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matopoietic stem cell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32초

비골수제거성 조혈모세포이식 (Nonmyeloablative Stem Cell Transplantation)

  • 현명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11-27
    • /
    • 2002
  • Allogen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s one of the effective therapy for several hematologic malignancies. Transplantation preparative regimen is designed to eradicate the patient's underlying disease and immunosuppress the patient adequately to prevent rejection of donor's hematopoietic stem cells. So, conventional myeloablative preparative regimens with high-dose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are related to high rate of morbidity and mortality. However,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high-dose therapy dose not eradicate the malignancy in some patients, and that the therapeutic benefit of allogenic transplantation is largely related to graft-versus-leukemia/graft-versus-tumor (GVL/GVT) effect. An new approach is to utilize less toxic, nonmyeloablative preparative regimens to achieve engraftment and allow GVL/GVT effects to develop. This strategy reduces the risk of treatment-related mortality and allows transplantation for elderly and those with comorbidities that preclude high-dose chemoradiotherapy.

  • PDF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의 삶의 질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 송병은;강혜령;김광성
    • 종양간호연구
    • /
    • 제8권1호
    • /
    • pp.40-49
    • /
    • 2008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from June 1 to October 13, 2007.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6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which located in Seoul and Jeollanam-do province using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MT Scale (FACT-BMT) version 4. We collected a total of 155 questionnaires and analyzed 149 among them.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2.53 out of 5. Physical well being score was highest among sub-domains, followed by emotional well-being, additional concerns, social/family well-being, and functional well-being. Study subjects worried that their conditions would get worse. However study subjects didn't regret having been received HSCT. Age, duration from HSCT, age at diagnosis, income, readmission, HSCT type,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and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related to quality of life.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HSCT survivor's quality of life issue is still important and have to be investigated repeatedly in the future. That is necessary for generalizing QOL outcomes for clinical use. We also suggest to develop interventions to improve QOL.

  • PDF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의 삶의 질의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of Autologous an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 김은지
    • 종양간호연구
    • /
    • 제8권1호
    • /
    • pp.50-60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Quality of life (QOL) in type and time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ansplantation (HSCT) for patients with hematologic cancer. Method: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The autologous recipients was 120, the allogeneic recipients was 237.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total QOL between the autologous and allogeneic recipients. But the autologous recipients reported better status than the allogeneic recipients in physical domain, especially 1-3 yr after HSCT. There was poorer QOL of 1-3 yr compared to 1 yr after HSCT i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 between the two groups. QOL in time after HSCT of the autologous recipients was significanc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ocial domain. And QOL in time after HSCT of the allogeneic recipients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 Conclusions: QOL of recipients undergoing HSCT is recovered beyond 3 yr point. Accordingly, long term care and service is essential to recipients undergoing HSCT. And further studies with a longitudinal design are necessary.

  • PDF

등 마사지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면역반응, 신체증상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ack Massage on Immune Response, Symptom Distress and Mood State of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송병은;유양숙;조옥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9-280
    • /
    • 2009
  •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 of back massage on immune response, symptom distress, and mood state of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llogeneic HSCT). Methods: Subjects were thirty-seven patients undergoing sibling allogeneic HSCT (including 1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1 in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subjects participated in an intervention group of back massage for 10 minutes, once a day and 5 times a week, from one week prior to the HSCT to the third week after the HSCT or a control group.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us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by using SAS. Result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Immune response (CD4+, CD8+,CD19+, CD56+) and symptom distres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ess mood state (anxiety, confusion)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back massage for the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SCT may be effective in altering the anxiety and confusion dur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owever, this study did not provide evidence in improving immune response and symptom distress.

  • PDF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전후 영양상태 평가 (Pre- and Post-Transplant Nutritional Assessment in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박미영;박정윤
    • 종양간호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0-116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re-and post-transplant nutritional assessment for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SCT.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anuary 31st to March 31st, 2011. The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anthropometrics and biochemical test were collected from the time they entered the isolation unit until they left. Results: Pre-transplant nutritional assessment status indicated moderate malnutrition which scored $7.32{\pm}1.68$ in PG-SGA. There were 22 patients (88.0%) with moderate malnutrition and 3 patients (12.0%) with severe malnutrition. Post-transplant nutritional assessment indicated severe malnutrition status which scored $11.92{\pm}3.26$ in PG-SGA. Pre-and post-transplant nutritional assessment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in PG-SGA scor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led to a deterioration of patients' nutritional status. Pre-transplant patients were already in malnutrition status and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SCT were at risk for malnutrition. Conclusion: Pre-and post-transplant patients were categorized as having undernutritional and malnutritional status. Pre-transplant nutrition status impacted on post-transplant nutritional status. Health care personnel should pay attention to patient's nutrition status when undergoing allogeneic HSCT with appropriate nutritional assessment tools.

줄기세포의 가능한 원천으로서의 장기표면 봉한소체 (Bong-Han Corpuscles as Possible Stem Cell Niches on the Organ-Surfaces)

  • 김민수;홍주영;홍수;이병천;남창훈;우희종;강대인;소광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2
    • /
    • 2008
  • 목적 : 봉한소체가 성체줄기세포의 원천이며, 봉한관이 줄기세포 수송로일 가능성을 확인함. 방법 : 쥐의 내부 장기표면에서 봉한소체와 봉한관을 채취했다. 다양한 줄기세포 표지항체를 써서 면역조직학적 분석을 했다. 결과 : mesenchymal 줄기세포에 관한 Integrin ${\beta}1$, Collagen type 1, Fibronectin의 강한 발현을 확인했다. CD54는 발현되지 않았다. 조혈줄기세포에 관련하여 Thy 1의 발현이 있었다. 결론 : 골수조직과 유사하게 mesenchymal과 조혈줄기세포의 표지가 BHC에서 확인되었고, 봉한관에서는 vWF가 발현되어 줄기세포 수송로 가능성을 확인했다.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 비분류성 간질성 폐렴으로 사망한 1예 (A Case of Nonclassifiable Interstitial Pneumonia after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정기환;성화정;이주한;한정호;신철;박형주;김제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2호
    • /
    • pp.122-126
    • /
    • 2009
  • 조혈모세포이식 후 1년 이내에 발생하는 폐 합병증의 진단 및 분류는 확립되어 있으나, 수 년 이상 장기간 생존자에게서 발생하는 폐 합병증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8년 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고,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18세 여자 환자에서, 폐조직 생검을 통해 비분류성 간질성 폐렴을 진단하였으나, 스테로이드 치료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악화를 보여 호흡부전으로 사망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tress Coping Strategy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Recipient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윤수정;이철;임성후;채정호;전태연;김광수
    • 정신신체의학
    • /
    • 제10권1호
    • /
    • pp.8-17
    • /
    • 2002
  • 연구목적: 본 조혈모세포 이식술의 광범위한 사용 및 시술 후 생존율의 증가와 함께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발현될 수 있는 정신과적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전후하여 환자들의 심리적 스트레스 증상을 평가하였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심리적 변인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29명의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여 조혈모세포 이식 직전과 직후에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30명의 정상 대조군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면담을 통한 정신상태검사와 여러 가지 표준화된 설문지(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스트레스 지각 척도, Short-Form 36 Health Survey)를 사용하였다. 결과: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우울(p<0.001) 이나 불안(p=0.011) 의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환자군의 조혈모세포 이식 전후에 우울과 불안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소극적인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환자군에서 우울(p=0.046) 이나 불안(p<0.001)의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조혈모세포 이삭 환자들이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심한 우울과 불안 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비적응적인 수동적 대처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이런 부정적 감정 경험의 정도가 심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는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석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정신과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PDF

돼지 골수 조혈 세포의 이종 마우스 동물 모델 생체 증식 및 분화 특성 (Effective Reconstitution of Porcine Hematopoietic Cells in Newborn NOD/SCID Mice Xenograft)

  • 이용수;이현주;김태식;김혜선;김유경;김재환;박진기;정학재;장원경;김동구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2권1호
    • /
    • pp.1-7
    • /
    • 2008
  • 본 연구는 돼지 골수에서 존재하는 조혈 줄기 세포 및 전구 세포를 이용해 이종 동물 모델인 태아 마우스 복강 생체 이식을 통하여 돼지 조혈 세포의 이종 조혈 조직에서의 증식과 분화 특성을 규명하였다. 선천성 면역 부전 마우스인 NOD/SCID 마우스 태아 조혈 환경에 돼지 골수 유래 조혈 줄기 세포 및 전구 세포를 이식하고, 이식 후 5주령에 마우스 조혈기관에서의 돼지 조혈 세포의 증식과 분화 특성을 돼지 특이적 항체 면역 염색으로 유세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우스 조혈 조직인 골수, 흉선, 간장, 비장 및 림파절에서 돼지 조혈 세포의 분화 및 증식이 관찰되었다. 특히 돼지의 T 면역세포가 골수계 세포에 비해서 높은 chimerism이 관찰되어 태생 초기의 NOD/SCID 조혈 환경에 의한 특이적 T 면역세포의 증식에 적합한 조혈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마우스 신생 NOSD/SCID 복강 이식 동물 모델을 이용해 돼지 T 면역세포의 분화 발달 연구 및 이종 장기 이식 기전 연구에 좋은 모델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두 개의 다른 마우스 배아줄기세포의 차별적인 조혈세포 분화능 (Different Potential of Hematopoietic Differentiation in Two Distinct Mouse Embryonic Stem Cells)

  • 김진숙;강호범;송지연;오구택;남기환;이영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2호
    • /
    • pp.105-114
    • /
    • 2005
  • 배아 줄기세포는 세포 치료 목적을 위한 재료로써 매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잠재력의 실현을 위해서 세포의 운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들을 확인하고 특정 세포의 대량 생산을 위한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조혈과정은 폭넓게 연구되어 왔으며,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조혈세포의 분화는 lineage commitment에 관한 연구에 좋은 모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마우스 배아 줄기세포주 TC-1과 B6-1를 이용하여 그 특성과 조혈세포 분화능을 비교하여 보았다. 두 세포주는 작은 차이는 있으나 줄기세포로서의 특성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methylcellulose 배양 system을 사용하여 embryonic body 형성능을 확인한 결과 TC-1이 B6-1에 비해 월등함을 확인하였다. 조혈세포 분화의 추적을 위해 blast colony의 형성, progenitor assay, RT-PCR을 통한 조혈세포 분화 관련 marker의 발현 분석을 수행한 결과, TC-1은 정상적으로 조혈세포를 생성해 내지만, B6-1은 제대로 분화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in vitro에서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조혈세포로 분화를 유도할 때, 보다 적합한 세포주의 탐색이 요구됨을 제시하며 이는 향후 인간 배아 줄기세포주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