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ad %26amp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잉크젯 입력 파형의 파라미터와 토출 속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k Jetting Speed and Inkjet input Waveform Parameters)

  • 권계시;명재환;엄태준;주영철;이상욱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43-147
    • /
    • 2009
  • Inkjet printing makes use of ink droplets to form required patterns on a substrate. In order for the inkjet technology to produce reliable patterning tools, the jetting performance needs be controlled precisely. For controlling ink jetting performance, input waveform should be properly designed. In the past, the research was focused on designing dwell time of the input waveform for controlling jetting speed. However, the jetting performance is also closely related to rising and falling tim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rising and falling time on droplet speed will b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droplet speed. In this study, the power OP amp (PA98A) was used in order to drive piezo inkjet head by amplifying the waveform generated from arbitrary function generato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change of rising and falling time in the waveform not only affect the droplet speed but also optimal dwell time.

가다랑어잔사를 이용한 어간장 제조 및 대미성분 (Processing and Taste Compounds of the Fish Sauce from Skipjack Scrap)

  • 이응호;이태헌;김진수;안창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35
    • /
    • 1989
  • 수산물가공잔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가다랑어잔사를 이용한 어간장을 제조하기 위 한 기초실험을 하였으며, 코오지 첨가에 의한 풍미개선 및 솔비톨, 젖산, 알코올 등의 첨가에 의한 어간장의 저염화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숙성중 어간장의 정미성분도 분석하였다. 초퍼로 마쇄한 가다랑어두부에 대하여 가다랑어내장 $6.6\%$, 코오지 $26.7\%$, $25\%$ 식염수 $71.7\%$, 식염 $13.3\%$, 포도당 $7.6\%$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상온에서 90일간 숙성시켜 코오지첨가어간장 K를 제조하였고, 어간장 K의 제조시 첨가한 식염대신 솔비톨 $7.6\%$, 젖산 $0.3\%$, 알코올 $9.8\%$를 첨가하여 식염농도 $9.12\%$인 저염어간장 L을 제조하였다. 숙성중 어간장 K 및 L의 총유리아미노산함량은 증가하여 숙성 90일째 각각 3,307.7mg/100m1, 3,637.1mg/100m1이었으며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Iysine, valine, phenylalsnine, alanine, leucine 및 isoleucine등이었고 이들은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총불휘발성유기산은 숙성중 증가하여 숙성 90일째 어간장 K는 1,002.1mg/100ml, L은 1,312.9mg/100ml였으며, 함량이 많은 불휘발성유기산으로는 lactic acid, succinic acid 및 pyroglutamic acid 등이었고 이들은 전체의 $90\%$이상을 차지하였다. 숙성중 핵산관련물질은 ADP, AMP, IMP는 감소하였으며, inosine과 hypoxanthine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숙성 90일째 hypoxanthine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숙성중 어간장 K 및 L에 있어서 betaine은 감소하였으며 총 creatinine은 거의 변화가 없었고, TMAO는 감소한 반면 TMA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다랑어잔사어간장의 제조시 코오지를 첨가함으로서 어간장의 풍미를 개선할 수 있었으며 총사입량에 대하여 솔비톨 $3.2\%$, 젖산 $0.3\%$, 에틸알코올을 $4\%$ 첨가함으로서 품질면에서 양호한 저염어간장을 제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