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HACCP)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1초

Vascular rinsing and chilling carcasses improves meat quality and food safety: a review

  • Koeun, Hwang;James R., Claus;Jong Youn, Jeong;Young-Hwa, Hwang;Seon-Tea, Jo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3호
    • /
    • pp.397-408
    • /
    • 2022
  • Rinse & Chill® technology (RCT) entails rinsing the vasculature using a chilled isotonic solution (3℃; 98.5% water and a blend of dextrose, maltose, and sodium phosphates) to rinse out the residual blood from the carcass. Infusion of pre-chilled solutions into intact animal carcasses immediately upon exsanguination is advantageous in terms of lowering the internal muscle temperature and accelerating chilling. This technology is primarily used for purposes of effective blood removal, favorable pH decline, and efficient carcass chilling, all of which improve meat quality and safety. Although RCT solution contains some substrates, the pre-rigor muscle is still physiologically active at the time of early postmortem and vascular rinsing. Consequently, these substrates are fully metabolized by the muscle, leaving no detectable residues in meat. The technology has been commercially approved and in continuous use since 2000 in the United States and since 1997 in Australia. As of January 2022, 23 plants have implemented RCT among the 5 countries (Australia, US, Canada, New Zealand, and Japan) that have evaluated and approved RCT. All plants are operating under sound Sanitation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SSOP) and a sound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program. No food safety issues have been reported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is technology. RCT has been adapted by the meat industry to improve product safety and meat quality while improving economic performance. Therefore, this review summarizes highlights of how RCT technically works on a variety of animal types (beef, bison, pork, and lamb).

경남 일부 초등학교 중학년의 식행동, 영양지식 및 식생활교육요구도 (Eating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Food and Nutr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Gyeungnam Province)

  • 허은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24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a dietary education textbook and guidebook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eating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st of the subjects were eating three meals a day (71.5%) and breakfast (75.3%).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consumed proper amount of meals (49.2%) was low. The percentage of students consuming salty food and fatty foods was 28.6% and 42.1%, respectively. The consumption of meat, fish, egg, bean and tofu was high, while the consumption of vegetables, fruits and seaweed was low. The percentage of students consuming processed food was high, but the percentage reading nutrition labels (34.9%) and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mark (26.9%) when buying processed foods was very low. Total scores of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p < 0.05-p < 0.001). The desirable frequency of the education was once a week (60.5%).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method was 'experiment and cooking practice' (40.1%). The students wanted dietary information as 'cooking' (39.0%). As a result of this study, many problems were found in the eating behavior of students and nutritional knowledge was observed to be low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 demand for dietary education was very hi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developing dietary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encourage proper eating habits of students.

탕전실의 조제 관리 및 운영 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Dispensing Standards of Herbal Medicine in Herbal Dispensaries)

  • 강성철;김소연;윤유경;김지훈;김윤경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44
    • /
    • 2019
  • Objective : Herbal dispensaries, where medications are prepared for patients, require specific prepara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for safe herbal medicin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improvements in the herbal medicine preparation and operation of the herbal dispensaries as series study of the "A Survey on the Management Status of Extramural Herbal Dispensaries" Methods : We first checked current management regulations. In addition, we compared and analyzed related laws which are "State management norm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ispensaries", "Enforcement Rule of Medicinal Product Safety" and "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HACCP)", to introduce the assessment items of herbal dispenses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Results :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current regulations, "Guideline on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Extremal Herbal Pharmaceutical Facility and Shared-use of Herbal Dispensary", are insufficient to ensure the qualit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s. We suggested articles for the proper management of herbal dispensaries and these were introduced to the Herbal dispensary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Conclusion : We recommend evaluation articles in Herbal dispensary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s need to be popular among herbal dispensaries, then Korean herbal medicine could restore credibility from the people.

서울지역 식육판매업소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A survey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in butcher's shops in Seoul, Korea)

  • 양윤모;손장원;최태석;박미애;김주영;이주형;신방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3-208
    • /
    • 2013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of butcher's shops in Seoul, Korea. For microbial inspections, a total of 584 samples (146 cotton work gloves, 146 utensils and equipments, 154 beef samples, 138 por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butcher's shops. E.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Yersinia enterocolitica,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E. coli O157:H7 were tested in the samples. As a result, the level of aerobic plate count (APC) ranged ${\leq}10^4\;CFU/cm^2$ from utensils and equipments, $10^1{\sim}10^9$ CFU/glove from cotton work gloves and ${\leq}10^6$ CFU/g from meat. The APC level of E. coli ranged ${\leq}10^1\;CFU/cm^2$ from utensils and equipments, ${\leq}10^5$ CFU/glove from cotton work gloves, and ${\leq}10^3$ CFU/g from meat, respectively.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in 2 beef samples, 1 pork sample, and 10 used cotton work gloves. Yersinia enterocolitica was detected in 3 beef samples, 1 pork sample, and 3 used cotton work gloves. Listeria monocytogenes was detected in 2 used cotton work gloves. In order to improve the sanitation status of butcher's shops, application of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or SSOP (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regular hygiene education, and continuous monitoring for microorganisms will be required.

Contamination Level of Hygiene Indicator and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in Retail Beef in Parallel with Market Factor

  • Kang, Il-Byeong;Kim, Dong-Hyeon;Jeong, Dana;Kim, Hyunsook;Seo, Ku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237-1245
    • /
    • 2018
  • In this study, the contamination levels of hygienic indicators and foodborne pathogens in retail meat products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various market factors including processing temperature, processing area, and market type. Ground beef samples (n=80) were purchased from 40 meat markets and investigated for microbiological quality. Beefs processed below $20^{\circ}C$ had significantly lower numbers of total coliforms (TC) than these processed over $20^{\circ}C$ (2.01 vs. 2.79 log CFU/g; p<0.05). Interestingly, separation of processing area did not affect the contamination levels. Remarkably, the contamination levels of hygienic indicator differ among market types, indicating that not only processing condition but distribution structure that is directly related with storage period could affect the final microbiological loads of the meat products. In addition, the prevalences of Listeria monocytogenes (a psychrotroph), Enterococcus faecium, and Enterococcus faecalis were 7.5% (6/80), 10.0% (8/80), and 20.0% (16/80), respectively, which is irrelevant to market factors except meat products from wholesale markets where no L. monocytogenes were found among 30 samp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ontamination level of hygiene indicator and foodborne pathogens in retail beef is more related with processing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than other environmental factors.

학교 집단급식소 내 식기류 및 집기류의 미생물학적 분석 및 위해요인 평가 (A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Hazard Factor Evaluation of Food Utensils and Fixtures of Food Service Operations in Schools)

  • 박성준;홍성호;이하영;김철주;김수진;김성균;고광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76-386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al hazards posed by food utensils and fixtures in food service operations at selected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Methods: We collected 200 samples of utensils and fixtures including cups, spoons/chopsticks, food trays and tables from five different schools in Seoul. Target microorganism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tal bacterial count and total coliform as indicators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as pathogens of food poisoning. We used selective media to quantify microbial concentration and 16S rRNA PCR assay for qualitative analysis. In addition, intensive interviews with nutritionists were conducted and observations were made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affect microbial contamina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bial concentratio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operation. Results: The level of microbial concentration in school B and 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school A, D and E (p<0.05). Some samples from school A, D and E showed over 3.4 log CFU/100 $cm^2$ (total bacterial count) and 1.0 log CFU/100 $cm^2$ (total coliform), which requires immediate hygienic action. The number of customers per staff member, periodicity of hygiene education for staff and daily operation time of sterilizers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related with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food service operati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ot only a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approach, but also efforts to assess internal risk factors within operations be needed to reduc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food utensils and fixtur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assessing microbial hazards in food service operations.

국내 급식위생관리의 현황고찰 및 발전방안 (Evaluation of the Management of Sanitation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in Korea and Strategies for Future Improvement)

  • 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6-198
    • /
    • 2000
  • 우리 나라의 학교급식, 병원급식, 및 위탁급식 등에서 위생관리의 수준을 알아보고 앞으로의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논의하였다. 앞으로 발전을 위한 10가지 방안으로서 이들 집단급식에서 (1)인력과 전문성 보강, (2) 건물과 시설의 전용화, (3)조리장 시설 설비의 보강, (4)주 ·부재료 공급 방법의 개선 및 품질관리, (5) 정확한 기계 ·설비류의 생산과 구비, (6)검사 장비와 설비의 보강, (7)개인위생관리의 여건 강화, (8)다양한 위생교육 및 훈련, (9)수입개방에 대한 능동적 대처, (10)관련 연구 및 background data의 축적 강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도출되었다. 식품 재료를 생산하여 먹기까지에는 여러 가지 단계를 거친다. 그 중에서 조리는 먹기 직전의 단계이다. 영양적으로 우수하고 위생적으로 안전한 재료를 취득하였다 하더라도 이 과정에서 취급이 잘못되면 대규모의 건강 위해를 야기할 수 있다 또 비록 재료가 안전하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이 과정에서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함으로써 그 위해를 상당히 줄일 수도 있다. 바로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는 집단급식 시설의 위생관리가 얼마나 중요한 가를 다시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음식물에 의한 위해를 예방하고 위해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세계적으로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의 도입이 활발하다. 우리 나라에서는 이를 식품제조 ·가공업소에 먼저 도입하였으나 급식 시설에서 시급히 적용하여 건강 위해를 최소화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식품 소비 성향에 따른 토종닭 구매요인 분석 (The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Native Chicken)

  • 박서영;김나영;최수현;문정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47-254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토종닭 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찾고자 실제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종닭 구매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식품 소비 성향을 살펴보았다. 농촌진흥청에서 주관하는 소비자패널 654가구를 대상으로 친숙한 브랜드 소비 정도, HACCP 및 GAP 제품 구매 정도를 토대로 한, 식품 안전 중시 소비 정도, 쾌락적 제품 구매 정도를 토대로 한, 건강 중시 소비 정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익숙한 브랜드를 주로 소비하면서, 식품안전과 건강을 중요시하는 소비패턴을 보이는 전업주부일수록 토종닭을 지속적으로 구매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식품안전을 우려하는 성향이 높을수록 토종닭의 첫 구매자로 연결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저조한 토종닭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토종닭에 대한 안전성을 강조하여 마케팅한다면, 토종닭을 처음 구매하는 소비자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랑스 토종닭 인증제도 및 브랜드 사례와 같이, 토종닭 자체 브랜드의 반복적 노출 및 강조 그리고 토종닭의 건강적 이점을 강조하여 마케팅한다면 토종닭 소비층의 구매 의사 상승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신력 있는 인증제도를 통해 건강과 안전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구매 의사를 자극시킬 수 있으며, 저조한 국내 토종닭 시장 점유율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리과정에 따른 살모넬라(Salmonella typhimurium) 식중독균수의 변화 및 중점 관리점 (CCP)의 관찰 - 돼지고기와 잡채를 중심으로 - (Effect of Cooking Processes on the Amount of Salmonella typhimurium in Pork and Korean Japchae and Identification of Critical Control Point in the Processes)

  • 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41-447
    • /
    • 1998
  • 본 연구는 조리과정 중에 Salmonella 식중독균수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관찰하고, 이를 토대로 HAPPC model 설정을 위한 실증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돼지고기(크기: $0.5cm\;{\times}\;10cm\;{\times}\;10cm$, 무게 : 약 25g) 에 살모넬라균 (S. typhimurium)을 $10^{7}\;CFU/g$으로 오염시키고 조리하는 과정(해동 방법, 해동기간 및 조리방법)에서 균수의 증가 또는 감소를 관찰하였으며, 오염된 돼지고기를 사용하여 한국인이 일상적으로 많이 먹는 돼지고기 음식(잡채)을 만드는 모의실험을 통하여 이 음식물에서 최종적인 균수를 측정하였다. 해동 방법별로는 24시간 후에 균수가 냉장 온도 ($4~10^{\circ}C$)에서 $10^{10}\;CFU/g$, 실온($22~29^{\circ}C$)에서 $10^{21}\;CFU/g$의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전자레인지에 의한 급속 해동(40초)에서는 균수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나 $10^{8}\;CFU/g$으로 역시 증가하였다. 해동 기간별로 냉장과 실온에서의 균수 변화를 보면 균수는 시간이 경과될수록 뚜렷이 증가를 나타내었다. 냉장온도에서 해동시에는 24시간 후에 1010CFU/g , 48시간 후에 1013CFU/g, 72시간 후에 $10^{20}\;CFU/g$의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실온 해동시 2시간 후에는 $10^{10}\;CFU/g$ 수준, 4시간 후에슨 $10^{15}\;CFU/g$ 수준, 8시간 후에는 $10^{16}\;CFU/g$ 수준, 12시간 후에슨 $10^{18}\;CFU/g$ 수준, 그리고 24시간 후에는 $10^{21}\;CFU/g$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조리방법별로는 돼지고기를 볶기 ($150{\pm}7^{\circ}C$, 3분) 한 결과 균수는 $10^{6}\;CFU/g$ 수준으로 초기보다 약간 감소하였다. 삶기(20분) 한 결과 $60^{\circ}C$에서는 초기와 같은 $10^{7}\;CFU/g$ 수준, $63^{\circ}C$에서는 $10^{6}\;CFU/g$ 수준으로 볶기에서의 균수와 같게 나타났으며, $65^{\circ}C$에서는 $10^{4}\;CFU/g$ 으로 감소하였다. S. typhimurium에 오염된 돼지고기를 위와 같이 볶은것($10^{6}\;CFU/g$)을 사용하여 잡채를 만든 결과 (소요시간 :10{\pm}2분)균수가 $10^{7}\;CFU/g$으로 증가하여 Salmonella 식중독의 발생 위험성이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돼지고기에서는 S. typhimurium의 증식은 조리과정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식중독을 야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오염된 돼지고기를 조리할 때에는 $65^{\circ}C$에서 20분 이상 삶아야만 식중독 발생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사려되었다. 또한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이 잡채에 대한 위해분석(HA)에서 원재료 고기의 초기 미생물 오염도가 위해요소(hazard)로 지적되며, 부적절한 조리단계(조리방법 및 조리온도와 시간)과 중점관리점(CCP)으로 판명된다. 잡채의 경우 돼지고기를 볶아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조리방법의 표준화(고기의 크기와 양에 따른 온도/시간/조리방법)가 필요하다.

  • PDF

학교급식에 Cook/Chill System 적용을 위한 품질보증연구(II) - 돼지불고기 - (A Quality Assuranc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Cook/Chill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II) - Pork Bulgogi (Broiled Sliced Pork with Sauces) -)

  • 곽동경;문혜경;박혜원;홍완수;류경;장혜자;김성희;최은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9-331
    • /
    • 1998
  • 본 연구는 학교급식에서 Cook/chill system으로 생산 가능한 음식으로 돼지 불고기를 선정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급식생산체계를 반복 실시함으로서 식품 위해 분석 중요관리점(HACCP)을 규명하고, 저장기간중의 음식품질 평가를 통해 합리적인 저장기한을 설정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돼지불고기는 냉동상태로 운반되지 않아 온도상승이 일어난 검수 단계를 제외하면 각 생산 단계별 기준이 준수된 양호한 상태 하에서 생산된 것으로 나타난다. 생산단계별 미생물 분석결과, 원재료($4.26{\pm}0.11\;Log\;CFU/g$)에서 중온균수가 조리하지 않은 식품 기준 이내이나 다소 높게 나타났고, 양념장($5.97{\pm}0.04\;Log\;CFU/g$)에서는 조리하지 않은 식품 기준에 근접한 수준이었으며, 양념으로 재우는 과정($5.56{\pm}0.21\;Log\;CFU/g$)도 위험 수준이었다. 가열 조리 후 최종 음식온도가 $8.25{\pm}3.54^{\circ}C$에 도달하였으나 중온균수($5.17{\pm}0.04\;Log\;CFU/g$)가 급식 단계 음식기준을 초과한 위험한 수준이었고, 기타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급속 냉각과 저장 1일, 3일, 5일 동안도 중온균수가 급식단계 음식 기준에 근접한 위험한 상태였고 기타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재가열 처리에 의해 저장 1일($4.62{\pm}0.22\;Log\;CFU/g$), 3일($4.55{\pm}0.20\;Log\;CFU/g$), 5일($4.25{\pm}0.16\;Log\;CFU/g$) 모두 중온균수는 감소하여 급식단계 음식기준에 충족한 상태가 되었다. 배분 3조건에서도 급식단계 음식 기준 이내에 들었다. 저장 5일간 이화학 분석 결과 pH, 산가, 휘발성 염기 질소 모두 저장 5일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관능평가에서는 모든 항목들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티아민 정량 분속 결과 ,가열 전의 티아민 함량을 100%으로 했을 때, 가열 후에는 78.6%로 손실이 일어났으며, 냉각과 저장 1일, 3일은 티아민 손실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장 5일에는 티아민이 현저히 저하되어 62.5% 보유에 그쳤다.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적,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을 분석한 결과와 티아민 함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돼지불고기의 저장기한을 3일로 제안하며, 생산 단계별 온도-소요시간 측정 및 미생물 분석을 통해 규명된 중요관리점은 돼지고기와 양념장재료인 파, 마늘, 생강의 구입 및 검수, 가열조리, 냉각, 저장, 재가열과 배식단계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