포추출물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 세포의 경우에서는 전위내면항원 부위가 HBe 항원의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없음을 의미한다.

  • PDF

1998년 한국인 성인에서 혈청 HBsAg 양성률 추정을 위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Seropositivity of HBsAg among Biennial Health Examinees ; A Nation-wide Multicenter Survey)

  • 김대성;김영식;김재용;안윤옥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2호
    • /
    • pp.129-135
    • /
    • 2002
  • 목적 : 1998년 한국인 성인에서의 혈청 HBsAg의 양성률을 추정하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하며, HBsAg 양성률의 연령별로 분포, 지역적 차이, 과거 간질환력, 만성간질환 가족력 및 예방접종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또한 양성자를 6개월간 추적후 재검사 하여 B형 간염의 만성보균율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을 이차적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 1998년 전국 10개 지역에서 의료보험관리공단의 정기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하여 HBsAg의 혈청유병률을 조사하였다. HBsAg 양성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6개월 이상 추적조사하여 B형간염 만성보균율을 파악하였다. 총 1,816명에 대한 혈청과 설문서가 수집되었다. HBsAg는 RIA로 측정하였다. 결과 : HBsAg의 혈청유병률은 5.5%(95% CI-4.5-6.6)였으며 남자에서 7.4%(95% CI=5.8-9.4), 여자에서 3.6%(95% CI=2.5-5.0)로 나타났다. 급성간질환 과거력과 만성간질환 가족력을 HBsAg 혈청검사결과와 비교한 결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BsAg 양성자에서 6개월 후에 음성으로 전환한 사람은 3.2%(95% CI=0.1-16.7)였으며 따라서 B형간염의 만성보균율은 5.3%(95% CI=3.7-6.6)로 추정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에서는 HBsAg의 양성률이 1980년대의 연구결과들에 비하여 비교적 낮게 추정되었으며 이는 특히 여성과 젊은 연령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의 간암 및 만성간질환의 공중보건학적 중요성을 고려하면 지속적인 간염발생의 예방대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