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ugh unit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3초

산란계 사료 내 강황분말(Turmeric powder)의 첨가 급여가 계란 생산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 박상설;유선종;김재영;이보근;윤지연;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6년도 제23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2-63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effect of turmeric powder (TP) on laying performances, egg qualities and its transfer to eggs. A total of two hundred, 60-wk-old, Lohmann Brown laye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placed in to 5 replicates per group (10 layers each) and fed each one of four diets containing 0 % TP(control), 0.1 % TP, 0.25 % TP, or 0.5 % TP for 7 wks, respectively. Egg production and egg mass i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TP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p<0.05). No differences in feed intakes, egg and eggshell qualities were observed among the treatments, but egg yolk color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P was in increased in the diet(p<0.05). I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TP, Haugh unit after 14 day of stor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p<0.05). The curcumin content of egg yolk in groups fed diet containing 0.50% T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p<0.05). The content of egg yolk cholesterol was not influenced by dietary TP.

  • PDF

산란계 사료에 홍삼박 분말을 첨가 시 계란 신선도 향상에 관한 연구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ing Egg Freshness Using Red Ginseng Marc Powder to Laying Hens -A Field Study-)

  • 최정훈;김창만;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1233-1237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d ginseng marc powder on egg freshness in laying hens during 4 weeks. A total of 60 Hy-line Brown laying hens, 50 week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2 groups with diets containing 0% and 2% red ginseng marc powder. There were 3 replications per group with 10 laying hens per pen.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trial, there were no effects of red ginseng marc powder on egg weight (but not 4 weeks). Haugh Unit (HU) values were observed b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d ginseng marc powder and controls at 0 and 4 weeks, except for HU at 1 through 3 weeks. For egg yolk color, red ginseng marc powder has no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controls at 0, 3 and 4 weeks (but not 1 and 2 weeks). In conclusion, the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2% red ginseng marc powder improved HU values throughout the experiment.

Effects of Various Eggshell Treatments on the Egg Quality during Storage

  • Park, Y.S.;Yoo, I.J.;Jeon, K.H.;Kim, H.K.;Chang, E.J.;Oh, 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8호
    • /
    • pp.1224-1229
    • /
    • 2003
  • The combined effects of washing, sanitization and coating of eggshell on the phys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during storage were evaluated at $4^{\circ}$ and $30^{\circ}C$. The interior qualities of the eggs were assessed by weight changes, yolk index, albumen index, Haugh unit value, and microbial contamination of egg shell and egg white during 30 days of storage in untreated, washed, or sanitized and mineral oil-coated egg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se changes were faster in higher temperature ($30^{\circ}C$) than lower temperature ($4^{\circ}C$) storage, and washed eggs deteriorated faster than untreated eggs. The sanitized and coated eggs maintained the best quality during storage in all parameters measured. The shelf-life of washed, sanitized and coated eggs could be extended 4-5 fold compared to that of washed or untreated eggs.

Effects of Dietary Skullcap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on Laying Performance and Lipid Oxidation of Chicken Eggs

  • An, Byoung Ki;Kwon, Hyuk Sin;Lee, Bo Keun;Kim, Jae Young;You, Sun Jong;Kim, Jin Man;Kang, Chang W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6호
    • /
    • pp.772-77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domestic Skullcap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SCE)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egg production, or relative liver and spleen weights. The egg weights i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S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number of cecal total microbes in the group fed a diet containing 0.5% SCE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malondialdehyde contents in stored eggs were significantly lowered by feeding SCE. The Haugh unit in the groups fed diets containing SCE tended to be increased after 2 weeks storage, but not significantly. This result indicated that dietary domestic SCE may delay lipid oxidation in eggs when added to laying hen diets.

고온 환경조건의 육용종계에서 비타민 섭취에 의한 난각질 저하 방지 효과

  • 지규만;정만기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춘계심포지움 Proceedings
    • /
    • pp.49-59
    • /
    • 2003
  • Heat stress환경의 육용종계에서 사료에 첨가한 비타민 C(200 mg/kg)와 비타민 E(250 mg/kg)가 난각 품질 및 경골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강제 환우에서 회복된 83주령의 Ross품종 육용종계 160수를 4처리 4반복 10수씩 개별 케이지에 수용 한 뒤, 10일간의 적응 기간을 둔 뒤, 3주간에 걸쳐 32$^{\circ}C$에서 지속적으로 온도를 유지하면서 사료 섭취량, 산란율, 폐사율, 난중, Haugh unit, 난각의 품질, 경골 파괴강도 그리고 혈액 중의 혈구 세포 등을 조사하였다. Heat stress는 폐사율, 산란율, 난중, 그리고 Haugh unit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난각의 SWUSA와 압축 파괴강도는 비타민 C/E 첨가구에서 2, 3주차에 무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5), 비타 C 또는 E 첨가구 사이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Heterophil과 lymphocyte의 숫자는 heat stress 동안에 각각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처리구간에는 비타민 C/E 첨가구가 H/L/ratio 수준이 가장 낮았으며, 무첨가구가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경골의 파괴강도는 비타민 C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혈액 중의 비타민 C 농도는 비타민 C첨가구와 비타민 C/E 첨가구에서 각각 12.73 g/ml과 8.23 g/ml으로 높았다(P<0.05). 비타민 E 첨가구와 비타민 C/E 첨가구에서 혈액 중 비타민 E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0.05). Corticosterone 농도는 무첨가구에서 5.97g/ml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 PDF

Comparative Evaluation of Egg Quality in Response to Temperature Variability: From Farm to Table Exposure Scenarios

  • Ji-Hoon An;Youngmin Hwang;Sumin Hwang;Hyojin Kwon;Hyelim Gu;Kihwan Park;Changsun Cho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02-1016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ppropriate temperature management practices and provide scientific evidenc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ell-by-date guidance for eggs. Washed and unwashed eggs were subjected to storage under six different scenarios, and both types of eggs were stored at temperatures up to 35℃ to evaluate the sell-by-date. Despite temperature fluctuations or continuous storage at 30℃ for 5 days, subsequent storage at 10℃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Haugh unit and yolk index on day 1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frigerating eggs from retail sales until consumption is effective for egg quality management, despite the exposure of up to 35℃ during distribution. In terms of sell-by-date evaluation, washed eggs retained class B quality for an additional 37 days beyond the recommended sell-by-date at 15℃, which is above the regulated storage temperature. However, unwashed eggs maintained class B quality for approximately 20 days at 30℃-35℃, emphasizing the need for sell-by-date guidelines for unwashed eggs. This study is the first to provide appropriate egg-handling practices based on the actual distribution environment in Korea.

목초액 함유 활성탄의 급여가 산란계에서 계란의 품질과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Activated Charcoal Mixed with Wood Vinegar on Qua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gg in Laying Hens)

  • 김관응;유선종;안병기;조태수;안병준;최돈하;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59-6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목초액 함유 활성탄(activated charcoal, AC)의 급여가 산란계에서 난생산성, 난질과 난각질, 혈액 내 콜레스테롤 분획과 효소 활성 및 난황 내 지질 조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총 192수의 56주령 Lohmann 갈색 계통의 실용 산란계를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0% AC, 0.5% AC, 1% AC 및 2% AC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를 각각 5주간 급여하였다. 사료 섭취량과 난 생산성은 매일 기록하였으며 할란 검사는 주 단위로 실시하였다. 사양실험 종료 시 각 공시계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GOT 및 GPT 활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종료일에 수거한 계란을 할란하여 난질을 검사한 후 난황을 채취하여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였고, 실험 3주와 5주의 계란을 1일, 7일, 14일간 저장 한 후 난황막 강도를 측정하였다. 난 생산성, 사료 섭취량 및 난황막 강도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AC 2% 첨가구에서 난각강도와 Haugh unit의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다(P<0.05). 난황계수 역시 AC 2%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난황색은 대조구에 비해 AC를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저장시간의 경과에 따른 계란의 보존성을 난황막 강도를 지표로 조사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활성탄의 첨가가 난황막 강도의 저하를 다소 완화시키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혈청 내 GOT 및 GPT 농도에서는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혈청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농도에서도 AC 첨가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난황 내 총지질 함량은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는데, AC 1%와 2%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본 연구에서는 산란계 사료 내 AC의 첨가 급여가 난각 강도, Haugh unit 및 난황색, 난황계수를 개선시킴으로서 고품질 계란 생산을 위한 기능성 첨가제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색인어 : 활성탄, 목초액, 생산성, 난각강도, 호우유니트, 산란계)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Egg Quality Indicators in the Early Phase of Hy-Line Brown Laying Hens

  • Jang, Eunhye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3-60
    • /
    • 2022
  • 계란의 내부 및 외부의 품질을 나타내는 요소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할란 검사를 통하지 않고도 계란 품질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지표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케이지 계사에서 사육 중인 27주령의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 동일 계군이 같은 날에 산란한 180개의 계란을 수집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파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 색(CIE L*, CIE a*, CIE b*, 반사율), 계란의 중량, 계란의 장경, 계란의 폭, 난형 지수 및 난황색 등 총 13가지의 지표를 조사하였다. 피어슨 상관 계수(r)를 이용하여, 각 품질 지표 사이의 선형 관계성을 평가하였다. 호우유닛과 농후난백높이, 난각색 CIE L*값과 반사율, 그리고 계란 중량과 계란의 폭 사이에서 매우 강한 정의 상관 관계가 분석되었다(r=0.975, r=0.973, r=0.814, P<0.001). 계란의 중량과 계란의 장경, 난각색 CIE L*값과 난각색 CIE a*값, 난각색 CIE a*값와 반사율, 그리고 난형 지수와 계란의 장경 사이에는 높은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703, r=-0.726, r=-0.681, r=-0.681, P<0.001). 난각의 파각 강도와 난각의 두께, 난각색 CIE a*값과 난각색 CIE b*, 난형 지수와 계란의 폭 사이에는 중간 정도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 = 0.417, r = 0.590, r = 0.405, P<0.001). 난각색 CIE a*값은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와 약한 정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r=0.217, r=0.202, P<0.01), 난각색 CIE L*값과 파각 강도 사이에는 약한 부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236, P<0.01). 난각색 CIE b*값은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난각색 반사율은 파각 강도 및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25, r=-0.249, r=-0.222, P<0.01). 그 외 나머지 품질 지표들 간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거나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란의 난각색은 반사율만으로 표현하는 것 보다, CIE L*값, CIE a*값과 CIE b*값을 함께 적용했을 때 갈색의 정도를 더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갈색란의 난각색 CIE L*a*b*값은 계란의 품질 지표인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난각의 파각 강도와 두께를 간접적으로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 OF FORCE MOLTING INDUCED CONVENTIONALLY OR BY HIGH DIETARY ALUMINUM ON EGG AND SHELL QUALITY OF LAYING HENS

  • Alsobayel, A.A.;Alkhateeb, N.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341-347
    • /
    • 1992
  • Eggs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Saudi Arabian Baladi laying hens which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and subjected to the following treatments: Commercial laying ration (17% CP, 3.6% Ca and 0.343%, available P) fed ad libitum as a control (C); Conventional force molting, feed removal for 10 days followed by 18 days full-feed of cracked corn (F); 15 days ad libitum intake of the control ration supplemented, to initiate forced-molt, with 0.35% aluminum as the sulfate (ALS) or the chloride (ALC). The hens were in production for 52 weeks and 17 months of age at the start of the trial and the post-treatment period lasted 36 week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F and AL treated groups had similar egg and shell weight, egg surface area, shell thickness and shell weight per unit of surface area but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e control. F had significantly (p<0.05) the highest and the control the lowest Haugh unit values whereas AL fed groups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meat spot incid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ch tended to have higher value than F group. ALC and F had significantly (p<0.05) the lowest yolk color grade whereas ALC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egg index than ALS and the control. During the post-treatment period the control had significantly (p<0.05) the highest egg index and blood spots incidence and ALS the lowest shell diensity compared with other groups. ALS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shell weight than ALC and the control whereas F and AL treated hens had significantly (p<0.05) the highest Haugh unit values and yolk color grades respectively. F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meat spots incidence than ALC and the control. The same results were observed for ALS compared with the control.

한국재래오골계의 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에 관한 연구 V. 주요경제형질과 기타 형질간의 유전상관 및 표현형 상관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the Genetic Parameters on All Traits in Korean Native Ogol Fowl V.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the Economic Traits and Certain Other Traits)

  • 한성욱;상병찬;김홍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7-208
    • /
    • 1991
  • 본 연구는 한국재래오골계의 효율적 선발 및 육종계획을 위한 경제형질과 기타 개량 대상형질간의 유전상관 및 표현형 상관을 추정하고자 1987년 6월 18일부터 1989년 4월 6일까지 사육되어 온 재래오골계에 관한 제형질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제형질과 체형간의 유전상관은 체중과 정강이 길이, 흉폭, 흉위 및 경골장간에 각각 0.210∼0.788, 0.321∼0.826, 0.610∼0.995 및 0.096∼0.503으로 정의 계수이었고, 초산일영과 정강이 길이, 흉폭, 후위 및 경골장간에 각각 0.555∼0.626, 0.149∼0.270, 0.370∼0.445 및 0.014∼0.124이었으며, 산란수와 정강이 길이, 흉폭, 후위 및 경골장간에 각각 -0.460∼-0.167, 0.162∼0.320, 0.076∼0.336 및 0.203∼0.312이었고, 난중과 정강이 길이, 흉폭, 흉위 및 경골장간에는 각각 0.132∼0.498, -0.236-0.410, 0.148∼0.755 및 -0.019∼0.593이었다. 2. 경제형질과 난구성분간의 유전상관은 체중과 난백중, 난황중 및 난각중간에 각각 0.083∼0.591, 0.110∼0.541 및 0.336∼0.7823. 정의 계수이었고, 초산일령과 난백중, 난황중 및 난각중간에는 각각 0.467∼0.692, 0.265∼0.631및 0.420∼0.519이었으며, 산란수와 난백중, 난황중 및 난각중간에는 각각 -0.578∼-0.240, -0.255∼-0.060 및 -0.477∼-0.313으로 낮은 부의 계수이었으며, 난중과 난백중, 난황중 및 난각중간에 각각 0.825∼0.939, 0.382∼0.564 및 0.374∼0.937로 높은 정의 추정치이었다. 3. 경제형질과 난질간의 유전상관은 체중과 난형지수, 난각두께,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 각각 0.215∼0.367, 0.248∼0.650, 0.161∼0.624 및 0.157∼0.499이었고, 산란수와 난형지수, 난각두께,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384∼-0.207, -0.557∼-0.306, -0.555∼-0.198 및 -0.582∼0.074로 부의 계수이었으며, 난중과 난형지수, 난각중,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276∼0.697, 0.290∼0.627, 0.238∼0.538 및 -0.207∼0.020이었다. 4. 난구성분과 난질간의 유전상관에서 난백중과 난형지수, 난각두께,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100∼0.584, -0.380∼-0.002, 0.239∼0.887 및 -0.195∼0.279이었고, 난황중과 난형지수, 난각두께,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204∼0.160, -0.294∼0.133, -0.049∼0.133 및 -0.196∼-0.136이었고, 난각중과 난형지수, 난곡두께,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127∼0.503, 0.127∼0.476, 0.140∼0.273 및 -0.172∼0.223으로서 난각중 과 Haugh units를 제외하고는 정의 상관계수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