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Checkup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초

일부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usage status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in service workers behavior)

  • 김명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7-52
    • /
    • 2008
  • 본 연구는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시 S생명사와 L백화점에 종사하는 서비스군 200명과 사무직에 종사하는 비서비스군 200명을 대상으로 칫솔질 습관,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행태 및 만족도 등에 관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서비스군의 양치 횟수는 하루 3~4회(53.4%)가, 양치방법은 위 아래로 닦는 방법(50.8%)이 가장 많았으며, 양치 시기는 식후 5분 후(45.0%)가 하는 경우가, 칫솔 교환 시기는 모양을 보고 교환하는 경우(56.6%)가 가장 많았다. 2. 서비스군은 비서비스군에 비해 구강위생보조용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그 사용 빈도는 이쑤시개(30.9%), 구강양치용액(29.9%), 치실(13.5%), 혀닦이(10.1%) 순이었으며 그 외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빈도는 매우 낮았다. 3. 각 구강위생보조용품 별로 두 군 간의 사용현황을 비교해 보면, 서비스군은 치실(66.1%),의 사용이 비서비스군(33.9%)에 비해 더 많았고, 혀닦이(64.4%), 역시 비서비스군(33.3%)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구강양치용액에서도 서비스군이 (64.43%) 비서비스군에(35.6%) 비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쑤시개에 있어서는 비서비스군(54.6%)이 서비스군(45.4%)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동기는 치과에서 권유하여 사용하는 경우(53.6%)가 가장 많았고,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용하기 불편하거나(45.4%), 사용하는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21.60%)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인지도에 따른 사용률을 조사한 결과 이쑤시개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강위생보조용품에서 서비스군이 비서비스군보다 높은 이용률을 보였으며 특히 구강양치용액(54.8%), 혀닦이(43.3%) 치실(35.8%) 등에서 다소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6. 서비스군(54.9%)은 비서비스군(45.1%)에 비해 정기검진을 더 많이 받고 있었으며, 정기검진의 기간에 있어서 1년마다 시행하는 경우가(43.5%) 가장 많았다. 조사결과 서비스 종사자들은 비서비스종사자들에 비해 구강위생활동을 더 활발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 또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일부 구강위생보조용품만을 사용하고 그 외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함에 불편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지속적인 적극적인 홍보가 매우 필요하고, 다양한 교육매체를 이용하여 구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아울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강위생보조용품을 개발하고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판매처를 증가시키고 보급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 서비스 종사자들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 종사자들을 모두 대표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구강위생보조용품 사용률은 평가하였으나 사용능력은 평가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즉, 구강위생용품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사용률 못지않게 중요하나 이를 조사하지 못했다. 셋째, 인지도에 따른 사용현황은 조사하였으나 구강건강 상태와 관련하여 사용실태를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보다 더 실용적인 자료가 되기 위해, 앞선 한계를 보완한 조사도구가 개발되어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치과방사선 촬영실의 환경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nd Safety in Dental Radiography Room)

  • 박일순;이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64
    • /
    • 2004
  •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duct a questionnaire research into the safety control and the actual condition of radiography by working with dentistry belonging to university hospitals, dental hospitals and dental clinics for three months ranging from August, 2003 to October, 2003. The researcher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research on the current condition of possessed radiational equipment shows that 61.2 percent of the subjects had one intraoral radiation medicine and that 70.1 percent of the subjects had more than one extraoral radiation medicine and that 37.3 percent of the subjects had more than one digital radiation medicine. 2. Most of intraoral radiography (82.1%) was conducted by dental hygienists, and 7.5 percent of intraoral radiography was conducted by nurse aids. On the other hand, most of extraoral radiography (76.6%) was conducted by dental hygienists and digital radiography was conducted by dental hygienists(60.6%), dentists(32.0%) and radiographer(80.0%). 3. The less-than 1-meter-long distance between cone and the radiographer accounted for 44.8 percent. And the more-than 1.6-meter-long distance accounted for no more than 13.4 percent. The exposure time per standard film which was adjusted to each part accounted for 71.6 percent. Fixing the film on the part of healthy patients accounted for 76.1 percent. Fixing the film of elderly patients and children patients by the radiographer accounted for 43.3 percent. 4. The average daily photographing frequency of standard films stood at six to ten pieces(31.3%), and the average weekly photographing frequency of bitewing films stood at less than one piece(47.8%), and the dentistries where bitewing films were not employed accounted for 25.4%. The subjects whose average weekly photographing freqeuncy of occlusal films stood at less than a piece accounted for 59.7 percent. The dentistries whose average weekly photographing frequency of pediatric films stood at one to five pieces accounted for 41.8 percent. In case of panorama & cephalo, one to five pieces on a weekly average accounted for 36.2 percent. The dentistries whose average daily photographing frequency of digital radiation medicine stood at less than 1 piece accounted for 40.0 percent. 5. The research on the use of protective clothes shows that pregnant ·women only accounted for 31.3 percent. In regard to the use of protective clothes in case of the radiographers fixing films, the cases where no protective clothes were employed accounted for 88.1 percent. The reason was said to he attributable to the trouble related to wearing the clothes(54.2%). 6. The survey on the measurement of exposure dose shows that the cases where no measurement was made accounted for 76.1 percent. As far as the measurement methods of exposure dose was concerned, the employment of film badge accounted for 68.8 percent. The subjects turned out to conduct measurement of exposure dose every third month, which accounted for 43.8 percent. The barriers to the measurement of measurement of exposure dose were attributable to the recognition that a little amount of exposure dose need not be measured(29.9%). 7. The survey on the distinction of radiation rooms and clinic rooms reveals that the cases where radiation rooms exclusively existed accounted for 67.2 percent. 43.3 percent of the subjects turned out to have only one protective garment, and 49.3 percent of the subjects proved to conduct a periodical checkup of radiational equipment. The survey on the examination certificates of radiational generators and protective facilities indicates that 80.6 percent of the subjects had the certificates.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the subjects with the marks indicating the radiational areas accounted for 70.1 percent. And trustees turned out to handle developing solutions and fixing solutions.

  • PDF

A형 간염의 자연항체와 예방접종을 통한 항체 생성률의 역가 비교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iter of Seroconversion Rate Through the Natural Antibody and Antibody after Vaccination of Hepatitis A)

  • 권원현;김경화;조경아;문기춘;김정인;이인원
    • 핵의학기술
    • /
    • 제17권2호
    • /
    • pp.95-100
    • /
    • 2013
  • 2008년부터 A형 간염 환자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본원에 내원하여 건진을 받는 대부분의 수검자들이 A형 간염(IgG) 항체 생성 유무에 관심이 많아지며 검사 건수가 증가하였다. 그에 따라 항체 검사결과가 cut-off값에 걸리는 검체가 많아져 원인을 분석하였더니 대부분 A형 간염 예방접종을 한 수검자들이었다. 이에 저자들은 건강증진센터에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연면역을 획득한 수검자들 그룹과 본원에서 A형 간염 예방접종(1차, 2차)을 실시한 직원들 그룹으로 나누어 검사를 시행하였고 cut-off값을 기준으로 항체 생성률과 그에 대한 역가를 비교하고 진단검사의학과와 핵의학과에서 사용하는 진단 시약간에 항체 생성률과 그에 대한 역가를 비교해 보고자 했고, 2012년 8월 한 달 동안 건진 수검자 185명을 설문조사하여 자연면역을 획득한 119명과 본원에서 예방 접종을 실시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1차 접종자 53명, 2차 접종자 59명으로 대상을 분류했다. 항체 생성률은 cut-off값 1을 기준했을 때 0.90-1.10 (${\pm}$), 0.60-0.89 (1+), 0.30-0.59 (2+), 0.01-0.29 (3+)로 나누어 역가를 비교하고, 같은 기준으로 제조사별 백신 접종 후 항체 생성률에 대한 역가를 비교평가 해 보았다. 그 결과, 건진 수검자 중 자연 면역을 획득한 수검자는 cut-off값 1을 기준했을 때, 0.90-1.10 (${\pm}$)가 0%, 0.60-0.89 (1+)가 0%, 0.30-0.59 (2+)가 4.2%, 0.01-0.29 (3+)가 96%로 역가가 <0.60 ($${\geq_-}2+$$)가 100%였다. 그리고 예방접종을 실시한 직원들의 항체 생성률은 1차 접종자 중 ${\pm}$가 59.1%, 1+가 18.1%, 2+가 18.1%, 3+가 4.6%로 총 45.3%였고, 역가는 $${\geq_-}$$ 0.60 ($${\leq_-}1+$$)가 77.3%였다. 2차 접종자의 항체 생성률은 ${\pm}$가 1.9%, 1+가 15.4%, 2+가 36.54%, 3+가 46.2%로 총 88.1%였고 역가는 <0.60 ($${\geq_-}2+$$) 82.7%가 였다. 또한 제조사별로 비교 하였을 때 1차 접종자의 항체 생성률은 BNIBT 20.8% (${\pm}24.5%$), GB 15.7% (${\pm}7.8%$), RIAKEY 94.3% (${\pm}3.8%$), ROCHE 83% (${\pm}0%$), Abbot 73.1% (${\pm}5.8%$)였고, 2차 접종자의 항체 생성률은 BNIBT 86.4% (${\pm}1.7%$), GB 88.5% (${\pm}1.9%$), RIAKEY 100% (${\pm}0%$), ROCHE 98.3% (${\pm}0%$), Abbot 98.2% (${\pm}0%$)였다. 즉 자연면역 항체가 예방접종에 의한 항체보다 역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1차 접종 후 보다는 2차 접종 후 검사를 시행했을 때 항체 생성률과 역가가 대부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결과 보고시 negative, index (${\pm}$), weak positive (1+), positive (2+), strong positive (3+)로 역가를 나누어 보고를 하거나 결과값에 index값을 같이 적어서 결과를 상세히 보고한다면 과거결과와 비교도 가능할 것이다. 또 제조사별 비교 시 1차 예방접종 후의 항체 생성률과 역가에서 시약간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매년 예방 접종률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각 제조사들은 민감도나 재현성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고, 자연면역항체와 예방접종을 통한 항체간에 생길 수 있는 미지의 차이를 감안하여 검사자들이 사용하는 시약을 신뢰할 수 있도록 더 연구하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