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 Time

검색결과 1,003건 처리시간 0.027초

식미가 우수한 중과형 사과 '피크닉' 육성 ('Picnic', a New Mid-season Apple Cultivar with Medium Size and Good Taste)

  • 권순일;박종택;이정우;김목종;김정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784-788
    • /
    • 2015
  • 신품종 '피크닉'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1994년 '후지'에 '산사'를 인공교배하여 얻은 실생 중 유망한 계통을 2003년 예비선발하여 2004년부터 2008년까지 5년간 '원교 가-34호'로 군위 등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08년에 최종 선발한 품종이다. 과실의 적숙기는 9월 하순이고 과형은 원추형, 과피는 붉은색, 바탕색은 녹황색, 과육은 황백색이다. 과중은 평균 233g이며,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13.8^{\circ}Brix$, 산 함량은 0.43%로 당산미가 조화로워 식미가 우수하다. 탄저병에 약하고 갈색무늬병이 발생하기 쉽다. '피크닉'은 우리나라 주요 품종인 '후지', '홍로', '쓰가루' 품종과 교배친화성이 있다. 수세가 약하고, 수자는 반개장성이다.

반건양건 단일 4가닥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a Four-Strand Single Semitendinosus Tendon Autograft)

  • 경희수;김태공;오창욱;윤상협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8-142
    • /
    • 2009
  • 목적: 반건양건과 박건을 모두 채취함으로써 야기되는 공여부 이환을 줄이기 위하여 반건양건 단일 4가닥 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결과를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반건양건 단일 4가닥 건을 사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37명의 환자에게 시행하였다. 평균 나이는 28.6세였고, 남자 34명, 여자 3명이었다. 수상으로부터 수술까지의 기간은 5.4개월이었다. 동반 손상은 반월상 연골 손상 10예, 내측부인대 손상 3예, 골연골 손상 1예 있었다. 평균 추시는 16개월(12~18개월)이었고, 임상 평가는 관절 운동범위, Lachman 검사, pivot-shift 검사, Lysholm 점수, KT-2000 슬관절계를 이용하였다. 결과: 37명 모두 평균 150도로 정상측과 같은 슬관절 운동범위를 보였으며, 35예에서 Lachman 검사 및 pivot-shift 검사 상 음성이었다. Lysholm 점수는 84점에서 92점으로 개선되었다. 비협조적인 재활로 인하여 2예에서 슬관절의 이완이 남았으며, KT-2000 슬관절계를 이용하여 건측과 비교 측정한 평균 슬관절 전방 전위는 술 전 6.7 mm에서 최종 추시 시 2.1 mm로 개선되었다. 결론: 반건양건 단일 4가닥 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보여 주었다.

  • PDF

밀식재배형 식미우수 중생종 사과 "홍소(紅笑)" (A Mid-Maturing Apple Cultivar "Hongso", High Density Cultivation Type having a Good Taste)

  • 김목종;권순일;백봉렬;남종철;강상조;신용억;황정환;강인규;최철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56-559
    • /
    • 2009
  • "홍소"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1989년 "양광"에 "홍로"를 인공교배 하여 얻은 실생 중 유망한 계통을 2002년 1차 선발하여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간 '원교 가-30호'로 군위, 춘천 등 5개 지역에서 적응시험을 거쳐 2006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과실의 적숙기는 9월 상순으로 "홍로"와 비슷하다. 과형은 원원추형, 과피색은 선홍색, 바탕색은 녹황색, 과육색은 백색이다. 과실크기는 295 g으로 중 대과종이며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14.3^{\circ}Brix$, 산 함량은 0.34%로 "홍로"에 비해 산도가 높으며 당산미가 조화되어 식미가 우수하였다. 수자는 반개장성이고 수세는 약한 편이고, 조기결실성이며 새가지 생장이 적고 단과지형이나 액화 결실이 적어서 생력형 밀식재배 품종으로 유망하였다. 점무늬낙엽병에는 강하고 동녹 발생이 비교적 많은 편이며, 특히, 주요 재배품종과의 교배 친화성이 높다.

배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원교 나-흑성 2호" (Scab (Venturia nashicola) Resistant Pear, "Wonkyo Na-heukseong 2")

  • 신일섭;황해성;신용억;허성;김기홍;강삼석;김윤경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54-357
    • /
    • 2009
  • Venturia nashicola에 의한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저항성 유전자원 탐색을 1997~1999년까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포장검정 및 인공 접종을 실시하여 저항 성친으로 서양배 "청마려"을 선발하였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에서 고품질 만생종 "만수"에 "청마려"를 1997년에 교배하여 저항성 우량 계통인 중간모본 "원교나-흑성 2호" 을 2008년에 선발하였다. 2008년 만개일은 4월 19일로 "만수" 보다 1일 늦고, "청마려"보다 7일 정도 빠르며 수세는 강하고 수자는 직립형이다. 검은별무늬병에 "청마려"와 "Bartlett"과 같이 강하고 "신고", "원황"등 국내 주요 재배 품종들과 교배 친화성이 있다. 과실은 만개 후 180일경에 성숙되어 양친에 비해 20일 정도 성숙 일수가 짧으며, 과형은 방추, 과피는 황녹갈색이다. 평균과중은 484 g, 당도는 $13.2^{\circ}Brix$이며 과즙량은 중~다이다 석세포가 적고 동양배의 아삭아삭함이 있다.

Mitig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GHGs) by Water Management Methods in Rice Paddy Field

  • Kim, Gun-Yeob;Park, Woo-Kyun;Lee, Sun-Il;Lee, Jong-Sik;Choi, Eun-Jung;Na, Un-sung;Jang, Hee-Young;Suh, Sang-U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77-484
    • /
    • 2015
  • Environmental effect of water-saving irrigation on the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GHGs) has not been well investiga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 of water-saving irrigation on GHGs as well as water use and rice production yield in paddy field condition in Korea. Four experimental runoff plots of 4x35 m in size were prepared at an existing paddy field. GHGs emission was measured during the 2012~2013 growing seasons while a Japonica rice variety was cultivated. Four different water management methods, 1) Continuous Flooding (CF), 2) Intermittent Drainage (ID), 3) Water Saving (WS), and 4) CF+WS, were used during a rice growing season to compare the effects of water management methods on GHGs emission. CF method is flooding all the time, ID method makes paddy water drained 40 days after transplanting for about two weeks, WS method maintains 2~3 cm water-level, which should be refilled when the water-level decreased to about 0 cm, and CF+WS method combines CF method before 30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and WS method after 30 DAT. Regardless of water management methods, paddy field water was drained about 30 days before harvest. Amount of GHGs emission from WS plot was reduced by 69.3% compared to that from CF plot and by 59.0% compared to that from ID plot. Amount of GHGs emission from CF+WS plot was reduced by 60.7% compared to that from CF plot and by 47.5% compared to that from ID plot. Weed occurrence in CF+WS plots was reduced to 62.2% in comparison with the WS plot, implying that CF+WS plot showed the best effect to mitigation of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n the atmosphere.

논과 고랭지 배추밭 대상 Sentinel-2A/B 정규식생지수 월 합성영상의 구름 제거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Cloud Removal Effect of Sentinel-2A/B NDVI Monthly Composite Images for Rice Paddy and High-altitude Cabbage Fields)

  • 은정;김선화;김태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545-1557
    • /
    • 2021
  • 농작물은 그 종과 생육상태에 따라 민감한 분광특성을 나타내며, 특히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관측이 필요하나 장마로 인해 광학위성의 활용이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C-MNC(Constrained Cloud-Maximum NDVI Composite)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이 기법을 통해 구름의 영향이 최소화된 일정 주기의 대표 합성영상이 생성된다. 본 연구에서도 이 기법을 이용하여,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논과 고랭지 배추밭을 대상으로 Sentinel-2A/B NDVI 월합성영상을 제작하였다. 다른 해보다 200 mm 많은 강수량을 보이는 2020년 8월에는 16일 주기 MODIS NDVI합성영상에서도 구름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 시기를 제외하고 CC-MNC 기법은 평균적으로 원영상의 45.4%의 구름 비율을 14.9%로 줄일 수 있었다. 논의 경우 Sentinel-2A/B와 MODIS NDVI 값이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5일의 주기로도 벼의 생육 주기를 잘 모니터링할 수 있었다. 고랭지 배추밭의 경우, Sentinel-2A/B에서는 고랭지 배추의 짧은 생육 주기가 잘 나타났지만, MODIS는 공간해상도의 한계를 보였다. 이와 함께 CC-MNC 기법은 수확 시기에 구름 화소가 합성에 사용되는 현상이 보이기도 하였으며, 국내지역에 맞게 VZA 임계치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배 자가결실성 "원교 나-자수정 2호" (Breeding of Self-compatible Pear "Wonkyo Na-jasoojung 2")

  • 신일섭;신용억;황해성;허성;김기홍;강삼석;김윤경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4-157
    • /
    • 2009
  • 배는 배우체 자가 불화합성을 보이며, 이것은 단일 유전자좌의 복대립 유전자에 의하여 제어된다. '원교 나-자수정 2호'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고품질 조생종 '원황'에 '92-18-79' (오사이십세기 자식계통, ${S_4}^{sm}{S_4}^{sm}$)를 2001년에 교배하여 얻은 계통 중에 자가 결실성이며 품질이 우수하여 중간모본으로 선발되었다. 만개기는 '오사이십세기'보다 1일 정도 빠르고 '원황'과는 유사하다. 수세는 중, 수자는 반개장형이다. 검은별무늬병(Venturia nashicola)에는 '오사이십세기' 정도로 약하고 검은무늬병(Alternaria kikuchiana)에는 '원황'과 같이 강하다. 자가 결실률은 65.7%로 안정된 자가 결실률을 보였다. 만개후 성숙기까지는 148일로 '오사이십세기'보다는 11일가량 빠르며, '원황'보다는 11일 정도 늦다. 과형은 원편원이고 과피는 황갈색이다. 평균 과중은 445 g이며 당도는 $13.3^{\circ}Brix$로 높고 과즙은 풍부하며 석세포는 적다.

Meat quality of pork loins from Hereford×Berkshire female and intact male pigs reared in an alternative production system

  • Robbins, Yvette;Park, Hyeon-Suk;Tennant, Travis;Hanson, Dana;Whitley, Niki;Min, Byungrok;Oh, Sang-Hy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475-1481
    • /
    • 2019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pork quality from Hereford${\times}$Berkshire female and intact male pigs reared outdoors in an alternative production system. Methods: Berkshire purebred sow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once in the fall and again in the spring of the following year, with semen from Hereford boars and managed free of antibiotics in an outdoor hoop structure until the last month of pregnancy, after which they were moved to a pasture-based unit of 0.8 hectares with individual lots with a farrowing hut, shade, and water ad libitum. Piglets were weaned at 4 weeks of age and housed in a deep-bedded hoop structure, grouped by sex. Animals were harvested at market weight of 125 kg, approximately 200 days of age. Hot carcass weight was collected at the time of the harvest. After 24 hours of refrigeration, carcass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Longissimus dorsi samples collected from the right side loin. Loins were cut into 2.54-cm thick chops and were used to measure marbling score, color score, drip loss, and ultimate pH. Sensory panel tests were conducted as well at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For pork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anel data, trial and sex were included in the statistical model as fixed effects. Hot carcass weight was included in the model as a covariate for backfat thickness. Results: Neither the subjective nor the objective color scores displayed any differences between the boars and the gilts. No difference was found for pH and marbling score between trials or sexes. Gilts had a thicker backfat measurement at the last lumbar and a narrower longissimus muscle area measurement when compared to the boars. The only difference i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was found between the trials for texture and moisture scores. Conclusion: Consumers were not able to detect boar taint under the condition of this study, which is that the intact males were reared outdoors. Additional trials would be necessary; howe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outdoor rearing can be suggested as a solution to the issue of boar taint.

Risk Factors of Allogenous Bone Graft Collapse in Two-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 Woo, Joon-Bum;Son, Dong-Wuk;Lee, Su-Hun;Lee, Jun-Seok;Lee, Sang Weon;Song, Geun S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4호
    • /
    • pp.450-457
    • /
    • 2019
  • Objective :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is commonly used surgical procedure for cervical degenerative disease. Among the various intervertebral spacers, the use of allografts is increasing due to its advantages such as no harvest site complications and low rate of subsidence. Although subsidence is a rare complication, graft collapse is often observed in the follow-up period. Graft collapse is defined as a significant graft height loss without subsidence, which can lead to clinical deterioration due to foraminal re-stenosis or segmental kyphosis. However, studies about the collapse of allografts are very limit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graft collapse.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33 patients who underwent two level ACDF with anterior plating using allogenous bone graft from January 2013 to June 2017. Various factors related to cervical sagittal alignment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PRE), postoperatively (POST), and last follow-up. The collapse was defined as the ratio of decrement from POST disc height to follow-up disc height. We also defined significant collapses as disc heights that were decreased by 30% or more after surgery. The intraoperative distraction was defined as the ratio of increment from PRE disc height to POST disc height. Results : The subsidence rate was 4.5% and graft collapse rate was 28.8%. The pseudarthrosis rate was 16.7% and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pseudarthrosis and graft collapse. Among the collapse-related risk factors, pre-operative segmental angle (p=0.047) and intra-operative distraction (p=0.003)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llograft collapse. The cut-off value of intraoperative distraction ${\geq}37.3%$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llapse (p=0.009; odds ratio, 4.622; 95% confidence interval, 1.470-14.531). The average time of events were as follows: collapse, $5.8{\pm}5.7months$; subsidence, $0.99{\pm}0.50months$; and instrument failure, $9.13{\pm}0.50months$. Conclusion : We experienced a higher frequency rate of collapse than subsidence in ACDF using an allograft. Of the various preoperative factors, intra-operative distraction was the most predictable factor of the allograft collapse. This was especially true when the intraoperative distraction was more than 37%, in which case the occurrence of graft collapse increased 4.6 times. We also found that instrument failure occurs only after the allograft collapse.

바이오에너지의 탄소부채 최소화를 위한 수학적 계획법 (A Mathematical Programming Method for Minimization of Carbon Debt of Bioenergy)

  • 최수형
    • 청정기술
    • /
    • 제27권3호
    • /
    • pp.269-274
    • /
    • 2021
  • 바이오에너지는 탄소중립을 추구하는 방안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수확된 식물 바이오매스를 연소하면 필연적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는 일정기간 동안 화석을 연소할 때보다 더 많아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 탄소부채의 총량과 상환기간을 예측하고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례연구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석연료를 바이오매스로 일시에 전환할 경우에 대한 탄소순환 영향평가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탄소중립 개념의 근본적인 취약성을 지적한다. 바이오에너지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실행방안으로는 숲 면적 감소분에 비례하는 추가식림 및 숲 질량 증가분에 비례하는 추가수확 공식을 제안하였다. 최적화 결과, 탄소부채 상환기간은 약 70년, 대기 중 이산화탄소는 최대 50% 이상, 정상상태에서 3% 증가가 예상된다. 이는 이론적으로 예측한 최상의 결과이며 실제로는 이보다 나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바이오매스는 진정으로 탄소 중립적이지 않으며, 화석연료의 대체에너지원으로서 부적합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은 이미 사용 중인 바이오에너지의 현재 및 미래 탄소부채 최소화를 통해 탄소중립으로의 접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