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ight growth model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3초

거제${\cdot}$한산만 양식굴 Crassostrea gigas의 에너지 전환 효율 (EFFICIENCY OF ENERGY TRANSFER BY A POPULATION OF THE FARME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GEOJE-HANSAN BAY)

  • 김용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9-183
    • /
    • 1980
  • 거제${\cdot}$한산만 양식굴 Crassostrea gigas의 에너지 전환 효율을 추정하기 위하여 한 양성 기간인 1979년 7월부터 1980년 4일까지 성장도, 생식 물질 방출량, 패자 형성량, 호흡량, 집단 감모율에 대한 현지 생체 실측 조사를 행하였으며, 연체부의 물질 조성 및 에너지 함량, 패각의 유기 물질 및 생식 물질의 에너지 함량을 각각 측정하고, 호흡량에서 호흡 열량 계수를 사용하여 이화 에너지양을 계산하였다. 이상의 자료에서 동화 에너지양에 대한 연체부 에너지양의 비율로 순 에너지 전환 효율을 계산하고 동화 효율을 측정하여 섭취 에너지양에 대한 연체부 에너지양의 비율로 총 에너지 전환 효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고(SH) 및 연체부 건조 중량 (DW)의 반월령(t)에 따른 성장도; $$SH=6.33(1-e^{-0.2421(t+0.54)}),\;(0<\leqq10)$$ $$SH=4.44+0.14t,\;(10{\leqq}t{\leqq}20)$$ $$DW=0.608(1-e^{-0.2421(t+0.54)2.589}),\;(0 $$DW=1.53\times10^{-6}\times(4.44+0.14t)^{7.2},(10{\leqq}t{\leqq}20)$$ 2. 생식물질 방출량(G): $$G=0.0145+(3.95\times10^{-3}{\times}SH^{2.9861}$$ 3. 패각 형성량(SO); $$SO=0.000648{\times}SH^{2.527}$$ 4. 호흡량(R); $$log\;R=(0.0386T-0.5381)+(0.6409-0.0083T){\cdot}log\;DW$$ 5. 연체부 에너지 함량; 3.93(7월)-4.54(4월) Kcal/g, DW(질소 보정에 의한 계산값) 6. 생식 물질의 에너지 함량$(E_G)$: $$E_G,\;Kcal=\frac{1}{4}[0.0149SH^{2.961}+0.0547]$$ 7. 패각 유기물의 에너지 함량$(E_{so})$; $$E_{so},\;Kcal=0.00184SH^{2.527}$$ 8. 호흡 에너지 계수: 3.18(8월)-3.31(4월) cal/mg $O_2$ 9. 집단 총 감모율 : $36\%$ 10. 동화 효율 : $55.5\%(40\~70\%)$ 11. 순 에너지 전환 효율 : $28\%$ 12. 총 에너지 전환효율 : $15.28\%(11\~20\%)$.

  • PDF

Distribution, Size and Development Phases of Knots for Pinus sylvestris L. var. mongolica Litvin in Northeast China

  • Jia, Weiwei;Li, Fengri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5호통권162호
    • /
    • pp.313-320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 38-year-old Mongolian pine (Pinus sylvestris L. var. mongolica Litvin) plantation in northeast China. Data were collected from 5 sample trees with different canopy position ranging in DBH from 14.6 cm to 23.8 cm. Sawn speciments that included the biggest knot were taken from the stem below the living crown. Number and distribution of knots per whorl below the living crown were studied by relative height below living crown (RHBC). A linear model expressed as function of whorl age (AGE), whorl height ($H_k$) and the stem diameter at which the whorl was located ($D_k$)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knot diameter and angle. The number of annual rings in four periods and the width of respective zone alone stem were used as dependant variables to analyze the knot develop phases. In average, the number of years from branch birth to ceased forming rings was 7.8, the branches remained alive for 4.2 years without forming annual rings, and branches were occluded 14.4 years after their death. These results can provide abundance branch and knot information so as to describe current and past tree growth dynamic of Mongolian pine plantation.

한국재래산양의 발육형질에 대한 유전능력 평가 (Parameter Estimates for Genetic Effects on Growth Traits of Korean Native Goats)

  • 김영근;이지웅;최순호;손삼규;나기준;문승주;김재홍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171-180
    • /
    • 2002
  •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에서 사육되고 있는 한국 재래산양의 발육형질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형질로는 생시, 3개월령, 6개월령 체중으로 개체모형(Animal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고정효과로 성별, 출생년도-계절, 사양형태를 고려하였으며, 각 형질에 대한 분산성분 및 유전모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MTDFREML Progra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시, 3개월령, 6개월령의 평균체중은 각각 1.78${\pm}$0.32, 7.99${\pm}$2.66, 12.08${\pm}$3.20kg이었고, 부수적으로 조사된 3개월령과 6개월령 평균체위는 각각 체고가 36.46, 40.27 cm, 체장은 38.06, 42.01cm, 흉위는 45.56, 51.07cm이었다. 생시, 3개월령, 6개월령 체중에 대한 개체의 유전력은 각각 0.66, 0.34, 0.27이었으며, 생시와 3개월령 체중에 대한 모체의 유전력은 각각 0.28, 0.03으로 추정되었고, 분산성분과 유전모수 추정 결과 생시와 3개월령 체중에 대해서는 모체유전효과가 중요하게 작용되었으며, 3개월령 체중에서는 모체환경효과가 고려되어야 하나, 6개월령 체중에서는 모체유전효과가 중요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정조사구 자료를 이용한 임분생장 해석 및 탄소흡수${\cdot}$저장량 평가 (Stand Growth Analysis and Carbon Storage/Removals Assesment using the Data of Forest Growth Monitoring Plots)

  • 권순덕;손영모;이경학;정세경;김중명
    • 임산에너지
    • /
    • 제23권2호
    • /
    • pp.1-8
    • /
    • 2004
  •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운두령 일대에 설치된 잣나무 등 6개소 생장고정조사구를 대상으로 생장변화를 구명하고,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을 산정하여 운두령 산림관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임분생장변화는 유령림인 잣나무와 낙엽송 임분에서 연년수고생장과 흉고직경생장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외 임분은 이들보다는 생장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경급 분포 및 직경변화 예측에 있어서 신갈나무와 혼효림에서의 직경급분포는 현재와 유사할 것으로 예측되며, 잣나무와 낙엽송 등은 유령림인 관계로 비대생장 속도가 빨라 대다수의 현재 직경급이 상위경급으로 이동할 것이 예측되었다. 2003년도말 현재 운두령 모델림내의 총탄소량은 전년에 비해 $2.7\%$인 149,000탄소톤 증가하였으며, 임상별로 보면 활엽수가 $50\%$, 흔효림 $34\%$, 침엽수림 $16\%$ 순이었다. 2003년도 한 해 동안 산림의 생장에 의해 흡수${\cdot}$저장한 총탄소량은 156,813탄소톤이며, 순탄소흡수량은 148,664탄소톤으로 전년 대비 2.613탄소톤$(1.8\%)$이 증가하였다. 임상별로는 침엽수림$(3.3\%)$, 흔효림$(3.1\%)$, 활엽수림$(2.8\%)$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운두령모델림은 온실가스 측면에서 볼 때 순흡수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순흡수량도 최근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PDF

생육도일온도에 따른 고추의 생육 및 수량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Growth and Yield Models by Growing Degree Days in Hot Pepper)

  • 김성겸;이진형;이희주;이상규;문보흠;안세웅;이희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4-430
    • /
    • 2018
  • 본 연구는 고추의 생육특성인 초장,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을 조사하였고, 기상요인에 따른 수량 예측 모델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육도일온도에 따른 고추의 생체중, 건물중, 초장 및 엽면적에 대한 생장 모델(시그모이드 곡선)을 개발하였다. 고추는 정식 후 50일전후로 초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40일 이후에는 생장요인들이 평행을 이루었다. 그리고 생육도일온도에 따른 고추의 생장을 분석 한 결과 지수 함수적으로 생장이 늘어나는 시점의 GDD는 1,000였다. 고추의 건물중에 대한 상대생장 속도를 계산하는 식은 RGR $(dry\;weight)=0.0562+0.0004{\times}DAT-0.00000557{\times}DAT^2$ 였다. 수확한 적과의 생체중과 건물중으로 고추의 단수를 구하였을 때, 정식 후 112일에 1,3871kg/10a였고, 건고추의 단수는 정식 후 112일에 291kg/10a이였다. 고추 작황예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고추의 생산성에 관여하는 주요요인을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계측한 생육 및 기상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생육모델을 보정 및 검증해야 할 것이다.

잣나무 임분의 생장변화에 따른 임분구조 해석에 관한 연구 - 강원대학교 학술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nd Structure Analysis by the Changing Growth in Korean White Pine Stand)

  • 장재영;신현지;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58-68
    • /
    • 2004
  • 본 연구는 잣나무 임분의 생장변화에 따른 임분구조를 해석하기 위하여 강원대학교 학술림의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임분의 생장변화 및 흉고직경, 수고, ha당 재적에 대한 생장 추정식을 도출 하였다. 즉 잣나무 임목의 흉고직경에 대한 수고와의 상관관계, 흉고직경에 대한 재적과의 상관관계, 수고에 대한 재적과의 상관관계, 수관면적에 재적과의 상관관계가 분석되었으며, 임령에 대한 흉고직경과의 상관관계, 수고와의 상관관계, 단위면적당 재적과의 상관관계 등이 분석되었다. 그리고 흉고직경에 대한 추정식 (1)은 Y = 20.687Ln(X)-50.431으로 나타났고 수고에 대한 추정식 (2)은 Y= 12.951Ln(X)-31.225으로 나타났으며, ha당 재적의 추정식 (3)은 Y = 171.06Ln(X)-462.16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추정식을 이용한 영급별 평균 ha당 재적은 II영급 $27.5m^3$, III영급 $91.1m^3$, IV영급 $147.7m^3$, V영급 $190.0m^3$, VI영급 $223.8m^3$, VII영급 $252.0m^3$, VIII영급 $276.2m^3$으로 산출 되었다. 마지막으로 잣나무 임분에 있어서의 정기평균생장량과 총평균생장량과의 관계가 분석되었다.

  • PDF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의 양성 수심에 따른 성장 (Growth of Bay Scallop, Argopeten irradians at Different Rearing Depths)

  • 오봉세;정춘구;김숙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8
    • /
    • 2002
  • 사육기간 중 수온은 10.4∼25.5$^{circ}C$로 해역별, 표$.$저층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염분은 25.00∼31.17 $textperthousand$이었고, 용존산소는 최저 6.13 mg/L 이상으로 양호한 상태를 보였다. Chlorophyll-a는 1.23∼11.05 $\mu\textrm{g}$/L로 저층시험구는 월별 변화가 심하고, 2.00 $\mu\textrm{g}$/L 이하의 저농도를 보였다. 6∼8월 해만가리비 성장기에 Phytoplankton 우점종은 편모조류인 Ceratium sp.가 35.2% 출현하였다. 플랑크톤의 밀도는 대체적으로 8∼9월에 낮았고, 10월에 높았다. 수심에 따른 성장을 보면, 해만가리비의 치패 (평균각고 16.59∼16.69 mm)를 2 m와 5 m 수출에서 사육한 결과, 각고는 표층시험구가 0.19 mm$.$d$^{-1}$이었고, 저층시험구는 0.16 mm$.$d$^{-1}$이었다. 전중량은 표층시험구가 0.16 g$.$d$^{-1}$ 이었고, 저층시험구는 0.12 g$.$d$^{-1}$ 이었다. 각고의 일간성장률은 표층시험구는 0.606%이었고, 저층시험구는 0.549%이었다. 전중량의 일간성장률은 표층시험구가 1.972%이었고, 저층시험구는 1.781%이었다. von Bertalanffy 성장 모델에 의해 얻어진 각고의 최대 예상값은 52.62 mm (표층시험구) 및 46.73 mm (저층시험구)이었다. 생존율은 표층구가 80.0%로 저층구보다 높아 표층 (수심 2 m)이 저층 (수심 5 m)보다 해만가리비의 성장 및 생존에 적합한 수층이었다.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 양식시 성장에 미치는 치패의 선발 효과 (Effect of Selected Spat on Growth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During Aquaculture)

  • 오봉세;양문호;정춘구;김주일;김영숙;김숙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3-129
    • /
    • 2002
  • 사육기간 중 수온은 12.6~24.5$^{\circ}C$ 였고, 염분은 27.32~33.10 $\textperthousand$, 용존산소는 7.05mg/L이상으로 양호한 수질상태를 보였다. 6~9월 해만가리비 성장기에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은 편모조류인 Ceratium sp.가 35.2% 출현하였다. 플랑크톤의 밀도는 대체적으로 8~9월에 낮았고, 6월과 10월에 높았으며, chlorophyll-a는 1.69~7.40 $\mu\textrm{g}$/L 였다. 해만가라비 치패의 선발에 따른 성장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발시험구(평균각고 21.47${\pm}$0.80 mm)와 비교시험구(평균각고 16.59${\pm}$0.99 mm)를 조성하여 185일간 사육한 결과, 각고는 선발시험구 0.17 mm/day, 비교시험구 0.19 mm/day 였고, 전중량은 선발시험구 0.17 g/day, 비교시험구 0.16 g/day 였다. 각고의 일간성장률은 선발시험구 0.487%, 비교시험구 0.606%였고, 전중량의 일간성장률은 선발시험구 1.600% 및 비교시험구 1.972%였다. von Bertalanffy성장모델에 의해 얻어진 각고의 최대 예상값은 54.08 mm(선발시험구) 및 52.62 mm(비교시험구)였다. 생존율은 선발구는 80.0%, 비교시험구는 87.0%의 생존율을 보였다. 선발시험구의 치패는 상품크기인 평균각고 5 cm이상으로 성장하는데 3개월이 소요되어 비교시험구보다 1개월 단축되었으나, 12월까지 계속 사육시에는 가리비류에서 나타나는 보상성장(compensatory growth) 효과가 나타나 양 시험구간의 성장차이에 유의차가 없었다.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의 해역별 성장 (Comapartive Study on the Growth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in Three Rearing Sites)

  • 오봉세;양문호;정춘구;김영숙;김숙양;김성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3-152
    • /
    • 2003
  • 우리나라 남해안의 남면, 회진 및 돌산의 3개 해역에서 해만가리비의 사육기간 중 수온은 10.4-25.5$^{\circ}C$로 해역별 수온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염분은 25.00-31.17 psu, 용존산소는 최저 6.13 mg/l 이상으로 해만가리비 성장에 적합한 범위였다 . Chlorophyll-a는 1.69-7.40 $^{\mu}$g/l 로 낮은 농도를 보인 시기도 있었다. 6-8월 해만가리비 성장기에 phytoplankton 우점종은 성장이 좋았던 남면에서는 편모조류인 Ceratium sp.가 35.2%, 회진에서는 Ceratium sp.가 25.5%출현하였으나, 성장이 낮았던 돌산에서는 규조류인 Chaetoceros sp.가 40.4%로 우점하였다. 플랑크톤의 밀도는 대체적으로 8-9월에 높았고, 10월에 낮았다. 해만가리비의 치패를 대상으로 185 일간의 사육한 결과 , 각고는 남면 0.19 mm/day, 회진 0.18 mm/day, 돌산 0.16 mm/day였고, 전중량은 남면 0.16 g/day, 회진 0.16 g/day, 돌산 0.13 g/day 였다. 각고의 일간성장률은 남면이 0.606%, 회진 0.581%, 돌산 0.549%였고, 전중량의 일간성장률은 남면에서는 1.972%, 회진에서는 1.857%, 돌산에서는 1.746%였다. von Bertalanffy 성장모델에 의해 얻어진 각고의 최대 예상값은 각각 52.62 mm (남면), 51.74 mm (회진), 48.91 mm (돌산)였다. 생존율은 남면이 87.0%로 가장 높았으나, 회진 및 돌산은 11월 이후 급감하였다.

  • PDF

국내 산림의 간벌에 따른 직경 생장량 및 탄소 저장량 변화에 관한 메타 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Forest Thinning on Diameter Growth and Carbon Stocks in Korea)

  • 이종열;한승현;김성준;이소혜;손영모;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527-535
    • /
    • 2015
  • 본 연구는 간벌에 따른 국내 산림의 직경 생장량과 탄소 저장량(임목, 고사목, 낙엽층, 토양)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결과들을 메타 분석한 것이다. 메타 분석 결과 간벌에 의하여 직경 생장량과 토양 탄소 저장량은 각각 39.2% 및 12.8% 증가하였고 임목 탄소 저장량은 30.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사목과 낙엽층 탄소 저장량은 간벌에 따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직경 생장량과 임목 탄소 저장량은 간벌 강도 및 회복 시간(간벌 후 시간의 경과)과 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낙엽층 탄소 저장량은 회복 시간과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고사목과 토양 탄소 저장량은 간벌 강도 및 회복 시간과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간벌 강도와 회복 시간에 따른 직경 생장량과 임목 탄소 저장량의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고사목, 낙엽층 그리고 토양 탄소 저장량은 간벌 강도와 회복 시간과의 상관 관계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이들의 변화를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임목 탄소 저장량 회귀식과 산림 탄소 모델의 연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벌에 의한 산림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 수종 확대, 장기 모니터링 및 측정 주기 단축, 그리고 하층 식생 조사 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