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e Scen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그래프 기반 영역 분할 방법을 이용한 매체 전달량 계산과 가시성 복원 (Estimation of the Medium Transmission Using Graph-based Image Segmentation and Visibility Restoration)

  • 김상균;박종현;박순영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4호
    • /
    • pp.163-170
    • /
    • 2013
  •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획득되는 영상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 물방울, 연무, 안개, 연기 등에 의해 화질이 감쇠되고 결과적으로 대비도 감소와 색상의 왜곡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나 안개와 배경 사이에 내재된 모호성 때문에 배경으로부터 안개를 제거하는 작업은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영상에서 비용함수로서 에지의 기울기를 이용한 그래프 기반 영역 분할 방법을 이용하여 안개 제거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는 장면을 깊이 관련 정보에 따라 여러 영역으로 분리하고 전역적인 안개값을 추정한다. 매체의 전달량은 그래프 기반 영역 분할 알고리즘의 임계 함수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계산된다. 매체 전달량과 안개값이 계산되면 안개 모델식에 의해서 쉽게 안개가 제거된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안개 영상과 복원된 영상간의 에지의 기울기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기존의 연구 방법과 제안된 연구 방법의 가시성 복원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다양한 안개 영상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의 우수한 안개 제거 및 화질 복원 능력이 입증되었다.

Haze Scene Detection based on Hue, Saturation, and Dark Channel Distributions

  • Lee, Y.;Yang, Seungj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229-234
    • /
    • 2020
  • Dehazing significantly improves image quality by restoring the loss of contrast and color saturation for images taken in the presence. However, when applied to images not taken according to the prior information, dehazing can cause unintended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To avoid unintended degradations, we present a hazy scene detection algorithm using a single image based on the distributions of hue, saturation, and dark channel. Through a heuristic approach, we find out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hue, saturation, and dark channels in the hazy scene and make a detection model using them. The proposed method can precede the dehazing to prevent unintended degradation. The detection performance evaluated with a set of test images shows a high hit rate with a low false alarm ratio. Ultimately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control the effect of dehazing so that the dehazing can be applied to wide variety of images without unintended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Single-Image Dehazing based on Scene Brightness for Perspective Preservation

  • Young-Su Chung;Nam-Ho Kim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2권1호
    • /
    • pp.70-79
    • /
    • 2024
  • Bad weather conditions such as haze lead to a significant lack of visibility in images, which can affect the functioning and reliability of image processing systems. Accordingly, various single-image dehazing (SID) methods have recently been proposed. Existing SID methods have introduced effective visibility improvement algorithms, but they do not reflect the image's perspective, and thus have limitations that distort the sky area and nearby objects. This study proposes a new SID method that reflects the sense of space by def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image brightness and haze. The proposed method defines the haze intensity by calculating the airlight brightness deviation and sets the weight factor of the depth map by classifying images based on the defined haze intensity into images with a large sense of space, images with high intensity, and general images. Consequently, it emphasizes the contrast of nearby images where haze is present and naturally smooths the sky region to preserve the image's perspective.

안개가 포함된 영상에서의 색 왜곡 특성 분석 (Analysis of Color Distortion in Hazy Images)

  • 김정엽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1권6호
    • /
    • pp.68-7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안개(haze)가 존재하는 영상에서의 색상 왜곡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장면에 안개가 포함되는 경우, 장면에서 반사되는 칼라 신호는 안개 성분에 따른 투과율의 영향으로 색상의 왜곡이 수반된다. 통상적인 안개 제거(de-hazing) 방법으로 안개의 영향을 배제하는 경우 색상의 왜곡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Khoury 등은 많은 연구에서 언급되는 안개 모델인 다크-채널-프라이어(dark channel prior) 기법을 이용하여 색상의 왜곡 정도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색 오차 값 등 왜곡의 경향성 만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인 색 왜곡에 대한 분석을 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색 왜곡의 형태를 분석하고, 색상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복원 방법을 제안하였다. Khoury 등이 사용한 데이터베이스의 입력 영상에는 표준 칼라 도구인 맥베스 칼라체커(Macbeth color checker)가 포함되어 있다. 맥베스 칼라체커(Macbeth color checker)의 칼라 값들을 이용하여 안개 농도의 변화에 따른 색상 왜곡을 분석하고, 모델링을 통하여 새로운 색상 왜곡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안개 농도 변화에 따른 단계별 색도(chromaticity)의 변화와 기준 정보(ground truth)의 색도를 이용하여 사상(mapping) 함수를 구하는 것이다. 색 왜곡의 형태가 안개 농도에 비례하여 단계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모든 단계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통합적인 사상 함수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방법을 통한 색상 왜곡의 개선을 각도 오차(angular error)의 값을 기준으로 추정하였으며, 기존 방법에 비하여 15% 정도의 개선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 PDF

A Novel Image Dehazing Algorithm Based on Dual-tree Complex Wavelet Transform

  • Huang, Changxin;Li, Wei;Han, Songchen;Liang, Binbin;Cheng, P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0호
    • /
    • pp.5039-5055
    • /
    • 2018
  • The quality of natural outdoor images captured by visible camera sensors is usually degraded by the haze present in the atmosphere. In this paper, a fast image dehazing method based on visible image and near-infrared fusion is proposed. In the proposed method, a visible and a near-infrared (NIR) image of the same scene is fused based on the dual-tree complex wavelet transform (DT-CWT) to generate a dehazed color image. The color of the fusion image is regulated through haze concentration estimated by dark channel prior (DCP). The experiment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dehazing methods and effectively solves the color distortion problem in the dehazing process.

컬러 영상과 근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영상 융합 (Image Fusion using RGB and Near Infrared Image)

  • 길태호;조남익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15-524
    • /
    • 2016
  • 근적외선은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파장 대역을 벗어난 빛으로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핫미러 필터에 의하여 차단된다. 하지만 근적외선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들은 영상의 전체적인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영상의 질 개선에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에 안개가 낀 경우, 근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안개 입자에 대한 침투성이 더 강하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근적외선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면 일반적인 카메라 영상보다 더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실외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 컬러 영상과 근적외선 영상을 융합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첫 번째로, 본 논문은 컬러 영상과 근적외선 영상의 대비를 비교하여 가중치 맵을 구한다. 그 후, 이 가중치 맵을 이용하여 두 영상을 융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논문은 실험 결과들을 통해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효과적으로 영상의 질을 높이고, 또한 안개를 제거하는 것을 보여준다.

Single Image Dehazing Using Dark Channel Prior and Minimal Atmospheric Veil

  • Zhou, Xiao;Wang, Chengyou;Wang, Liping;Wang, Nan;Fu, Qim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1호
    • /
    • pp.341-363
    • /
    • 2016
  • Haze or fog is a common natural phenomenon. In foggy weather, the captured pictures are difficult to be applied to computer vision system, such as road traffic detection, target tracking, etc. Therefore, the image dehazing technique has become a hotspot in the field of image processing. This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existing achievements on the image dehazing technique. The intent of this paper is not to review all the relevant works that have appeared in the literature, but rather to focus on two main works, that is, image dehazing scheme based on atmospheric veil and image dehazing scheme based on dark channel prior. After the overview and a comparative study, we propose an improved image dehazing method, which is based on two image dehazing schemes mentioned above. Our image dehazing method can obtain the fog-free images by proposing a more desirable atmospheric veil and estimating atmospheric light more accurately. In addition, we adjust the transmission of the sky regions and conduct tone mapping for the obtained images. Compared with other state of the art algorithms,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images recovered by our algorithm are clearer and more natural, especially at distant scene and places where scene depth jumps abrup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