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rt septum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8초

Berry 증후군의 신생아기 일차완전교정술 (One Stage Repair of Berry Syndrome in a Neonate)

  • 최창휴;곽재건;김진현;정요천;김동진;오세진;이정렬;김용진;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1호
    • /
    • pp.918-921
    • /
    • 2004
  • 대동맥궁단절과 우폐동맥이 대동맥에서 기시하는 형태의 대동맥폐동맥창의 조합인 Berry증후군은 매우 드문 복합심기형의 하나이다. 14일된 신생아에 있어서 국소순환하에 순환정지 없이 일차완전교정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개에서 심방중격결손의 증례 (Atrial Septal Defect in Dogs)

  • 정주현;엄기동;장광호;오태호;이영원;장동우;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0-113
    • /
    • 2002
  • An atrial septal defect (ASD) is a congenital hole in the atrial septum that allows flow between the two atria. Small ASDs are usually well-tolerated defects and do not result in significant clinical abnormalities. In large ASDs or in the presence of other cardiac defects, clinically significancy is increased. Atrial septal defects in 2 Dogs with cardiac and respiratory signs were diagnosed at seoul animal medical center. In ascultation, systolic murmur and the splitting of second heart sound were heard at pulmonary or tricuspid valve region. In radiograph, right-sided cardiomegaly, pulmonary artery dilation, increased pulmonary vasculature makings, and pleural effusion or pulmonary edema signs were observed. In echocardiography, the region, location and size of septal defect was identified. Also, the direction and degree of shunt was measured. These dogs were treated with medicine for cardiac failure. One dog is well-tolerated, the other dog died.

Type 4 Tetralogy of Fallot with Pulmonary Hypertension in an American Shorthair Cat

  • Hyeon-Jin Kim;Jihyun Kim;Tae Jung Kim;Ha-Jung Kim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66-372
    • /
    • 2022
  • A 2-year-old, spayed female, American shorthair cat presented with acute weight loss, tachypnea, and dyspnea. The cat had grade V holosystolic murmur and systemic hypotension. Echocardiography showed a 9 mm defect in the ventricular septum, left-to-right dominant bi-directional shunt, 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pulmonary stenosis, pulmonary hypertension, and overriding aorta. The cat was diagnosed with a Tetralogy of Fallot. The cat was treated with furosemide, pimobendan, ramipril, and sildenafil. Treatment reduced pulmonary infiltration, pulmonary vessel enlargement, and main pulmonary artery bulging. However, right-to-left flow increased over time and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velocity was elevated. Currently, the patient has maintained an improved state for 1 year. This case report described a severe inherited feline Tetralogy of Fallot case that was successfully managed for a long time.

동맥간증 제 IV형 -1예 보고- (Truncus Arteriosus, Type IV -one case report-)

  • 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3권3호
    • /
    • pp.243-249
    • /
    • 1980
  • Truncus ateriosus is one of the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 The incidence is relatively uncommon, as 0.4% of totoal congenital heart disease. Embryologically the defect is due to a lack of partitioning of the embryonic truncus and conus during the first few weeks of fetal life. The ventricular septal defect is invariable present. A single arterial vessel arises from the heart and supplies blood to the aorta, the lung, and the coronary arteries. In 1949, collett and Edwards classified this defect according to anatomic variation to four major types, such as type I, II, III, and IV. Type IV is defined that pulmonary arteries are absent, and the pulmonary arterial supply arises from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This patients often have a continuous murmur head particularly well in the interscapular area. No effective surgical treatment is available. We have experienced one case of truncus arteriosus, type IV of Collett and Edwards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is patient was 10 year-old girl. The chief complaints were cyanosis and dyspnea on exertion since birth. She was admitted at this hospital on April 16, 1980. The continous machinery murmur was heard loudest at the interscapular area. The chest X-ray films revealed cardiomegaly with an increase in pulmonaryvascular markings. The pulmonary secotr was significantly concave. No filling of pulmonary arteries noticed by the right ventriculogram. There was possible biventricular hypertrophy in EKG. The echocardiogram showed that the demension of the aortic root was larger than normal and minimal increase of the left ventricular internal dimension. The cardiac catheterization data was obtained by use of the great saphenus vein approach. The systolic pressure of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was 80 mmHg and was similar to that of the aorta. The oxygen saturation data revealed the evidence of the left to right shunt at the level of ventricular septum. The patient was operated and the diagnosis was confirmed as trucus arteriosus, type IV. No effective surgical interventins were performed.

  • PDF

상심실성 빈맥과 심장 종양으로 진단된 결절성 경화증 1예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in a neonate with cardiac rhabdomyoma and tuberous sclerosis)

  • 방인국;김여향;김천수;이상락;권태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7호
    • /
    • pp.766-770
    • /
    • 2008
  • 심장의 원발성 종양은 소아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횡문근종은 태아, 영아 및 소아 연령에서 가장 흔한 원발성 심장 종양으로 결절성 경화증이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결절성 경화증은 뇌, 심장, 피부 및 기타 장기들을 침범하는 신경피부 증후군으로, 결절성 경화증을 가진 영아의 50-64%에서 동반된다. 심장 횡문근종은 종괴는 심방을 비롯하여 심실 중격과 심실벽에 다발성으로 존재하며 종양의 위치와 크기, 침범 정도에 따라 심장 유출로 협착 및 심부전과 같은 여러 가지 임상 양상을 보일 수 있다. 드물지만 부정맥을 주증상으로 발현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심장의 횡문근종이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성장과 함께 쇠퇴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극히 일부분에서만 장기적인 항부정맥제 사용이 요구된다. 환자의 최종적인 예후는 동반되는 뇌병변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저자들은 상심실성 빈맥으로 입원치료 중 진단된 심장 횡문근종을 가진 결절성 경화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우심실 종괴로 나타난 고환 태생암의 심장 전이 (Intracardiac Metastasis of Testicular Embryonal Carcinoma That Presented with a Right Ventricular Mass)

  • 심만식;김욱성;성기익;이영탁;박표원;임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81-85
    • /
    • 2010
  • 심장 전이는 환자가 사망하기 전에 진단되는 경우가 드물다. 저자들은 고환 융모암의 다발성전이를 보였던 26세 남자에서 심장 전이를 진단하였고 심장초음파에서 심실중격에서 기원하여 우심실유출로에 유동하는 종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심실로부터 제거한 종괴의 조직학적 소견은 고환 융모암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고 환자는 수술적 치료 및 항암화학요법 후에 안정된 회복을 보였다. 국내에는 고환 융모암의 심장 전이를 수술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성공적인 치료 효과를 보였던 증례 보고가 없어 보고하고자 한다.

우심방에 발생한 원발성 악성 림프종의 수술적 치험 - 1예 보고 - (Primary Malignant Cardiac Lymphoma in Right Atrium - A case report-)

  • 최원석;한일용;전희재;이양행;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69-372
    • /
    • 2008
  • 심장에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림프종은 매우 드물다. 68세 남자 환자가 점점 심해지는 호흡곤란으로 본원 흉부외과에 입원하였다. 심장 초음파, 흉부컴퓨터단층촬영 후, 우심방과 우심실에 걸쳐 있는 거대 종양을 발견하였다. 뇌경색 등의 위험과 혈역학적 불안정으로 응급수술을 결정하였다. 우측 심장에 있는 거대 종양을 심방 중격의 일부와 전외측 우심방 벽을 함께 포함하여 제거하고, 우형 심내막 패치로 재건하였다. 최종 조직검사상 원발성 악성 림프종으로 진단되었으며, 환자와 보호자가 경제적 이유 등으로 항암치료를 거부하고 귀가 퇴원을 하였다.

고양이 심근비대증에 병발한 안장색전증의 중재치료 증례 (Interventional Approaches for Treatment of Saddle Embolus in Two Ca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강민희;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8-302
    • /
    • 2014
  • 8년령의 중성화된 잡종 수컷 고양이 (증례 1)와 3년령의 중성화된 샴 수컷 고양이 (증례 2)가 뒷다리 마비, 지속적인 개구호흡, 그리고 객혈 등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심잡음 (증례 1)과 분마성심음 (증례 2)이 좌측 심저부에서 청진되었으며, 방사선 검사상 증례 1의 경우 폐포패턴을 동반한 심한 공기연하증이, 증례 2에서는 확연한 심비대가 확인되었다. 심초음파 검사에서 두 마리 고양이 모두에서 좌심실과 심실중격의 구심성 비대와 좌심방의 확장이 확인되었다. 심장 초음파를 포함한 검사를 바탕으로 본 환축은 고양이 심근비대증으로 진단되었으며, 신체검사와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병발한 안장색전증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인 치료를 통한 환축의 예후가 불량한 점을 감안하여, 직접적인 혈관내 혈전용해술이 시도되었다. 혈관조영술을 통하여 혈전의 위치와 크기를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광범위한 색전증으로 인하여 중재적 시술을 이용한 혈전용해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심장점액종의 임상적 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Cardiac Myxoma)

  • 김종원;전상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311-314
    • /
    • 1996
  • 1985년 1월 부터 1994년 12월 까지 10년간 부산대학교 흉부외과에서는 18명의 심장 점액종 환자를 수 술하였다. 17례는 좌심방 점액 종이 었고 1례는 우심방 점액종이었다. 환자의 연령은 15세에서 62세 사이로 평균 42.6세 였고 여자가 13명 남자가 5명이었다. 술전 증상으로는 운동시 호흡곤란이 전례 에서 있었 고 심계항진이 9례, 흉통이 5례, 실신을 경험한 경우가 3례 있었으며 대부분이 전신적 무력감, 체중감소, 발열, 기침, 상복부 불쾌감 등의 다양한 동반증상이 있었다 진단은 1례의 우심방 점액 종을 제외한 나머지 17례의 좌심방 점액종에서는 심장초음파검사만으로 충분하였다 수술소견상 점액 종의 부착 부위는 난원공이 12례, 난원공 이외의 심발중격이 3례, 승모판막윤이 1례, 좌심방벽이 2례 였으며 점액종의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였다. 점액종을 제거하기위한 접근은 8례에서는 우심방 절개를, 10례에서는 양심방 절 개를시행하였다. 수술로 인한 조기 및 만기 사망례는 없었고 외래 추적중재발례도 없었다. 심장점액 종의 외과적 치료는 거의 완치가 가능하며 예후가 좋은 것으로 여겨진다.

  • PDF

Cardiovascular beriberi: rare cause of reversible pulmonary hypertension

  • Song, Joon Hyuk;Cheon, Sang Soo;Bae, Myung Hwan;Lee, Jang Hoon;Yang, Dong Heon;Park, Hun Sik;Cho, Yongkeun;Chae, Shung Chull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38-42
    • /
    • 2014
  • Cardiovascular beriberi is caused by thiamine deficiency and usually presents as high cardiac output failure associated with predominantly right-sided heart failure and rapid recovery after treatment with thiamine. Because of its rarity in developed countries, the diagnosis can often be delayed and missed.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cardiovascular beriberi with pulmonary hypertension which successfully treated with thiamine infusion. A 50-year-old man with chronic heavy alcoholics was refered to our department for dyspnea with mental change. Echocardiography showed marked right ventricular (RV) dilatation and flattening of the interventricular septum with a D-shaped deformation of the left ventricle. Moderate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was found and estimated RV systolic pressure was 52 mm Hg. Because of his confused mentality and history of chronic alcohol intake, neurological disorder due to thiamine deficiency was suspected and intravenous thiamine was administered and he continuously received a daily dose of 100 mg of thiamine. Follow up echocardiography showed marked reduction of RV dilatation and improvement of a D-shaped deformation of the left ventricle. He finally diagnosed as cardiovascular beriberi on the basis of dramatic response to intravenous thiamine. Thiamine deficiency can cause reversible pulmonary hypertension, and can still be encountered in the clinical setting. Thus high index of suspicion is critically needed for dia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