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 maturity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2초

딸기의 수확 후 CO2처리와 모의 수출과정 중 상품성 변화 (A Potential of Postharvest CO2 Treatment on the Market Quality of Strawberries during Simulated Export)

  • 이학재;김기철;박일용;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1호
    • /
    • pp.24-31
    • /
    • 2002
  • 본 연구는 수출용 딸기에 대한 실용적 $CO_2$ 처리방안을 도입하여 수출단계에서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CO_2$ 처리에 따른 경도 증진 효과는 과숙한 과실에서 더욱 컸으나 과실의 실제적인 경도는 미숙한 과실에서 높아 미숙과에 대한 처리 효과가 실용적인 가치가 있었다. 처리조건은 수확한 과실을 예냉실에 넣어 냉각시키고 15% 이상의 $CO_2$에 4시간 이상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였으며 $CO_2$ 처리의 잔류효과는 모의 선적 및 소매과정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과숙한 과실에서는 소매과정을 부여할 때 과피면이 검붉게 변하여 상품가치를 상실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농가 소유의 소형 저온실을 활용하여 간편하게 $CO_2$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수출은 물론 국내 유통에서 품질 증진을 위한 수확 후 처리기술로 활용 가능성이 있었다.

  • PDF

Changes in quality parameters of tomatoes during storage: a review

  • Jung, Jae-Min;Shim, Joon-Yong;Chung, Sun-Ok;Hwang, Yong-Soo;Lee, Wang-Hee;Lee, Hoons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239-256
    • /
    • 2019
  • The quality of tomatoes drastically changes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composition. High storage temperatures result in the degradation of the firmness and color of tomatoes and in decay by bacteria, whereas chilling injury and softening can be caused by storage at low temperatures. The gas composition in the storage and packaging are other paramete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tomatoes by preventing excessive transpiration and respiration. In addition, tomato quality is dependent on the degree of maturity and harvest season. Because there are many quality parameters, it is necessary to systemically establish an optimal standard, and this approach requires collecting and reviewing various data on storage conditions.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studies on the changes in tomato quality (firmness, color, lycopene content, and acidity of tomatoes) during storage and to describe a few models that can assess the quality parameters. Many studies have provided results from experiments on the effects of postharvest control (e.g., storage temperature, packaging film, and gas treatment, as reviewed above) on tomato quality including firmness, soluble solids content, and lycopene content. However, it is still necessary to conduct an overall analysis of the published conditions and to determine the best method for preserving the quality of tomatoes as well as other fruits.

Exserohilum turcicum (Northern Corn Leaf Blight) Severity on Maize Hybrids and the Associated Crop Performance in O.R. Tambo District, Eastern Cape, South Africa

  • Mxolisi Mtyobile;Silindile Miya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37-144
    • /
    • 2023
  • Exserohilum turcicum is a fungus that causes northern corn leaf blight (NCLB) and has deleterious effects on maize production globally. Therefore, it is prudent to mitigate the effects of NCLB using genetic diversit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severity of NCLB disease on the growth and yield of various maize genotype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ield experiment, replicated three time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 turcicum on 10 maize hybrids. Percent disease index, plant height, and leaf area were recorded at the silk stage. Cob weight, grain fresh weight, and grain yields were determined at harvest maturity. All measured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the maize hybrids. Of the 10 genotypes, four (PAN 4R-528R, PAN 4R-728BR, PAN 3R-724BR, and P1788BR) were susceptible, five (DKC74-74BR, PAN 5R-582R, PAN 5R-890R, PAN 5R-854R, and PAN 5R-590R) were moderately susceptible, and one (DKC80-40BR) was moderately resistant. DKC80-40BR exhibited greater cob weight, while DKC74-74BR was superior in all other plant growth and yield components. Interestingly, although not significant (P>0.05) and high, maize growth and yield parameter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disease incidence, except for grain fresh weight. Therefore, DKC80-40BR may be selected for cultivation in areas prone to NCLB to reduce maize susceptibility to the disease, while DKC74-74BR may improve crop performance. These hybrids could be considered as potential sources of resistance or tolerance to NCLB for further validation by plant breeders.

A Wheat Variety, "Hwanggeumal" with Good Bread Quality, Red Grain, Partial Waxy, Tolerance to PHS

  • Chon-Sik Kang;Chang-Hyun Choi;Kyeong-Hoon Kim;Kyeong-Min Kim;Go Eun Lee;Jin-Hee Park;Jong-min K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3-203
    • /
    • 2022
  • A new winter wheat(Triticum aestivum L.) cultivar "Hwanggeumal" was developed by the NICS(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Rular Dvelopment Administraion) in 2019. It was derived from a cross of the "Jokyoung//Kauz/Rayon" and "Jopoom" in 2008. It had advanced generation through bulk and pedigree method for seven years and designated line name "Jeonju398" after AYT(Advance Yield Trial) test for two years. And "Hwangeumal" was designated variety name after RYT(Regional Yield Trial) test in eight locations around Korea for two years from 2018 to 2019. Its heading date was April 19 and maturity date was May 31, which were similar to Jokyoung. "Hwanggeumal" had shorter plant height(75 cm) and spike length(7.1 cm), spikes per m2(699) and lower 1,000 grain weight(44.2 g) than "Jokyoung"(78 cm, 8.2 cm, 776, 46.6 g, respectively). "Hwanggeumal" was showed weak to winter hardiness and susceptible to powdery mildew but tolerance to PHS(Pre-harvest sprouting). The average grain yield in the AYT was 6.2 ton/ha, which were 10% more than "Jokyoung" And in the RYT was 5.1 ton/ha in upland and 4.4 ton/ha in paddy field, which were lower than "Jokyoung", respectively. "Hwanggeumal"s flour yield (71.4%) and flour lightness (91.82) showed similar to "Jokyung" and higher protein content (14.0%) and gluten content (10.3%) and SDS-sedimentation volume (60.3ml). These result showed that the "Hwanggeumal" dough strength of flour is strong than "Jokyung". "Hwanggeumal"s HMW-GS(High molecular weight gluten subunits) composition are Glu-D1 (5+10), Granule-bound starch synthase(GBSS) composition are Wx-A1 (a), Wx-B1 (b), Wx-D1 (a) and composition of Puroindolines are Pina-D1(a), Pinb-D1(b).

  • PDF

생육단계 및 경운방법에 따른 헤어리베치 녹비의 질소방출 패턴의 변화 (Nitrogen Release from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Residue in Relation to Different Tillages and Plant Growth Stage)

  • 서종호;이호진;김시주;허일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7-142
    • /
    • 1998
  • 1996년 작물시험장 전작포장에서 수확시기를 달리한 헤어리베치 잔사를 무경운과 경운조건에 mesh bag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시기별로 수거하여 잔사의 질소잔존율과 추정된 질소방출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헤어리베치는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녹비로 환원 가능한 건물중과 질소량 그리고 식물체의 화학성분 중 C/N율 및 cellulose, hemicellulose함량이 증가하였는데 건물중과 질소량은 특히 5월 28일 수확한 것이 각각 6,377, $243kg\;ha^{-1}$로 4월 23일과 5월 9일 수확한 것에 비해 월등히 많았으며 C/N율 및 cellulose함량은 5월 9일과 5월 28일 수확한 것이 4월 23일의 것에 비해 많이 증가하였다. 헤어리베치 잔사를 경운조건(지하 15cm)에 설치한 것이 무경운조건(지표)에 설치한 것보다 분해가 빨라 초기의 질소잔존율이 낮았는데 경운 조건시 설치후 1 2, 3주후에 각각 40, 23, 15%의 질소가 잔존하였던 것에 비해 무경운 조건에 설치한 것은 각각 71, 31, 21%의 질소가 잔존하였다. 헤어리베치의 무경운 및 경운 모두 수확을 늦게 한 헤어리베치일수록 잔사의 분해가 늦고 질소잔존율이 높았는데, 특히 5월 28일 수확한 잔사가 4월 23일과 5월 9일 수확한 잔사에 비해 무경운 조건에서는 설치후 8주까지, 경운조건에서는 설치 후 5주 까지 질소의 잔존율이 높았다. 헤어리베치의 추정질소방출량은 헤어리베치의 경운방법과 수확시기별 식물체 화학성분의 상이에 의한 차이보다 수확 시기별 생산된 혜어리베치 질소량의 차이에 의해 크게 좌우되어 질소생산량이 가장 많은 5월 28일 수확한 헤어리베치가 추정 질소방출량이 가장 많았으며, 경운방법에 따라서는 경운한 것이 무경운 한 것 보다 초기의 질소방출량이 많았는데 경운시는 3주 후에, 무경운시는 5주 후에 잔사질소의 대부분이 토양으로 방출되었다.

  • PDF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청보리의 이른 봄 단파 및 혼파 재배 시 생산성과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 of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Italian Ryegrass and Barley Mono, and Mixtures Sown in Early Spring)

  • 서성;정의수;김기용;최기준;안종남;한종석;박현경;김용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5-120
    • /
    • 2010
  • 본 연구는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하기 위해 월동 사료작물 재배기술을 보완하고 봄 파종의 가능성과 생산성을 구명하고자 수원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국내개발 품종을 공시하여 2009년 3월부터 6월까지 수행하였다. 처리내용은 단파 3처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IRG) 조생종 Kowinearly, 중생종 Kowinmaster, 청보리 유연)와 혼파 2처리 (Kowinearly와 유연, Kowinmaster와 유연) 등 5처리였다. 생육기간 중 IRG에서 도복이 다소 있었으나 혼파에서는 관찰되지 않았고, IRG Kowinearly의 출수기는 5월 16일, Kowinmaster는 5월 22일, 청보리와 혼파구의 출수기는 5월 13일이었다. 수확 시 건물률은 22.2~27.6%로 사일리지 조제를 위해서는 다소의 예건이 필요하였다. 처리간 사료가치는 대체로 비슷한 경향이나 조단백질 함량은 IRG가 청보리에 비해 높았으며, 건물소화율은 Kowinmaster에서 약간 낮은 경향이었다. 건물수량은 조생종 IRG Kowinearly와 유연보리 혼파구에서 13,816 kg/ha으로 가장 많았다 (p<0.05). 조단백질 수량과 가소화 건물수량도 Kowinearly와 유연보리 혼파구에서 각각 1,384 kg/ha과 10,387 kg으로 많은 경향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IRG와 청보리의 혼파재배는 IRG의 도복억제, 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 가소화 건물수량의 증가 및 재배의 안정성 제고에 효과적이었으며, 봄 재배 시 사일리지로 이용한다면 생산성과 건물함량 등을 고려할 때, 후작물 파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5월보다는 6월 상순 수확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감 과실(果實)의 물리성(物理性)및 이탈특성(離脫特性) (Physical Properties and Detachment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Fruit)

  • 김태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62-69
    • /
    • 1985
  • 기계적(機械的)인 과실(果實) 수확장치(收穫裝置)를 개발(開發)하기 위해서는 과실(果實) 일과경계(一果梗系)의 이탈특성(離脫特性) 및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을 구명(究明)할 필요(必要)가 있다. 따라서 본(本) 연구(硏究)는 재래품종(在來品種)인 청도반시를 대상(對象)으로 하여 작용력(作用力)의 변화(變化)에 따란 과실(果實)-과경계(果梗系)의 이탈력(離脫力)과 이탈형태(離脫形態) 그리고 이탈(離脫) Torque를 측정(測定)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과실(果實)-과경계(果梗系)의 이탈형태(離脫形態)는 과실(果實)이 성숙(成熟)해짐에 따라 꽃받침으로부터 과경(果梗)이 빠져나가는 형태(形態)가 많이 나타났으며 과경축(果梗軸)에 대(對)하여 외력(外力)을 가(加)하는 각도(角度)를 $0^{\circ}$에서 $90^{\circ}$까지 증가(增加)시킴에 따라 감 과실(果實)의 기계(機械) 수확시(收穫時) 목표(目標)라고 할 수 있는 과경(果梗)과 꽃받침의 접합점(接合點)에서의 이탈형태(離脫形態)는 증가(增加)하는 반면(反面) 과경(果梗)이 결과지(結果枝)의 일부(一部)를 부착(附着)한 채 파괴(破壞)되는 형태(形態)는 감소(減少)하였다. 감 과실(果實)의 이탈력(離脫力)은 최대(最大) 13kg에서 최소(最小) 5kg정도(程度)였으며 과실(果實)이 성숙(成熟)해짐에 따라 최대(最大) 47%에서 최소(最小) 8%까지 감소(減少)하였고, 과경축(果梗軸)에 대(對)하여 외력(外力)을 가(加)하는 각도(角度)를 $0^{\circ}$에서 $90^{\circ}$까지 증가(增加)시킴에 따라 성숙도(成熟度) 별(別)로 최대(最大) 31%에서 최소(最小) 24%까지 감소(減少)하였다. 과실(果實)의 이탈력(離脫力)과 중량(重量)과의 비(比)(F/w)는 최대(最大) 130에서 최소(最小) 54정도(程度)였으며 과실(果實)이 성숙(成熟)해짐에 따라 최대(最大) 36%에서 최소(最小) 8%까지 감소(減少)하였고 과경축(果徑軸)에 대(對)하여 외력(外力)을 가(加)하는 각도(角度)를 $0^{\circ}$에서 $90^{\circ}$까지 증가(增加)시킴에 따라 성숙도(成熟度) 별(別)로 최대(最大) 49%에서 최소(最小) 33%까지 감소(減少)하였다. 과수(果樹)로부터 과실(果實)을 이탈(離脫)시키기 위해서는 과실(果實)-과경계(果梗系)에 최대(最大) 1,280kg에서 최소(最小) 530kg정도(程度)까지의 형계력(衡繫力)을 가(加)하는 것이 필요(必要)하였다. 과실(果實)의 이탈(離脫)에 필요(必要)한 Torque의 범위(範圍)는 $1.1{\sim}0.5kg{\cdot}cm$ 정도(程度)였다.

  • PDF

마늘 및 양파 제제(製劑)와 메리트청(靑) 처리(處理)가 가온촉성재배시(加溫促成栽培時) '대봉(大峰)' 포도(葡萄)의 발아(發芽)와 성숙(成熟)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Garlic- and Onion-based Formulae and Merit Blue on Budbreak and Maturity of 'Daebong' Grapes (Vitis labruscana B.) in Forcing Culture)

  • 김선규;김승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2호
    • /
    • pp.123-126
    • /
    • 1999
  • 마늘즙, 마늘즙 에탄올 추출물, 마늘즙 에틸에테르 추출물, 양파즙, 양파즙 에탄올 추출물, 마늘즙+메리트청(靑) 혼용, 마늘즙 에탄올 추출물+메리트청(靑) 혼용, 양파즙+메리트청(靑) 혼용, 양파즙 에탄올 추출물+메리트청(靑) 혼용 및 메리트청(靑) 처리가 하우스 재배 대봉 포도의 휴면타파, 개화 및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메리트청(靑) 단용 및 다른 처리와의 혼용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발아기가 빨랐는데, 2회 처리가 1회 처리보다 발아촉진 효과가 더 컸다. 조기가온에서는 거의 모든 처리구에서 100% 발아하였으나 후기가온에서는 메리트청(靑)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발아율이 현저히 낮았다. 개화기는 조기가온 1회 처리에서는 메리트청(靑)가 혼용구에서 가장 빨랐으며, 2회 처리에서는 양파 에탄올 추출물과 메리트청(靑) 단용 및 양파즙과의 혼용구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는 메리트청(靑) 처리구인 대조구와 같거나 더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후기가온의 경우 1회 처리는 모든 처리가 대조구보다 개화기를 앞당겼으며, 특히 메리트청(靑) 혼용구에서 개화기가 크게 빨라졌다. 2회 처리에서는 양파 에탄올 추출물과 메리트청(靑) 혼용구와 양파즙처리구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는 메리트청(靑) 처리구인 대조구와 거의 같거나 오히려 더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조기가온실험에서 수확기는 1, 2회 처리 모두 처리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수확기간도 비슷했다. 후기가온에서는 1, 2회 모두 메리트청(靑) 단용, 혼용 처리구에서 수확기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회 처리에서 양파즙 에탄올 추출물+메리트청(靑) 혼용구가 대조구보다 수확기를 12일 앞당겼으며, 수확기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대두육종에 있어서의 선발에 관한 실험적연구 -속보 : 유전력ㆍ유전상관, 그리고 선발지수의 재검토- (Studies on the selection in soybean breeding. -II. Additional data on heritability, genotypic correlation and selection index-)

  • 장권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권
    • /
    • pp.89-98
    • /
    • 1965
  • 대두증산의 중요성에 미추어 대두의 다수계통 선발을 위하여 전년에 공시한 22품종을 재료로 각 형질의 유전력, 각 형질상호간의 유전상관, 그리고 선발지수 등을 재검토하기 위하여 선발시험을 한 바 대체로 전보 전년의 결과와 같다. 1. 유전력 : 유전력을 추정하기 위하여 파종기별로 각 형질의 평균치의 변동을 보면 제1표와 같이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형질의 평균치는 감소하고 (Table 1), 형질중에는 환경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것도 있으며(Table 2), 각 형질별 유전력을 추정한 바 그 결과는 제3표와 같다. 즉 개화일수ㆍ결실일수ㆍ생육일수 등 생유기간에 관계되는 형질은 그의 유전력이 높고 형태적 특성에 관계되는 형질중에서도 경장 100입중은 높으나 수량에 관여하는 형질 등은 낮았다. 그리고 파종기에 따라서도 변동을 하며 대체로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보인다(Table 3). 2. 유전상관 : 각 형질 상호간의 유전상관ㆍ표현형상관을 알기 위하여 각 형질의 표현형분산과 각 형질 상호간의 표현형공분산ㆍ유전공분산. 그리고 환경공분산을 산출한 바 그 결과는 제4,5표와 같고(Table 4,5), 그들의 유전상관과 표현형상관은 제6표와 같다(Table 6). 대체로 유전사관의 정도는 표현형상관보다높으나 파종기에 따라서도 변동하고 있다. 일주입중 즉 수랴오가 타형질과의 상관을 보면 대체로 전보와 같이 100입중이외의 제형질은 정의 상관을 보이며, 파종기에 따라서도 그 값이 변동을 하나 전보에서는 일주입중과 분지수 사이에 고도의 상관관계가 보였으나, 본실험에 있어서는 상관의 경향이 보였을 따름이다. 그리고 본실험에 있어서는 일주협수와 일주입수간에서 유전상관이 1이상의 이상치를 보였다. 3. 선발지수 : 선발이 최종 대상형질을 일주입중(형질 Y)으로 하여 여기에 어려 형질을 조합한 선발지수(Selection index A)와 최종 대상형질을 수량과 높은 유전상관이 있는 일주협수(형질 Y')로 하여 여기에 여러 형질을 조합한 선발지수(Selection index B)를 Robinson et al.의 방법에 의하여 작성하여 본 바 제7표와 같다(Table 7). 전보의 결과와 같이 대두의 선발에 있어서는 최종 대상형질을 일주입중 대신에 일주협수로써 선발하여도 대차가 없고, 선발대상형질을 4개형질이상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조사와 산출에 요하는 노력에 비하여 크게 기대될 정도가 못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다수확을 목표로 하는 선발은 탈곡조제 전에 일주협수ㆍ분지수ㆍ경직경 등에 대하여 조사를 하고 선발지수를 산출하여 Selection score가 큰 계통부터 선발하여 가면 될 것으로 믿는다. 그리고 선발을 위한 대상형질로는 생육일수(X$_1$)ㆍ분지수(X$_2$)ㆍ경직경(X$_3$), 그리고 일주협수(X$_4$)의 4개형질 혹은 분지수(X$_2$)ㆍ경직경(X$_3$), 그리고 일주협수(X$_4$)의 3개형질로 할 것이 요망되고, 이들 형질의 측정치로 선발지수를 작성하여 그 지수에서 산출된 Selection score가 큰 계통부터 선발해 나가는 것이 선발지수의 이용상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 하겠다.

  • PDF

철원지역에서 재배한 양마 (Kenaf, Hibiscus cannabinus L.)의 재식거리와 품종, 수확시기에 따른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의 변화 (Effects of Planting Density, Cultivar and Growing Days on the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in Cheorwon, Korea)

  • 한상은;성경일;조동하;김성무;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5-292
    • /
    • 2006
  • 본 연구는 양마 3품종을 재식거리,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료성분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강원도 철원지역에서 2005년 5월 20일부터 2005년 9월 12일까지 수행되었다. 시험배치는 3반복 분할구 배치로 주구는 재식거리와 수확시기를, 세구는 양마 3품종(Dowling, Everglade 및 Tainung)을 배치했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육일수에 따른 건물 생산량은 93일까지는 재식거리가 $10{\times}10cm^2$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 건물생산량에서는 모든 품종이 생육시기가 진행됨에 따라 건물수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Bowling이 모든 수확시기에서 가장 높은 건물생산량을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생육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생육 중기(생육일수 84일)을 기준으로 생육초기에는 조단백질 함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10{\times}20cm^2$ 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로는 Bowling의 조단백질 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재식거리 및 품종에 따른 NDF와 ADF 함량의 차이는 조사된 3 품종 공히 생육시기가 지나감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큰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양마는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서 훌흉한 사료작물로서의 가능성이 검증되었고, 특히 Bowling 품종이 재식거리 $10{\times}10cm^2$로 파종하여 104일째 수확했을 때 가장 좋은 건물생산량과 품질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