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rt sound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8초

의상디자인 교육용 하이퍼미디어 코스웨어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Hypermedia Couseware for Fashion Design Education)

  • 조진숙;한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8권5호
    • /
    • pp.629-637
    • /
    • 2000
  •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fashion design educational program that will foster the talen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fashion design students. The goal of progressive educational methods with cutting edge technology is to elevate educational efficiency, and ultimately rear creative designers. To fulfill its objective, this paper presents a courseware program on fashion design education utilizing hyper media that include animation, photographs, pictures, sounds and characters. By the utilization of such comprehensive source of information media, a hypermedia courseware was developed for elementary education in fashion design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The program enables the students to customize their fashion design education. The students of fashion design education programs are able to choose and adjust their own programs to suit their requirements and intellectual level. 2. The program effectively motivates. Much like a constant sequence of various images on a screen that can provoke profound heart-felt emotions and inspire creativity, the program can stimulate and motivate the students. 3. The program provides a consistent education. To advance the overall quality of fashion design education, the problem of dissonance in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resolved and possible individual errors in delivery rectified. The present program will solve such problems, and establish coherent standards that will withstand the test of time regardless of time or place. 4. The program is cost effective. Since the present program frees the teacher from the time consuming drudgery of preparing various texts and lesson plans, have the materials delivered and handled, it reduces the time and cost previously required. 5. The program has the capability to be upgraded. The accumulated know-how of teachers and the total experience of the program can be linked with other programs for limitless expansion.

  • PDF

성숙한 당나귀의 큰잘록창자 폐색 증례 (A Case of the Large Colon Impaction in an Adult Donkey)

  • 양재혁;박용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2호
    • /
    • pp.117-12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숙한 당나귀의 큰잘록 창자 폐색 증례를 진단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당나귀(Equus africanus asinus; 암, 6세) 1마리가 제주경마공원 동물병원에 전날부터 시작된 식욕부진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장음소실, 탈수, 심한 복강 확장 등의 증상을 확인하였으나 호흡수 및 심박수는 정상이었고, 복통 증상은 없었다. 직장검사에서 폐색된 부분이 잘록 창자임을 확인하였다. 위세척, 수액요법 및 비스테로이드 계열의 진통제를 투여하였으나 다음날 새벽 갑자기 몸을 떨며 기립곤란과 같이 신체상태가 악화되기 시작한지 2시간 만에 폐사하였다. 부검에서 특히 왼배쪽 잘록 창자와 같은 큰잘록 창자에서 다량의 식괴를 발견하였고, 막창자와 곧창자는 정상이었다. 당나귀는 내원하기 11일 전에 새로 입사해서 사양 관리체계가 바뀌었다. 사료변경, 수분섭취 감소, 운동부족 등이 질병을 유발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당나귀의 정확한 급사원인은 더 연구해야 할 과제로 남는다.

캥거루 케어를 반영한 스마트 감성 매트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Sensibility Mat with Kangaroo Mother Care)

  • 조수민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171-178
    • /
    • 2017
  • 캥거루 케어의 특징을 반영하여 신생아의 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 감성 매트(SSM; Smart Sensibility Mat)를 개발, 제작하였다. 청감 자극의 경우 사전에 녹음된 어머니의 심장박동소리와 목소리를 30dB로 제공할 수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매트에 삽입하였다. 촉감 자극의 경우 $32^{\circ}C$의 일정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해 실리콘 소재의 온수 튜브를 매트의 표면에 삽입하고 자동온도조절장치와 연결하였다. 매트의 전체에 균일한 온도 제공을 위해 열전도성 실을 삽입한 직물을 매트 표면에 부착하였다. 면 패드로 매트를 감싼 후 피부 접촉과 비슷한 촉감 자극을 주기 위해 폴리우레탄 폼을 매트 표면에 접착하였다. SSM이 신생아의 감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해 생후 2주 이내의 건강한 신생아 10명을 대상으로 일반 매트(GM; General Mat) 및 SSM에 있을 때 생리신호인 심박수, 호흡수와 체온을 10분 간격으로 2회씩 측정하였다. 이를 3일에 걸쳐 1일 1회씩 측정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GM에 있을 때 보다 SSM에 있을 때 심박수(t=8.131, p<.001)와 호흡수(t=7.227, p<.001)가 정상범위 안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SSM의 감각 자극이 신생아의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GM보다 빠른 시간 내에 심리적 안정을 주는데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개에서 $Amplatz^{(R)}$ Canine Duct Occluder를 이용한 동맥관개존증의 폐쇄 증례 (Patent Ductus Arteriosus Occlusion with an $Amplatz^{(R)}$ Canine Duct Occluder in a Dog)

  • 강민희;김승곤;한태연;박현아;민사희;박지환;김태우;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98-501
    • /
    • 2012
  • 10개월의 수컷 말티즈견 (1.6 kg)이 간헐적인 기침과 지속성 심잡음을 주증으로 내원 하였다. 환축은 경흉부심초음파 검사와 혈관 조영검사를 통하여 좌우단락의 동맥관개존증 (PDA)으로 진단되었다. 혈관조영 검사를 통하여 동맥관의 형태 및 크기에 대해 평가한 뒤, 대퇴동맥으로 $Amplatz^{(R)}$ Canine Duct Occluder (ACDO) 장치를 삽입하는 투시 유도하 동맥관 폐쇄술이 시도되었다. 동맥관의 폐쇄직후 지속성 심잡음이 사라졌으며, 시술 후 실시된 혈관조영검사를 통하여 잔류혈류가 관찰되지 않았다. 투시 유도하에서 ACDO 장착 및 성공적인 동맥관의 완전폐쇄가 확인되었다. 환자는 시술 1일 뒤 퇴원하였으며, 임상증상 관찰 및 심장검사가 정기적으로 이루어 졌다. 시술 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의 경우 대퇴동맥내로 ACDO를 적용한 성공적인 동맥관개존증 폐쇄술에 대한 국내 첫 증례보고이다.

행동활성화와 억제체계의 민감성과 긍정 및 부정감성 음향자극이 심박동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havioral Activation/Inhibition Systems and Positive/Negative Affective Sounds on Heart Rate Variability)

  • 김원식;조문재;김교헌;윤영로
    • 감성과학
    • /
    • 제6권4호
    • /
    • pp.41-4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긍정감성과 부정감성을 각각 유발시키는 음향을 제시할 때에 반응자의 행동활성화체계(BAS)와 행동억제체계(BIS)의 개인차가 심박동변이도(HRV)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BAS와 BIS 민감성의 고저에 따라 네 집단으로 분류된 25명의 대학생(남:14명)에게 명상음악과 소음을 제시하고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심전도로부터 HRV의 전력스펙트럼밀도를 유도하여 3개의 주된 주파수영역에 대한 HRV의 전력을 구하였다[저주파수(LF : low frequency), 중간주파수(MF : medium frequency), 고주파수(HF : high frequency)]. 그 결과, 명상음악을 제시한 경우 BIS와 BAS가 모두 낮은 집단에 비하여 BIS는 낮고 BAS가 높은 집단의 MF/(LF+HF)가 유의하게 높았다. 아울러, 전자의 집단에서 명상음악 청취시가 소음 청취시에 비하여 MF/(LF+HF)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BIS가 높은 경우에는 BAS의 민감성에 관계없이 이러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BIS는 낮고 BAS가 높은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명상음악과 같은 긍정감성에 더 민감하며, MF/(LF+HF)는 긍정 및 부정감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흉총창에 의한 심방파열 치험 2례

  • 이두연;곽상룡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60-65
    • /
    • 1980
  • We have experienced 2 cases of the hunshot wound sof the chest involving cardiac injuries at department of the thoracic surgery, Capital Armed Forces General Hospital during I year from April I 1979 to Jan. 1980. In one case of two patients , he was a 22 years old man who was transported to this emergency room 4 hour 10 minutes after having gunshot wound of the left chest by helicopter. Physical examination showed small inlet in left 3rd ICS and left parasternal border, large outlet in left 8th ICS and left scapular line, no breath sound on left side and distant heart sound. chest roentgenography demonstrated marked pleural effusion in left side and mediastinum shifted to right. As soon as chest X-ray was taken, the bleeding through penetrating wound became profuse and cardiac arrest ensued. Closed chest cardiac massage was started and vigorous transfusion continued, but no effective cardiac activity could not be obtained. The patient was pronounced dead due to exsanguinating hemorrhage from wuwpected cardiac wounds. In this critically injured patient with evidence of intrathoracic hemorrhage and suspected cardiac penetration, only emergency thoracic exploration and immediate surgical control of bleeding points might offer the maximum possibility of survival. The other case was a 23 years old man who was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room 4 hours 50 minutes after having kmultiple communicated fractures of sternum and linear fracture of right mandible by a missile. Examination revealed about 30% skin loss of the anterior chest wall, weak pulse of 96 beats/min., distant heart sound and decreased breath sounds bilaterally. finding on the chest X-ray films showed multiple sternal fractures, marked pericardial effusion indicating hemopericardium. So, the patient was moved immediately to the operation room where, after endotracheal tube inserted, a median sternotomy was performced. A hemorrhagic congestion of the right upper lobe and marked bulging pericardium were disclosed. The pericardium was opened anterior to right phrenic nerve and exsanguinating hemorrhage ensued from the 0.5cm lacerated wound in the auricle of right atrium. The rupture site of right atrium was occluded with non-crushing vascular clamps and then was over sewn with interrupted sutures. It was thought to be highly possible that he was alive long enough to have cardiorrhaphy because of cardiac tamponade, which prevented exsanguinating hemorrhage. He was taken closed reduction for linear fracture of right mandible 2 weeks after repair of ruptured right auricle in dental clinic. This patient's post-operative course was not eventful.

  • PDF

승모판 폐쇄 부전증에서 발생한 국소적 폐부종 1예 (Localized Pulmonary Edema in Patient with Severe Mitral Regurgitation)

  • 윤영걸;방도석;박범철;이성훈;김재수;박열;홍영철;박상민;고경태;한상훈;박상훈;임준철;나동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432-435
    • /
    • 2005
  • 승모판 폐쇄 부전증에 의한 심부전의 경우 대부분 양측폐에 대칭적으로 폐부종이 발생하지만 일부의 경우 국소적인 폐부종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우상엽에 발생하며 우중엽에 동반되기도 한다.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의 흉부 방사선 소견상 일측성 침윤이 보일때 폐렴과 국소적인 폐부종을 감별해야 할 것이다.

일반인들은 숨쉴 때 "쌕쌕하는 소리"를 천명음으로 이해하는가? (Does the Layman Understand "the Whistling Sounds when Breathing out" as Real Wheezing?)

  • 장승훈;정승현;엄광석;신태림;김철홍;반준우;김동규;박명재;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4호
    • /
    • pp.378-385
    • /
    • 2003
  • 연구배경 : 천명음을 문자로 묘사한다면 왜곡된 의미로 일반인에게 이해될 수 있어서 이들에게 천명음 존재 여부를 조사할 때 응답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방 법 : 2002년 12월부터 2003년 3월까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호흡기내과를 방문한 일반인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천명음을 묘사하기 위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하는 표현인 "쌕쌕하는 소리", "피리 소리", "휘파람 부는 듯한 소리"를 생각해 보도록 한 다음, 4가지 서로 다른 호흡음을 들려주고 천명음과 가장 유사한 소리를 고르도록 하였다. 또한 3주 이상 지속된 만성기침을 주소로 같은 기간 동안 방문한 환자 중에서 천명음이 있다고 대답한 45명을 대상으로 실제 천명음을 들려주고, 그들이 경험하였다는 천명음이 이와 같거나 유사한 소리인지 답하는 비율을 구하였다. 결 과 : 1) 60명의 천명음을 경험하지 못한 설문 대상자 중에서 천명음 음향 파일을 정확히 맞히는 정답율은 46.7%에 불과했다. 2) 45명의 천명음을 경험하였다는 만성 기침 환자 중에서 실제 천명음을 듣고 그들이 주장하였던 것과 유사한 소리라고 인정하는 비율은 77.8%이었다. 22.2%는 실제 천명음을 듣고 그들이 처음 호소했던 천명음을 부인하였다. 결 론 : 일반인에게 천명음을 문자로 설명하는 경우 자연음 묘사의 한계와 일반인의 이해 부족 때문에 천명음의 존재를 정확히 알아낼 수 없다. 이런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청각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식형 양심실 보조 장치에 사용된 기계식 판막의 음향 스펙트럼 특성 (Spectral Properties of the Sound From the Mechanical Valve Employed in an Implantable Biventricular Assist Device)

  • 최민주;이서우;이혁수;민병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39-448
    • /
    • 2001
  • 이식형 양심실 보조 장치 (Biventricular Assist Device, BVAD)에서 판막이 닫힐 때 나는 소리의 특성과 판막의 물리적인 상태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Bj rk Shiley Convexo Concave tilting disk 판막을 사용했으며, 모의 순환계와 양의 체내에서 동작하는 BVAD 에서 판막음을 측정하였다. 모의 순환계에서는 정상 판막. 기계적으로 손상된 판막. 모의 혈전이 형성된 판막의 3가지를 고려하였다. 양에 이식된 BVAD의 경우, 이식 후 1일부터 5일 동안 규칙적인 간격으로 판막음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신호의 스펙트럼 특성은 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MUSIC)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MUSIC의 최적 차수는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판막의 기계적인 손상은 판막 폐쇄음의 주파수 스펙트럼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혈전의 형성은 판막음 스펙트럼의 기본 구조는 유지하지만 피크 주파수와 에너지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최대 에너지를 가지는 MSP (maximum spectral peak)는 정상 판막에서는 2 kHz에 위치하고 있으나 모의 혈전을 부탁한 판막에서는 3 kHz로 이동하였다. 손상된 판막은 7 kHz 부근에서 강한 피크 보이고 있다 실험 동물 내에서 판막에 혈전이 형성되어감에 따라 판막음은 저주파 성분 (〈 2kHz)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Ist 2nd. 3rd MSP 주파수는 약간씩 상승하였다. 또한 혈전이 형성되어 감에 따라 반복해서 측정된 판막음의 1st, 2nd. 3rd MSP 주파수의 변화 정도 및 BIC 차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양이 비대심장근육병증에 의한 대동맥혈전색전증 2례 (Hypertrophic Cardiomyopathy with Aortic Thromboembolism in Two Cats)

  • 김미은;이혜연;김준영;이남순;전재남;이영흔;윤화영;김대용;최민철;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62-366
    • /
    • 2009
  • 비대심장근육병증은 고양이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심장근육병증의 한 종류이다.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어떤 예에서는 유전적인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혈전색전증은 심장근육병증이 있는 고양이에서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한다. 서울대학교 동물병원에 구토 이후에 양쪽 후지마비를 주소로 내원한 2마리의 고양이에서, 내원 당시 고양이는 침울한 상태였고, 양쪽 후지는 청색증을 보였고 냉감과 통증을 나타내었다. 심잡음이 두 마리 모두에서 청취되었다. 일반 촬영과 심초음파 평가를 통해 비대심장근육병증을 진단하였다. 대동맥 분기부 혈전색전증을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두 고양이 모두 폐사하였으며, 그 중 한 마리에서는 부검을 통해 비대심장근육병증 및 안장모양 혈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