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ns

검색결과 735건 처리시간 0.031초

산란계사의 계란 이송단계에 따른 파란발생 실태분석 (Analyses on the Status of Eggshell Breakage in the Step of Egg Conveyer System of the Laying Hen House)

  • 오권영;유병기;노진상;최동수;최광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7-52
    • /
    • 2008
  • 1. 조사농장의 산란율은 하이라인, 이사브라운 모두 $85{\sim}93%$ 수준 이였으며, 농가자체 파란율은 하이라인 $1.5{\sim}2.2%$, 이사브라운 $1{\sim}1.4%$이었다. 2. 계란 이송단계별 파란발생비율은 집란벨트 4.7%> 엘리베이터 2.5%> 선란기 1.7%> 컨베이어 0.9% 순 이었다. 3. 집란벨트에서 엘리베이터로 이송 중 계란이송가이드를 설치할 경우 약 1%의 파란경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하이라인 브라운은 주령이 높아지면서 파란율은 높아지고, 파각력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계수 분석 유의성은 $R^2=0.7$로 파각력의 변화가 파란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이사브라운에서는 환우 전에 비하여 환우 후 파각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6. 난각 두께와 파각력, 그리고 접촉 후 파각변위와 파각력과의 관계에서 이들 함수의 변수간에 회귀관계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미역첨가 사료가 계란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daria pinnatifida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gg)

  • 조길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7-122
    • /
    • 2005
  • 미역이 산란계의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기존 일반 양계사료(대조구)에 미역을 $5\%(A)$, $10\%(B)$$15\%(C)$ 첨가하여 생산한 계란의 일반성분, 무게, 색깔, 무기질, 총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역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의 감소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계란의 무게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특히 난백에서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난황 및 난백의 색깔은 검붉은 색으로 변화하는 경향이고, 특히 난황에서의 색깔 변화는 명확하고 유의 차가 인정되었다. 칼슘 함량은 $266.5\;mg\%$에서 $286.6\;mg\%$로, 철 함량은 $4,1\;mg\%$에서 $7.2\;mg\%$로, 칼륨 함량은 $360.5\;mg\%$에서 $430.6\;mg\%$로 각각 증가하였으나, 인의 함량은 $187.5\;mg\%$에서 $134.2\;mg\%$로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1828.3\~1850.2\;mg\%$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이고, $\omega6$ 지방산은 $0.9\%$에서 $2.5\%$로, $\omega6$ 지방산은 $14.2\%$에서 $17.6\%$로, 그리고 필수지방산 함량은 $14.5\%$에서 $18.4\%$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급격한 사육환경의 변화가 가금의 생산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Unexpected Change in Housing Environment on Stress in Poultry)

  • 김지민;윤형숙;황보종;김상호;최양호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3-19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한 사육환경의 변화가 가금의 생산성과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한달 이상 사육실에서 방사된 하이라인 갈색 산란계를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반을 계속해서 같은 방사환경에서, 다른 나머지 반을 관행 케이지에서 수용하여 사육하였다. 이러한 갑작스런 사육환경의 변화는 산란율 그리고 농후난백의 높이를 증가시켰고 (P<0.05), Haugh unit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P<0.061). 그러나 난각두께는 감소되었고 (P<0.05), 난각색은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환경변화 후 5일간산란계의 체중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실험 종료시에 측정된 간의 색도에도 차이가 없었다. 관행 케이지로 이동된 다음날 혈장 corticosterone 농도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지만 (P<0.05), 5일째에는 대조구의 수준과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급격한 사육환경의 변화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사사한다. 그러나 제한된 실험조건 때문에 생산성에 관한 결과의 해석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Anti-Helicobacter pylori IgY의 안전성 및 임상적 효과 (The Safety and Clinical Test of Anti-Helicobacter pylori IgY)

  • 정순희;김현주;이수원;류영수;박형석;이남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5-471
    • /
    • 2005
  • 본 연구는 H. pylori를 산란계에 과면역시켜서 얻은 anti-H pylori IgY난황 분말의 안전성과 위염 환자에 있어서 H. pylori에 대한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nti-H. pylori IgY난황 분말의 안전성 실험은 급성 독성실험과 아급성 독성실험으로 알아보았다. 급성 독성 실험시 식이섭취나 성장 모두 정상적이었고, 마우스의 체중(kg)당 400mg까지 투여했을 때 이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아급성 독성실험에서 외관상의 이상현상은 관찰할 수 없었고, 혈청의 CBC 검사에서 백혈구 수치도 정상적이었다. 그리고 소화기관과 간조직의 병리학적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로 미루어 anti-H pylori IgY난황분말은 독성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임상실험에서는 WSF 분말 급이군의 UBT 수치는 58.65에서 35.33으로 약 23.31 감소하였으며, anti-H pylori IgY 난황분말 혼합 급이군의 UBT 수치는 47.77에서 28.81로 약 17.95 감소 효과를 보였다. WSF 분말 급이군은 anti-H. pylori IgY 난황분말 혼합 급이군보다 UBT 수치의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임상실험에서 anti-H, pylori IgY는 H. pylori의 억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난황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조성에 관한 서로 다른 지방의 첨가 효과 (Effects of Dietary Fats on the Cholestero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 강환구;김겸헌;박병성;장애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7-524
    • /
    • 2006
  • 계란 품질,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에 관한 산란계 사료 내 서로 다른지방의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36주령의 Hyline brown 산란계 총 200수(4처리구${\times}$50수/반복)를 공시하여 우지, 옥수수유, 아마인유 및 어유를 각각 5.0% 함유하는 실험사료를 10주간 급여하였다. Haugh unit, 파란 강도, 난각 두께 및 난황색에 대한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첨가지방은 계란 콜레스테롤 함량과 고도 불포화지방산 조성을 현저하게 변화시켰다. 난황의 n-6지방산 함량은 옥수수유 첨가구가 31.61%로써 가장 높았고 우지, 아마인유 및 어유 첨가구순으로 낮았으며, n-3 지방산 함량은 아마인유와 어유 첨가구가 각각 9.74%, 5.16%로써 유의적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p<0.05). 난황지방 산 조성의 n-3지방산 증가는 계란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를 초래하였다. 난황 콜레스테롤(mg/g yolk) 및 계란 콜레스테롤(mg/60g egg) 범위는 각각 $15.98{\sim}18.37mg$$227{\sim}261mg$으로써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어유, 아마인유 및 옥수수유 첨가구 순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난황 콜레스테롤의 감소율은 우지 첨가구와 비교하였을 때 어유 13.01%, 아마인유 11.49% 및 옥수수유 6.91%로써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는 산란계 사료 내 첨가되는 지방급원을 조절해 줌으로써 계란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으며 n-6와 n-3 지방산을 난황으로 축적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해준다.

The Effects of Dietary Soybean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or Bacillus natto on Egg Production and Egg Lipid Composition in Layer

  • Hong, Hee-Ok;Abanto, Oliver D.;Kim, Ki-Hyun;Nam, Ki-Taeg;Son, Jong-Youn;Jung, Woo-Suk;Nam, In-Sik;Hwang, Seong-G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09-61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low grade soybean,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FSB 1) or Bacillus subtilis var. natto (FSB 2), on egg production and quality, fat and cholesterol content, and the fatty acid (FA) profile of eggs by lipid layer. A total of 18 Hi-Line strain layers, 22 wk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no fermented soybean (control), control with 15% FSB 1 (C + FSB 1), and control with 15% FSB 2 (C + FSB 2). The rate of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were evaluated between two periods: one was from the 1st to 4th wk and the other was from the 5th to 8th wk. At the 8th wk, a total of 30 egg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treatment group and analyzed for physical quality, fat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egg production was increased in hens fed with diets containing fermented soybeans from the 5th to 8th wk period (p<0.01). A similar tendency was observed through eight weeks' cumulative egg production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 production between the C + FSB 1 and C + FSB 2 treatment groups (p>0.05). Egg weight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did not vary between treatment groups (p>0.05). Egg yolks among different treatment groups were similar in fat content, but egg yolks in the C + FSB 1 and C + FSB 2 groups had lower oleic acid (p<0.05), higher linoleic, ${\alpha}$-linolenic, and arachidonic acids (p<0.01), and lower cholesterol content (p<0.05)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low grade soybeans might be useful as a functional feedstuff to improve egg production and quality for a healthy human diet.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staxanthin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in Layers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 Yang, Y.X.;Kim, Y.J.;Jin, Z.;Lohakare, J.D.;Kim, C.H.;Ohh, S.H.;Lee, S.H.;Choi, J.Y.;Chae, B.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7호
    • /
    • pp.1019-1025
    • /
    • 2006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separately to study the effect of astaxanthin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In Experiment 1, four hundred Brown Hy-Line layers, 26 weeks of ag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treatments according to a single factorial arrangement. Each treatment had four replicates comprising 20 birds each. The dietary treatments were: 0, 0.7, 0.9, 1.1 and 1.3 ppm of astaxanthin fed for 14 days. Then all the birds were fed an astaxanthin-free diet (0 ppm astaxanthin) for an additional 7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dietary astaxanthi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ayer production perform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p>0.05) on egg weight, yolk height and Haugh unit (HU) with increasing dietary astaxanthin level and increased storage time. Yolk color was linearly increased (p<0.01) with the increasing dietary astaxanthin level and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storage time (p<0.05). The TBARS value in yolk decreased linearly (p<0.05) with increasing amount of dietary astaxanthin and storage time. When the diets were replaced with the astaxanthin-free feeds, all parameters concerning egg qual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days of measurement, especially the yolk color, and HU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experiment 2, thirty-six barrows ($L{\times}Y{\times}D$), $107{\pm}3.1kg$ BW,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treatments according to a single factorial arrangement. Each treatment had three replicates comprising 4 pigs each. The dietary treatments were: 0, 1.5 and 3.0 ppm of astaxanthin fed for 14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dietary astaxanthi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production performance. There was a linear effect (p<0.05) on dressing percentage, backf.at thickness and loin muscle area with increasing dietary astaxanthin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p>0.05) on the TBARS value, drip loss, meat color, marbling and $L^*$, $a^*$, $b^*$ values.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meat was not affected by dietary addition of astaxanthin. It could be concluded that astaxanthin supplementation was beneficial to improve egg yolk color; egg quality during storage and it also could improve the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Effects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on Production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Cheon, Y.J.;Lee, H.L.;Shin, M.H.;Jang, A.;Lee, S.K.;Lee, J.H.;Lee, B.D.;Son, C.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1318-1323
    • /
    • 2008
  •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is a completely new feed ingredient in the Korean feed market. There is an ever increasing need for the Korean feed industry to import and make the best of it as a high protein and high energy feed ingredient. A layer feeding trial was conducted for 10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light-colored DDGS to layer diets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ies and yolk fatty acid composition. Also, the economics of using DDGS in the Korean situation was analyzed. Nine hundred Hy-line Brown layers, 24 weeks of age, were employed in a feeding trial consisting of four dietary treatments (0, 10, 15, and 20% DDGS), and five replicates per treatment. All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as iso-protein (17%) and iso-calorie (TMEn 2,780 kcal/kg). The use of DDGS up to 20% in layer diets did not exert any influence on feed intake, laying rate, total egg mass, mean egg weight and feed conversion ratio (p>0.05). The color and breaking strength of eggshell, as well as the albumin height and Haugh unit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DDGS up to 20% in the diet. The yolk col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DDGS supplementation (p<0.05). As the DDGS level increased, the oleic acid content decreased, and the linoleic acid increased (p<0.05) in egg yolk. The degree of saturation of yolk fatty acids was not affected by DDGS supplementation. The inclusion of light-colored DDGS up to 20% in layer diets resulted in a decrease of feed cost per kg without any undesirable effect on laying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light-colored DDGS (L* 56.65) could be used up to 20% in layer diets without any harmful effect on laying performance, and possibly provide economic benefits to the Korean poultry industry.

HACCP 적용 농장의 병원성 세균 관리수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agement Level of Pathogenic Bacteria in HACCP System Implemented Animal Farms)

  • 이지윤;이주연;백승희;황인진;이경순;김영수;김병훈;김현수;강수철;조재진;박민서;석희진;남인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67-74
    • /
    • 2011
  • 본 연구는 한우, 젖소, 돼지, 산란계 HACCP 적용 농장의 분변, 원유 및 사육환경에서 병원성세균 등 분석을 통하여 HACCP 적용 농장의 생물학적 위해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고 이를 농장 HACCP 시스템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자료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생물 시료는 HACCP을 적용 중인 한우, 젖소, 돼지, 산란계농장의 축사바닥분뇨, 퇴비사, 원유탱크, 집란기, 분변 벨트 등에서 채취 하였으며 축산식품의 생물학적 위해인 Pathogenic E. coli, Salmonella spp. S. aureus 등을 분석하였다. 각 축종별 대장균은 분변에서 100% 검출되었으나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젖소농장의 원유 냉각기에서도 S. aurues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돼지농장의 돈사바닥 및 퇴비장에서는 검사건수 30건당 각각 2건, 1건의 Salmonella spp.가 검출되었다. 마찬가지로 산란계농장의 계사바닥 및 분변벨트에서도 전체분석 건수 대비 10~20%의 Salmonella spp.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헌상 보고되고 있는 일반축산농가의 병원성세균 관리실태와 간접 비교하였을 경우 HACCP 시스템을 적용중인 축산농가에서의 일반축산농가보다 병원성 세균관리가 더욱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난류(卵類)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 달걀, 기러기알, 청둥오리알 - (Analysis of lipid composition and fatty acids in poultry eggs -cage system, open barn system's hen egg, moscovy duck's egg mallard's egg-)

  • 홍이진;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45-651
    • /
    • 1999
  • 일반란, 천연란, 고센란, 청둥오리알, 기러기알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식부 100 g에 대한 지질 비율은 기러기알>고센란>청둥오리알>일반란>천연란 순으로 기러기알이 가장 높았고, 지질중 TG 비율은 일반란>고센란>천연란>청둥오리알>기러기알 순으로 일반란의 TG함량이 가장 높았다. Cholesterol함량은 난황 1 g당 일반란이 14.14mg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13.30 mg으로 가장 낮았고, total lipid에 대한 cholesterol함량은 일반란이 4.5%로 가장 높았고, 청둥오리알과 기러기알이 3.3%로 가장 낮았다. 방사구란과 비방사구란을 중성지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중성지질은 방사구란에 비해 비방사구란이 더 높았고, 당지질과 인지질의 경우에는 반대로 비방사구란보다 방사구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특수란의 경우 중성지질 함량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이 더 낮았고, 두 종류 모두 달갈류보다 더 낮은 값이였다. 또한 당지질과 인지질은 청둥오리알보다 기러기알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고, 두 종류 모두 달걀류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분획한 중성지질과 당지질, 인지질 모두 TLC에 의한 정성반응을 통해 성분 확인을 하였다. 필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linoleic acid 함량은 기러기알에서, linolenic acid 함량은 고센란에서 가장 높았다. Arachidonicacid와 EPA함량는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달갈류에서는 EPA값이 측정되지 않았다. DHA함량은 기러기알>천연란>일반란>고센란>청둥오리알 순으로 기러기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