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tching pattern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7초

체외생산된 생쥐 배반포기배의 ICM과 Trophectoderm 세포수에 관한 연구 (ICM - Trophectoderm Cell Numbers of Mouse IVF/IVC Blastocysts)

  • 김은영;김선의;엄상준;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1호
    • /
    • pp.25-32
    • /
    • 1996
  • 본 연구는 Polynucleotide-specific 형광물질을 이용한 Differential labelling 기법으로 체외수정 후 배양 4일째 생산된 B6CBA Fl 생쥐 배반포의 Total, ICM, Trophectoderm의 세포수를 조사함으로서 생쥐의 착상전 후기 배발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공시 배반포는 과배란처리에 의해 얻어진 난자를 $1{\times}10^6cells/ml$의 정자로 수정시키고, 95시간동안 M16배양액과 $37^{\circ}C$, 5% $CO_2$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여 배반포강의 확대와 투명대 두께의 감소를 기준으로 early, middle, expanded와 hatching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외수정 후 95시간째 배반포 발달율은 86.7%였으며, early, middle, expanded와 hatching으로 16.3%, 18.9%, 10.5%, 40.9% 였다. 2) Bisbenzirnide를 이용한 배반포의 총 세포수는 early, middle, expanded, hatching 각각 $35.6{\pm}10.4$, $49.4{\pm}8.6$, $60.8{\pm}10.7$$62.7{\pm}13.9$를 얻었다. 3) Polynucleotide-specific형광물질을 이용한 Differential labelling으로 배반포 ICM과 Trophectoderm의 세포수를 early, middle, expanded, hatching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ICM세포수는 각각 $9.6{\pm}3.0$, $13.6{\pm}3.9$, $16.0{\pm}3.3$, $19.5{\pm}4.6$개 이었고, Trophectoderm세포수는 $30.6{\pm}5.1$, $39.9{\pm}5.8$, $42.2{\pm}8.1$, $43.7{\pm}11.1$ 개로 나타나 ICM과 Trophectoderm 모두 동일하게 발달의 진행정도에 따라 세포수의 증가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Bisbenzimide와 Differential labelling에서 얻어진 총세포수의 비교에서도 동일하게 발달의 진행정도에 따라 세포수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그와 동시에 세포수도 거의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때, Differential labelling을 이용한 빠르고도 간편한 세포수 계산법은 착상전 후기 배발달을 고찰하는데 유용하며, 배양조건에 따른 Embryo의 Quality를 반영하는 Indicator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대하(Fenneropenaeus chinensis)의 초기 유생성장 (Early Larval Growth of Flesh Prawn (Fenneropenaeus chinensis))

  • 박인석;허준옥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27-31
    • /
    • 2005
  • 대하(Fenneropenaeus chinensis) 종묘생산에 관한 초기성장의 자료를 얻기 위하여,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 앞바다에서 1993년 5월에 자망으로 모하를 채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하의 평균 전장은 23.6±0.71cm, 평균 두흉갑장은 5.1±0.63cm, 평균 체중은 61.3±5.12 g이었다. 자연수온보다 4℃ 높은 22℃, 염분은 33‰ 조건에서 산란유발을 실시하였으며, 산란 후 FRP 1톤 용량의 원형수조에서 수온 24.0±0.5℃, 염분 33.0±1.0‰로 조절하여 수용 후 30시간 내외에서 90% 이상을 부화시켰다. 부화 후 Nauplius stage에는 먹이를 공급하지 않았으며, Zoea stage부터 먹이생물을 공급하였다. 이 시기부터 대량 배양한 Diatom(Chaetoceros simplex,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weissflogii)을 서로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공급하였다. 먹이 밀도는 유생 100마리당 10만 cell mL/sup -1/로 유지하였으며, 이때 사육수온은 23.5±0.5℃였다. Nauplius의 형태는 앞부분은 둥글며 크고 뒷부분은 길고 가늘었다. 본 연구 결과, Nauplius의 크기는 부화 후 4일까지 평균 전장 0.21∼0.39mm였으며, 이후 다음 단계인 Zoea stage로 변태까지는 5회의 탈피 후 그 크기는 0.62∼l.03mm로 성장하였다. Zoea stage의 3번에 걸친 변태 후 Mysis stage는 부화 후 9일째에 평균 전장 1.28mm로 시작하여 3번의 변태를 거쳐 부화 후 17일째 평균 전장 5.98mm로 나타났다. Mysis stage의 3회 탈피 후에 Post larva에로의 변태는 부화 후 약 21일째 이었으며, 이후 점차로 수조 저면을 기어다니고 활발한 유영 능력을 보이는 치하로 변태하였다. 먹이생물을 혼합 공급한 본 연구는 여타 단독 먹이생물 공급 연구들과 비교시 높은 초기성장을 보였다. 또한 체중성장에 있어 변태에 의한 단계적인 성장을 나타냈다. 부화 후 25일까지의 전장에 대한 체중의 상대 성장식은 BW = 2E-5TL/sup 4.1707/ (r²= 0.9746) (TL: 전장; BW:체중)이었다.

황복, Takifugu Obscurus의 초기성장과 이석의 미세구조 (Microstructure of Otoliths and Early Growth of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 김동우;한경남;임양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3호
    • /
    • pp.237-242
    • /
    • 2003
  • 실험실에서 황복을 부화 후 1일에서 63일까지 사육하면서 표본을 추출하여 황복의 초기성장과 이석의 미세구조 관찰하였다. 부화 당시 황복의 전장은 3.09$\pm$0.02 mm였으며, 부화 후 10일에 전장 4.96$\pm$0.24 mm, 20일에는 5.39$\pm$0.42 mm, 30일에는 9.13$\pm$0.59 mm로 성장하였고, 부화 후 34일에는 평균 10.78$\pm$0.96 mm로 성장하였으며, 부화 후 43일에는 16.40$\pm$2.31 mm, 부화 후 63일에는 30.49$\pm$1.53 mm로 성장하였다. 부화한 황복 이석의 평균 장반경은 14.20$\pm$1.21 $\mu\textrm{m}$였고, 부화 후 10일째는 31.06$\pm$2.31 $\mu\textrm{m}$, 20일째는 57.19$\pm$6.19 $\mu\textrm{m}$, 34일째는 127.13$\pm$13.13 $\mu\textrm{m}$, 43일째는 190.79$\pm$17.08 $\mu\textrm{m}$, 63일째는 281.85$\pm$23.81 $\mu\textrm{m}$로 부화 후 20일 이후의 이석의 크기변화는 체장의 성장 경향과 유사하였다 황복의 이석에는 다른 성장선들과 구별되는 부화정지선이 형성되어있으며, 부화정지선 형성이전에 2-3개의 미세성장선이 관찰되었다. 부화 후 20일부터 63일까지, 황복의 이석에 형성된 일일성장선의 수와 경과한 일수는 1차 비례관계를 보였으며, 하루에 한 개씩 형성되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의 초기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arly Life History of the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Perciformes: Centropomidae))

  • 이완옥;장선일;이종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0
    • /
    • 1998
  •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의 양식과 자원증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초기생활사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친어는 1996년 6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소양호 중류(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물노리)에서 채집하였다. 성숙된 암컷에 HCG나 GnRH - a 호르몬을 복강 주사하여 배란을 유도하였고, 건도법으로 수정하였다. 수정란은 분리되었으며, 약한 침성란이었고, 0.50~0.70mm의 커다란 유구가 난황 중앙에 한개 있었다. 수정 직후 난의 크기는 1.70~2.10mm였으나, 배반이 형성될때는 물을 흡수하여 2.20~2.66mm로 커졌다. 수정 1시간 후에 배반을 형성하기 시작하였고, 1시간 30분 후에는 난할이 시작되었다. 이 후 난내 발생은 수온 $21{\sim}24^{\circ}C$에서 약 50분 간격으로 계속 진행되었다. 수정 131시간 30분 후에는 부화되었는데, 부화자어의 크기는 전장 5.86~6.85mm였고, 난황의 표면과 꼬리 부분의 복부에는 많은 흑색소포가 발달되었다. 부화 3일 후에는 전장 6.98~7.60mm로 자랐고, 단황은 대부분 흡수되었으며, 이빨이 발달되었다. 부화 15일 후에는 전장 10.10~12.90mm였으며, 머리에 가시와 이빨이 매우 발달되었고, 모든 지느러미가 정수에 도달하는 후기자어기(postlarvae stage)가 되었다. 부화 25일 후에는 전장15.30~23.80mm로 성장하였고, 체형과 반문이 성체와 유사해졌다. 부화 5개월 이후에는 전장 154.00~175.02mm, 체중 49.32~82.67g까지 성장하였다.

  • PDF

참갈겨니 Zacco koreanus (Pisces: Cyprinidae)의 난 발생과 초기생활사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Zacco koreanus (Pisces: Cyprinidae))

  • 이완옥;김경환;백재민;송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00-207
    • /
    • 2013
  • 우리나라 고유종인 참갈겨니를 2011년 남한강에서 채집하여 Zacco속의 유연관계와 종 보존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난 발생 과정과 초기생활사를 연구하였다. Z. koreanus 난은 실험실에서 건식법으로 수정되었다. 수정란은 원형이고 투명하며, 엷은 황색난황을 가지고 있고, 유구가 없으며, 약한 점착성 침성란으로 난경은 $3.09{\pm}0.07$ mm(n=10)이었다. 수온 $20.0{\sim}23.0^{\circ}C$에서 수정 후 68시간 전후하여 난 발생이 완성되었으며, 부화자어의 크기는 전장 $10.30{\pm}0.40$ mm (n=10)이었다. 부화 6일 후에는 전장 $16.12{\pm}0.42$ mm(n=8)로 성장하였고, 난황이 거의 흡수되었으며 입과 항문이 열린 후기자어기가 되었다. 부화 17일 후에는 전장 $18.21{\pm}0.38$ mm(n=6)로 자랐고, 대부분의 지느러미에 기조가 나타났으며, 복부에는 갈색반점이 출현하였다. 부화 27일 후에는 전장 $20.01{\pm}1.12$ mm(n=5)로 성장하였고,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수가 정수에 도달하였다. 부화 120일 후에는 전장 $23.29{\pm}3.12$ mm(n=10)로 성장하였으며, 외형과 반문이 성어와 유사하였다.

Relationship Among Reproductive Traits and Brood Production Pattern of Caridean Shrimp, Palaemon gravieri (Decapoda: Caridea: Palaemonidae)

  • Kim, Sung-Han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4-198
    • /
    • 2007
  • Reproductive traits of Palaemon gravieri such as embryo size, number of embryo (fecundity), incubation period, larval development mode, larval development period, larval survival and larval growth were described and compar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ose traits. Embryo volume is a primary factor determining other ensuing reproductive features. Egg volume was $0.042mm^3$ in the first developmental stage. Embryo volume in P. gravieri was comparatively small which is indicative of great number of embryo (y = 3.0161x + 0.0185 $R^2$ = 0.74 positive isometric relationship) and relatively long incubation period. Larvae survived from zoea 1 to post-larvae and it took 45 days at $22^{\circ}C$. Survival rate of the larvae was rather great in the early stage and thereafter steadily decreased. Daily growth rate of larvae in P. gravieri at $22^{\circ}C$ was 0.0195 mm on average. They grew steadily as time went by. Incubation period was between 10-14 days at $22^{\circ}C$. Larval development mode was almost complete planktotrophic. PNR (point of no return) appeared to be the third day on average. Survival rate of larvae without feeding declined rapidly between 3 and 4 days. Larval development period and stage frequency were 23-30 days and 11 stages which imply prolonged larval period and high mortality. The pattern of brood production followed fast successive parturial pattern. Most ovigerous female had mature ovary when they performed parturial molt soon after hatching (larval release).

Reproductive Pattern of the Epifaunal Amphipod Pontogeneia rostrata (Crustacea) on Dolsando Sandy Shore in Korea

  • Yu, Ok-Hwan;Jeong, Seung-Jin;Suh, Hae-Lip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3권3호
    • /
    • pp.127-133
    • /
    • 2008
  • Reproductive patterns of an epifaunal amphipod, Pontogeneia rostrata, were studied on Dolsando sandy shore in Korea. The life history pattern was iteroparous, with recruitment mainly occurring from winter to spring. The sex ratio was malebiased, especially during breeding periods. The mean body length of female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males. Brood size and egg volum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body length of ovigerous fema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ood size between successive breeding periods, but egg volum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arly winter (December) than in late spring breeding (May and June),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survival to hatching. These traits contribute to more reproductive potential in early winter than in late spring breeding. The mean brood size of epifaunal P. rostrata was larger but the mean egg volume smaller than that of infaunal amphipods in this sampling area. We suggest that reproductive effort for epifaunal species may be proportionally greater than for infaunal species in risky environments.

금강에 서식하는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Pisces, Bagridae)의 초기 생활사 (Early Life History of Black Bullhead, Pseudobagrus koreanus(Pisces, Bagridae), from Kum River, Korea)

  • 강언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4-190
    • /
    • 1998
  • 한국 고유종인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의 인공종묘 생산과 자원 증강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초기 생활사를 조사하였다. 눈동자개의 수정난은 점액 물질이 두텁고 단막 표면위에 방사상의 주름무늬가 있어 특징을 보였다. 난은 구형으로 직경이 $2.59{\pm}0.08$(2.45~2.70, n=10)mm 이었으며 유구는 없다. 수용 $21{\sim}23^{\circ}C$에서 수정 후 첫 번째 난할은 수정 2시간 후에 시작되었으며 이어지는 난할은 약 30분 간격으로 진행되었다. 난할 중 특징으로는 난황 표면이 굴곡하는 운동으로 상실기에서 낭배기 끝까지 관찰되었다. 부화는 수정 후 72시간에 시작하여 90시간에 완료되었으며 부화 자어는 전장 5.41~5.81mm, 항문앞 거리 2.76~2.94mm이었고 근절수는 15~16+33~34(48~50)이었다. 부화 1주 후의 자어는 수염과 부레가 완성되었고 제2등지느러미를 제외한 모든 지느러미가 형성되었으며, 크기는 전장 9.67~10.52mm, 항문앞거리 5.20~5.65mm 이었다. 부화 2주 후의 자어는 모든 지느러미와 반문이 완성되었고 점액이 분비되며, 크기는 체장 14.59~16.02mm, 두장 3.31~4.16mm, 항문앞거리 8.07~9.31mm 이었다.

  • PDF

생쥐 2-세포배아에 의한 시험관아기 배양용 대아제대혈청의 절적평가에 관한 연구 (Quality Assay of Human Fetal-Cord Serum for Human IVF-ET with Mouse 2-Cell Embryos)

  • 문신용;신창재;정구민;오선경;방명걸;장윤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39-146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ative variation of human fetal-cord sera (HCS) and to accept the sera in human lVF-ET program. One hundred and sixteenth RCS were tested with 1772 2-cell embryos of F1 (C57BL x CBA) virgin mice, Ten to sixteenth embryos were cultured in m-KRB medium with a aliquot of each serum (10%, v/v) or with bovine serum albumin(O.4%, w/v) as a control medium. Embryonic development were recorded at every 24hr for 4 days by such events as cellular compaction, cavitation, and hatching. In the control groups of eight assays, 98.1%(106/ 108) of 2-ce1l embryos developed above expanded blastocyst and the embryonic development was unified through the tests. But the developmental pattern in medium with each serum was various. Namely, the sera that supported development of 100% 2-cell embryos to above morula, early blastocyst, expanded blastocyst and hatching blastocyst was 45,7%(53/116) , 35.3%(41/116), 15.5%08/116.) and 6.9-%(8/116), respectively. And the sera that supported development of above 80% 2-cell embryos to the each embryonic stage was 92.2% (107/116), 83.6%(97/116), 63.8%(74/116) and 36.2%(42/116), respectively. Meanwhile two kinds of toxic pattern to the embryonic development were observed in some sera. The first pattern is that some sera arrested development of most embryos in pre- or post-stage of morula or blastocyst. The second pattern is that some sera promoted or arrested a part of embryos in the same dish. The ability of serum was depended on the batch of serum. Finally we could accept 69%(80/116) of the tested sera for human IVF-ET program. The base line for acceptance was the ability that supported above 80% 2-ce1l embryos to blastocyst. But some deterious sera were contained in this range. We cut off about 10% of the sera (83.6% , 97/116) that passed the baseline. This final percent of sera was similar to that of grade N of this study.

  • PDF

Spatio-temparal Pattern Formation of Abdominal Muscle in Xenopus Iaevis

  • Ko, Che-Myong;Chung, Hae-Mo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2호
    • /
    • pp.329-335
    • /
    • 1997
  • The final pattern of the skeletal muscle of a vertebrate depends on the position-specific behavior of the muscle precursor cells during early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abdominal muscle is made of cells which migrate a relatively long distance from their original tissue, myotome of dorsal mesoderm. We report the spatia-temporal migration pattern of abdominal muscle in Xenopus laevis by in situ hybridization and immunohistological studies. Shortly after hatching tadpole stage (stage 31/32), a group of myotomal cells detaches from the lower tip of the second somite and migrates ventrally to the lower position of abdomen. At stage 34/35, a second cell group migrates away from the third somite. Total 7 myotomal cell groups migrate ventrally one by one from the second to eighth myotome along their own pathways through the cell free space located between epidermis and subepidermal layer of the abdomen. During migration, the sizes of the cell groups (abdominal muscle anlagens) are increased to several tens fold. Around stage 40 all the abdominal muscle anlagens reaches their final positions and are interconnected side by side rostrocaudally. They are also connected to other types of muscles, forming a large multisegmented abdominal muscle. Heat shock study suggests that the disruption of segmentation of somites does not block the detachment of abdominal muscle anlagen, though the treatment gave stage- and dosagedependent effects on the migration spe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