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ing Unit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27초

고에너지 광자선속에서 TLD-100 chip 위에 있는 금박막(140 ${\mu}{\textrm}{m}$) 역할 (The Roles of Gold Plate (140${\mu}{\textrm}{m}$) Loaded on TLD-100 Chips in the High Energy Radiation Beams)

  • Vahc, Young-Woo;Park, Kyung Ra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6권2호
    • /
    • pp.51-60
    • /
    • 1995
  • 고에너지 (6-15MV) 광자선속으로 치료할때 LiF(TLD-100) 결정은 solid water phantom 이나 환자의 피부 표면에서의 흡수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열자극 발광 선량계(이하 NC-100)가 주로 사용된다. 통상 NC-100은 가열 과정을 여러회 반복하면 그 감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C-100 위에 입사 광자선속 방향으로 올려놓은 140$\mu\textrm{m}$ 두께의 금박막(이하 GC-100)은 NC-100 과 다른 성질을 갖는다. 즉, 광자선속에서 GC-100 은 금박막에서 주로 쌍생성이 일어나고 부분적으로 Compton 산란이 일어나 많은 양전자와 음전자를 만들어 낸다. 그 결과 TLD-100 결정은 증가된 신호를 갖고(최대 100% 증가), 흡수 선량당 높은 반응도가 좋은 선형도를 갖으며, 선량물에 무관할 뿐만 아니라 Fluctuation error 도 $\pm$0.5% 미만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GC-100 은 주로 쌍생성이 일어나기 때문에 전자선보다 광자선에서 더욱 감도가 좋은것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금과같이 원자번호가 높은 매질에서 광자선에 의한 쌍생성의 확률이 큰것에 기인한다. 치료용 고에너지 광자선속에서 TLD-100 chip 위에 올려진 금박막은 TLD 의 신호를 크게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 PDF

펜톤시약을 이용한 이온교환수지의 직접분해 (The Direct Dissolution of Ion-Exchange Resin by Fenton's Reagent)

  • 김길정;손종식;류우석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5-90
    • /
    • 2007
  • 양이온교환수지인 IRN-77을 직접 분해 처리하기 위하여 Fonton시약을 적용하였으며, 분해반응의 특징으로써 반응의 효율 및 안전을 위해 수지를 먼저 건조시키고 $FeSO_4$ 용액을 수지에 완전히 흡수시킨 후 $H_2O_2$를 첨가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수지 분해반응의 특성은 반응이 개시되기까지 반응유도시간이 필요하였으며, 반응유도시간은 $FeSO_4$의 농도가 낮을수록 또한 $H_2O_2$의 초기 첨가량이 적을수록 길었다. 단위량의 수지를 분해하는데 적절한 반응조건으로서 $FeSO_4$의 농도는 0.9 M 및 15% $H_2O_2$의 용액의 첨가량은 수지량에 대해 6-7배 비율로 나타났으며, 반응유도시간을 포함하여 1.5시간 이내에 완전 분해가 가능하였다. $H_2O_2$의 첨가방법은 반응 초기 및 반응개시 후로 나누어 첨가하므로서 $H_2O_2$의 분해효율 및 첨가량을 최소화하였다. 가열효과로서 분해반응 개시 전에 비교적 낮은 온도인 $50^{\circ}C$ 정도로 가열하면 반응유도시간이 5분 이내로 단축되었으며, 수지의 양을 5g 및 10g 으로 증가시킨 결과, $H_2O_2$의 첨가비율을 9-10배 정도로 증가시키면 완전분해가 가능하였다.

  • PDF

Apparent and standardized ileal nutrient digestibility of broiler diets containing varying levels of raw full-fat soybean and microbial protease

  • Erdaw, Mammo M.;Perez-Maldonado, Rider A.;Iji, Paul A.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10호
    • /
    • pp.23.1-23.11
    • /
    • 2017
  • Background: Although soybean meal (SBM) is excellent source of protein in diets for poultry, it is sometimes inaccessible, costly and fluctuates in supply. The SBM can partially be replaced by full-fat SBM, but the meals prepared from raw full-fat soybean contain antinutritional factors. To avoid the risk of antinutritional factors, heat treatment is always advisable, but either excessive or under heating the soybean could negatively affect the quality. However, the potential for further improvement of SBM by supplementing with microbial enzymes has been suggested by many research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nd ileal nutrient digestibility of birds fed on diets containing raw soybeans and supplemented with microbial protease. Methods: A $3{\times}2$ factorial, involving 3 levels of raw full-fat soybean (RFFS; 0, 45 or 75 g/kg of diet) and 2 levels of protease (0 or 15,000 PROT/kg) was used. The birds were raised in a climate-controlled room. A nitrogen-free diet was also offered to a reference group from day 19 to 24 to determine protein and amino acid flow at the terminal ileum and calculate the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of nutrients. On days 10, 24 and 35, body weight and feed leftover were recorded to calculate the body weight gain (BWG), feed intake (FI)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On day 24, samples of ileal digesta were collected at least from two birds per replicate. Results: When RFFS was increased from 0 to 75 g/kg of diet, the content of trypsin inhibitors was increased from 1747 to 10,193 trypsin inhibitors unit (TIU)/g of diets, and feed consumption of birds was also reduced (P < 0.05). Increasing RFFS level reduced the BWG from hatch 0 to 10 d (P < 0.01) and hatch to 24 d (P < 0.05). The BWG of birds from hatch to 35 was not significantly (P = 0.07) affected. Feed intake was also reduced (P < 0.05) during 0 to 35 d. However, protease supplementation improved (P < 0.05) the BWG and FCR during 0 to 24 d. Rising levels of RFFS increased the weight of pancreas (P < 0.001) and small intestine (P < 0.001) at day 24. Except for methionine, apparent and the corresponding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of CP and AA were reduced (P < 0.01) by increasing levels of RFFS in diet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ome commercial SBM could be replaced by RFFS in broiler diets, without markedly compromising productivity. The AID and SID of CP and lysine were slightly improved by dietary supplementation of microbial protease.

고정밀도의 단상전파정류형 X선 장치의 제작 및 평가 (Evaluation and Experimental Production of Single-Phase Full-wave Rectification Type for X-ray Equipment of High Precision)

  • 한동균;정재은;최준구;성렬훈;고신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13-419
    • /
    • 2011
  • 1950년대 진단용 X선 장치의 국산화가 이루어졌으며, 1960년 초부터 진단용 X선 장치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생산업체의 증가로 의료기기 시장의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진단용 X선 장치는 방사선에 대한 인체의 위험 요소인 피폭문제가 있기 때문에 보건복지가족부가 제조, 설치기준을 제정하고 있으며, 이를 기본으로 하여 KSA 4019, KS A 4021, KS A 4022 등에 의해 정밀한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진단용 X선 발생장치는 단상 전파 정류형과 삼상 전파 정류형이 대부분이나, 1980년대 이후 인버터식 X선 발생장치로 대부분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인버터식 X선 발생장치는 단상 전파정류형 X선 발생장치에 비해 1.5~1.8배의 높은 출력과 단시간 제어가 정확하지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개인병원에서는 단상전파정류형 X선 장치를 선호하고 있어 단상 전파정류형 X선 장치의 성능개선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단상 전파정류형 X선 발생장치의 제어장치, 고전압 변압기, 필라멘트 가열변압기, 정류회로, 고압케이블 등 기기의 구성요소를 제작하고 진단용 X선 발생장치의 성능평가를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국내 규정인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 규칙에 적합한 기준을 얻을 수 있었다.

북한 에너지 사용과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Energy Usage and Emissions of Air Pollutants in North Korea)

  • 김인선;이지이;김용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3-312
    • /
    • 2011
  • 북한은 심각한 에너지 공급난을 겪고 있다. 이는 주요 에너지원인 석탄의 생산량 한계와 부족한 원유도입량 때문이다. 그 결과 바이오매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수력발전을 통한 전력 생산과 적은 에너지 사용량은 대기오염물질을 줄이는 데 기여하였다. 실제로 북한의 $SO_2$, $NO_2$ 배출량은 남한에 비하여 적다. 남한의 경우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지만, 대기오염물질배출량은 감소한다. 반면, 북한은 에너지 사용량과 대기오염물질배출량이 함께 감소한다. 에너지사용량에 따른 $SO_2$, $NO_2$ 배출량 또한 북한이 남한보다 많다. 따라서 북한은 대기오염물질 관리에 열악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특징은 평양과 서울을 기준으로 한 $SO_2$, $NO_2$ 농도에서도 확인된다. 북한은 심각한 대기오염문제를 발생시키는 바이오 매스를 상당량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부족하다. 그로 인하여 많은 양이 바이오매스에서 발생되는 CO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바이오매스 연소는 CO뿐만 아니라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유기탄소(OC), 원소상탄소(EC)와 $K^+$ 등의 입자상 성분도 다량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and Kim, 2007). 이는 인체 위해성 관점에서도 중요하다. 특히 최근 수도권의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체소각의 영향이 상당히 큰 것으로 여러 연구결과에서 제시하고 있다(Kim, 2010). 따라서 남한 대기환경에 북한 대기오염물질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와 함께 북한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필요하다.

열자극발광 스펙트럼의 3차원 측정 장치와 CaSO4 : Dy, P의 열자극발광 (A 3-D Measuring System of Thermoluminescence Spectra and Thermoluminescence of CaSO4 : Dy, P)

  • 이정일;문정학;김덕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1-7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열자극발광 스팩트럼을 온도, 파장, 발광강도의 3차원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소개하고, 고감도 TLD인 $CaSO_4$ : Dy, P의 열자극발광을 이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시스템은 분광장치(spectrometer), 열자극을 위한 온도조절부, 광검출기(photon detector) 그리고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측정 데이터를 기록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온도조절은 피드백(feedback)을 방식을 이용하였고, 피드백을 위한 온도는 디지털멀티미터로 측정하고 GPIB를 통하여 제어용 컴퓨터에 보내지고 컴퓨터는 전원공급기(power supply)를 제어하게 된다. 분광장치는 SPEX CD-2A를 통하여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고 광검출은 광증배관(photomultiplier tube)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A/D 변환기를 통하여 컴퓨터에 보내져 저장되게 된다. 고강도 TL 물질인 $CaSO_4$ : Dy, P의 열자극발광을 위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영역은 온도 $30{\sim}300^{\circ}C$ 그리고 파장 300~800 nm였다. $CaSO_4$ : Dy. P 물질은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Yamashita법으로 누적 방사선량 측정용으로 개발된 물질이다. 측정결과 온도 약 $250^{\circ}C$, 파장 약 476 nm 그리고 572 nm에서 2개의 주(main) 피크(peak)가 관측되었으며, 온도 $205^{\circ}C$, 파장 658 nm 그리고 749 nm에서 매우 약한 발광 피크가 관측되었다.

  • PDF

Clostridium 종을 이용한 미역으로부터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 (ABE) 생산 (Acetone, Butanol, Ethanol Production from Undaria pinnatifida Using Clostridium sp.)

  • 권정은;곽승희;김진아;류지아;박상언;백윤서;허아정;김성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6-2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미역을 이용하여 초고온 열산 가수분해, 효소 당화, 발효과정을 거쳐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을 생성하는 실험에 대해 진행하였다. 초고온 열산 가수분해에서의 최적 조건은 10%의 slurry, 270 mM의 황산, $160^{\circ}C$에서의 7.5분이었다. 초고온 열산 가수분해는 열처리 시간을 줄이고 적은 농도의 황산을 사용해도 더 많은 당과 적은 저해물질을 생성해 낸다는 장점이 있다. 효소 당화에서는 Viscozyme L (${\beta}-glucanase$, Novozymes)을 12 unit/ml으로 처리하는 것이 25.1 g/l로 가장 많은 단당을 생성했다. 발효에서는 C. acetobutylicum KCTC 1724이 비교적 낮은 pH 5.0에서 많은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을 생성하는 장점이 있었지만 mannitol을 모두 소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고농도의 mannitol 배지에 순치한 C. acetobutylicum KCTC 1724을 사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이 각각 0.99 g/l, 5.62 g/l, 2.44 g/l로 순치하지 않은 C. acetobutylicum KCTC 1724를 이용해 발효했을 때 보다 부탄올은 2.45 g/l, 에탄올은 1.10 g/l 증가했으며 수율($Y_{ABE}$)은 0.24에서 0.37로 증가했다.

아세톤-용매분해반응에 의한 톱밥으로부터 액체 연료물질의 전환 특성 연구 (Conversion Characteristics of Liquid Fuels from Sawdust by Acetone-Solvolysis)

  • 윤성욱;이종집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31-236
    • /
    • 2014
  • 톱밥은 목재부산물로 생산되는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액화할 경우 가솔린에 함유된 고옥탄가 물질과 유사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액체 연료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톱밥의 열화학적 전환방법으로 아세톤-용매분해반응을 실시하여 반응온도, 반응시간, 용매의 종류가 미치는 영향과 분해 생성물 등과 같은 분해특성을 조사하였다. 아세톤-용매분해반응에 의해 톱밥으로부터 생성된 액상 생성물은 다양한 케톤, 페놀 및 퓨란 화합물이었다. 액상생성물의 연소열량은 7,824 cal/g이었으며, $350^{\circ}C$, 40분에서 액상생성물의 에너지 수율과 질량수율은 각각 60.8%, 386.4 g-oil/100 g-sawdust를 얻었다. 아세톤을 사용한 톱밥의 용매 열분해 반응시 생성된 주요물질은 4-methyl-3-pentene-2-one, 1,3,5-trimethylbezene, 2,6-dimethyl-2,5-heptadiene-4-one, 3-methyl-2-cyclopenten-1-one 등과 같은 케톤화합물로서 고옥탄가의 액체 연료로 사용 가능한 물질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韓國) 공동주택(共同住宅) 변천(變遷)에 관(關)한 고찰(考察) - 근대기(近代期) 아파트의 정착과정(定着過程)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lteration of the Collective Housing- in Modern Times, Korea - Focused on the Settled Process of Apartment Housing -)

  • 정순영;윤인석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2호
    • /
    • pp.37-5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collective housing in Korea; focusing on the alteration process of the apartment housing, which became a representative housing type in Korea, nowadays. The alteration process of the apartment housing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introduction stage, the trial stage and the settled stage. The introduction stage is the period between 1920, when the collective-housing buildings were construct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the Liberation of Korea(1945). The trial stage is the period between 1945 and 1975. During this period, common housing has been constructed. And the massive apartment buildings were started to be supplied after 1975. The settled stage is the period between 1975 and the present. The main scope of this study will be the introduction and trial stages, since a lot of in-depth studies have been executed on the settled stage. The history of the collective housing of Korea starts with City Housing of Seoul, in 1921. It is guessed that this housing was to be small-sized and row-housing type. The first-built, apartment-type building, in Korea, was Mikuni Apartment House, which was constructed as a boarding room of Mikuni Company. In the introduction stage, apartment buildings were built by Japanese architects, with Japanese housing style. Most of them were planned in dormitory type, and some of them were run as tenant houses. Most of them were constructed by bricks, but sometimes by timbers. Tadami was laid in every room and inside-corridor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house. Although the major style of the apartment buildings was Japanese, the Korean dwellers of those apartments has been influencing the housing type of them. In the trial stage, apartment housing has been experienced in diverse ways. With the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ology, floor heating system was settled in apartment housing. This improved the amenities of apartment dwelling remarkably. Although som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still remained in the apartments of Korea, in terms of housing style, the housing style of apartments has been changed into own style of Korea, in accordance with Korean people's life 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give us some good implications regarding contemporary housing plan: First, if the unit size of a collective housing is small, the more space could be available for community activities. Second, when planning of collective housing, more concerns should be payed on surroundings. Third, more attention should be payed about low-rise apartment housing, and more land-friendly planning would be required.

  • PDF

Ku 대역 고출력 고효율 Radial Combiner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 Ku-Band High Power and High Efficiency Radial Combiner)

  • 윤성현;김시옥;이수현;임병옥;이복형;전용규;김현규;유영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400-409
    • /
    • 2017
  • 고주파 대역에서 삽입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고출력을 견딜 수 있는 결합기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특히, Ku 대역 이상에서는 단위소자 당 낼 수 있는 출력 전력이 저주파 대역에 비해 매우 낮기 때문에, 고출력 SSPA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반도체 소자를 결합해야만 한다. 마이크로스트립과 같은 평면 결합기는 결합하는 소자의 개수가 증가하면 비례적으로 삽입 손실이 증가하여 전체 시스템 효율이 떨어지고 발열량도 높아지게 된다. 또한 평면 결합기는 낮은 전력 내구성에 따른 문제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cavity radial combiner를 제안하였다. Ku 대역 16-way cavity radial combiner를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 설계 대역에서 반사손실 14 dB 이하, 94.5 % 이상의 출력결합 효율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