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dging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37초

다목적댐의 가뭄 대비 용수공급 조정기준과 혼합 정수계획법에 의한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의 비교 및 분석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water supply adjustment guide and a hedging rule of reservoir operation derived from mixed-integer programming for water supply operation of a multi-purpose reservoir)

  • 진영규;정택문;이상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443-452
    • /
    • 2021
  • 혼합정수 계획의 최적화 기법으로 유도한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은 용수를 미리 감량 공급함으로써 가뭄 기간에 상대적으로 많은 물을 확보하여 저수지를 운영하는 기준이다. 우리나라의 다목적 저수지 운영에 적용하고 있는 현행 기준은 모의 운영 기법으로 유도된 '용수공급 조정기준'이다. 2003-2018년 기간의 저수지 유입량을 입력 자료로 하여, 합천 다목적댐 저수지의 모의 운영에 두 방법을 적용한 결과, 두 방법 모두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된 가뭄에 장기간 물 공급 부족이 발생하였다. 특히 2017년 하반기에 물을 전혀 공급하지 못하거나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기간이 지속해서 나타났다. 용수공급 조정기준은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을 둠으로써, 2017년 7월에 용수공급 불가 상태에 이른 다음, 저수량이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 보다 커지는 2018년 1월까지 용수공급을 중단하는 결과를 낳았다. 저수지에 물이 유입되어 저수량이 증가하는 상태에도 불구하고 물 공급을 중단하는 결과는 실행 상 개선이 필요하다. 현행 용수공급 조정기준과 용수 감량 공급 기준 모두 가뭄 단계별 용수의 감축 공급 개념을 과학적 수치로 나타낸 저수지 운영 기준으로서 유용하고 현실적이다. 그렇지만 위와 같이 몇 개월간 물을 전혀 공급하지 못하거나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저수지 모의 운영 결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현재 적용 중인 가뭄 단계별 물의 공급 축소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국내 수입 원유의 선물거래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for Futures Trading of Imported Crude Oil)

  • 윤원철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9권2호
    • /
    • pp.421-449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it is feasible to introduce an crude oil futures contract on domestic commodity exchange in order to minimize the price risks of imported crude oil.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policy issues to promote futures trading and the alternatives to use foreign energy compares the five criteria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crude oil futures trading on the domestic exchange.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futures trading of imported crude oil on the domestic exchange, they are evaluated as follows: it is highly possible to succeed for the aspects of price volatility, potential market size or liquidity, and commodity homogeneity; but it is inappropriate for the aspects of deliverable amounts and market power or market structure.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rading a new futures contract for the underlying imported crude oil on the domestic exchange is inappropriate. For the policy issues and the hedging alternatives, first, it is urgent to establish an atmosphere for futures trading by promoting spot trading. Second, for the case of futures trading on the domestic exchang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imultaneous hedging of crude oil price and foreign exchange risks and mutual offsetting mechanism with major foreign exchanges. Third, for the case of futures trading on foreign exchanges it is reasonable to regard cooperation among concerned companies, government support for futures trading and direct participation into futures trading by the government.

  • PDF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재형상 비행제어법칙 설계 (Design of Reconfigurable Flight Control Law Using Neural Networks)

  • 김부민;김병수;김응태;박무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35-44
    • /
    • 2006
  • 항공기 비행 시, 조종면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검출하여 제어기를 수정하거나 다른 제어기로 전환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본 논문은 작동기에 고장 발생시 임의의 고장검출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고장을 검출하여, 제어기를 수정/전환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신경회로망과 PCH(Pseudo-Control Hedging) 기법을 이용하여, 발생된 고장정도에 따라 제어기 스스로 판단하여 대체 조종면으로 보상해 주는 재형상 비행제어법칙을 제시한다. 제어시스템은 DMI(Dynamic Model Inversion) 기법을 적용한 내부루프(SCAS : Stability Command Augmentation System)와 Coordinate Turn을 위한 Y축 가속도 피드백 외부루프로 구성한다. 특히 고장 보상을 위해 작동기 포화를 방지하는 PCH 기법을 이중으로 적용하였다. 끝으로 몇 가지 고장상황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주가지수선물의 헤징거래 (Hedging Transaction in the Stock Index Futures)

  • 윤석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139-144
    • /
    • 1998
  • 국내 자본시장의 개방으로 주가변동에 따른 위험분산 외국의 단기성자금에 의한 국내증권시장의 교란을 억제하고 투자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주가지수선물의 헤징은 다른 종류의 금융선물 및 상품선물거래 도입을 촉진하게 될 것이고 이는 결국 국내 금융기관 국제경쟁력을 높이고 우리 금융시장 선진화를 앞당기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위험분산기능과가격발전기능을 통해 경제안정과 경제활동 원활화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결국주가지수선물시대가 열림에 따라 국내 주식시장에 따라 지수편입종목의 거래량 확대, 선물지수의 변동으로 초래될 주식시장의 변화에 대해서도 보다 높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중앙은행의 OTC 통화옵션시장을 활용한 외환시장 개입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entral Bank's Foreign Exchange Market Intervention Strategies with OTC Currency Option Market)

  • 박재관
    • 무역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3-120
    • /
    • 2022
  • This paper studies the possibility of options as an instrument for central bank to intervene foreign exchange market. As opposed to spot transaction or forward transaction, which impacts spot exchange rate only once, currency options can continuously resist a directional speculative pressure on spot market due to the dynamic delta hedging of OTC currency options market maker. This research also analyzes whether and how central banks can use currency options to lower exchange rate volatility and maintain (implicit) target zones in foreign exchange markets. It argues that short position rather than long position in options will result in market makers dynamically hedging their long option exposure in a stabilizing manner, consistent with the first objective. Selling a "Strangle" allows a central bank to increase the credibility of its commitment to a target zone, and could have a lower expected cost than spot market interventions. However, this strategy also exposes the central bank to an unlimited loss potential. Therefore these kinds of intervention strategies must be used in the short run and temporarily.

수요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한강수계 댐 연계 운영 최적화 (Optimization of Multi-reservoir Operation considering Water Demand Uncertainty in the Han River Basin)

  • 정건희;류관형;김중훈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89-102
    • /
    • 2010
  • 미래의 기후조건과 생활패턴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래용수수요 또한 불확실성을 가지며, 이는 충분한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댐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따라서 가용 수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충분한 용수분배를 하는 동시에, 홍수와 가뭄에 대한 대비까지 가능한 댐의 운영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불확실한 용수수요량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저수지의 운영을 통한 저류량을 1단계에서 결정하고, 2단계에서 용수수요에 따른 용수공급량과 하천유지유량을 결정하기 위한 최적화 모형을 2단계 추계학적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구축하고, 목표저류량과 실제 저류량의 차이, 용수공급과 하천유지유량의 부족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수지 운영 규칙을 최적화하였다. 또한 가뭄시 보다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저수지 운영을 위해 댐저류량에 따라 댐 계획방류량을 일정비율 줄여주는 Hedging Rule을 사용하여 모형의 적절성과 적용성을 향상시켰다. 제안된 모형은 한강수계의 댐들 중 다목적댐인 충주, 횡성, 소양강 댐과 용수전용댐인 광동 댐, 그리고 발전용 댐이지만 비교적 큰 저류용량을 가진 화천 댐을 연계 운영 대상으로 하여, 미래 용수수요량 시나리오를 고려한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생공용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 공급량을 대부분 만족시킬 수 있었고, 댐의 저류량 역시 갈수기 용수공급에 대비하여 홍수기인 6월 말에서 9월 중순에 저류량을 확보하면서도 홍수피해저감까지 고려하는 운영이 가능하였다. 이는 다목적 댐들의 연계운영을 위한 저수지 운영규칙결정에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원 달러 선물시장을 이용한 헤지효과성 (Hedge Effectiveness in Won-Dollar Futures Markets)

  • 홍정효;문규현
    • 재무관리연구
    • /
    • 제21권1호
    • /
    • pp.231-253
    • /
    • 2004
  • 본 연구는 원 달러현물포지션보유에 따른 현물변동의 위험을 헤지하기 위하여 원 달러선물시장(Futures Markets)을 이용한 헤지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적헤지모형인, 이변량 ECT-ARCH(1)모형과 최소분산모형을 설정한 후, 2001년 1월 2일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의 일별 단위로 추출된 원 달러현물환율자료와 원 달러선물자료를 사용하여 헤지비율을 추정하고 헤지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헤지성과의 비교 및 분석 시에서는 단순헤지모형(naive hedging model)을 추가적으로 포함시켰으며, 전통적 헤지모형인 최소분산헤지모형과 이변량 ECT-ARCH(1)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헤지비율의 크기는 크게 다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분석기간과 분석기간을 세분화한 연도별 헤지비율 모두 최소분산헤지모형의 헤지비율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헤지비율이 변동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이변량 ECT-ARCH(1)모형의 헤지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나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헤지효과성을 측정한 결과 내표본(within-sample) 및 외표본(out-of-sample)기간동안 단순헤지모형과 최소분산헤지모형(minimum variance hedging model)모두 헤지비율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이변량 ECT-ARCH(1)모형의 헤지효과성보다 상대적으로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투자자들이 원 달러현물환율 및 선물환율의 시계열 특성이나 헤지비율의 시간가변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최소분산모형을 헤지전략에 사용하여도 무방함을 의미한다. 셋째, 헤지기간에 따른 헤지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헤지기간을 1주일물과 2주일물 원 달러선물로 확대하였을 경우, 1일물을 이용한 경우보다 헤지성과가 내표본과 외표본에서 모두 상대적으로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