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arvest Time

Search Result 1,00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국내산 식용 지하 부위 채소의 수확시기에 따른 무기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neral Contents of the Underground Vegetables Produced in Korea harvested in different times)

  • 장경미;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45-549
    • /
    • 1999
  • 우리 나라에서 재배하여 생산한 식용 지하 부위 채소 (감자, 고구마, 당근, 무, 우엉, 연근, 양파, 생강, 마늘)의 수확시기에 따른 무기 성분의 차이와 중금속 함유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모든 시료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무기 성분은 K이었으며, P와 Ca, Mg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다. 각각의 무기 성분 함량은 모든 시료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감자는 다른 식용 지하 채소에 비해 Na과 Fe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K의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고구마는 감자와 비교하면 6월과 8월의 시료에서 Ca을 2-3배 가량 많이 함유하고 있다. 당근은 Na의 함량이 감자나 고구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무는 Ca의 함량이 높았는데 감자의 5-8배였고 다른 지하 부위 채소들과 비교하여도 2-3배 이상이나 되었다. 연근도 Ca의 함량이 높았으며 Mn의 함량은 분석한 시료들 중 가장 높았다. 마늘은 K와 P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생강은 Mg 함량이 분석한 시료들 중 가장 높았다. 양파에는 K, P, Ca의 함량이 타 채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Mg은 높았다. 계절별로 비교해 보면 6월과 8월의 시료들이 10월의 시료들에 비하여 여러 무기 성분의 함유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Assessment of Palm Press Fibre and Sawdust-Based Substrate Formulas for Efficient Carpophore Production of Lentinus squarrosulus (Mont.) Singer

  • Osibe, Dandy Ahamefula;Chiejina, Nneka Virginia
    • Mycobiology
    • /
    • 제43권4호
    • /
    • pp.467-474
    • /
    • 2015
  • Development of efficient substrate formulas to improve yield and shorten production time is one of the prerequisites for commercial cultivation of edible mushrooms. In this study, fifteen substrate formulas consisting of varying ratios of palm press fibre (PPF), mahogany sawdust (MS), Gmelina sawdust, wheat bran (WB), and fixed proportions of 1% calcium carbonate ($CaCO_3$) and 1% sucrose were assessed for efficient Lentinus squarrosulus production. Proximate compositions of mushrooms produced on the different substrate formulas were also analysed and compared. Substrate formulations containing 85% PPF, 13% WB, 1% $CaCO_3$, and 1% sucrose were found to produce the highest carpophore yield, biological efficiency and size (206.5 g/kg, 61.96%, and 7.26 g, respectively). Days to production (first harvest) tended to increase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WB in the substrate formulas, except for PPF based formulas. The addition of WB in amounts equivalent to 8~18% in substrate formulas containing 80~90% PPF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time to first harvest by an average of 17.7 days compared to 80~90% MS with similar treatment. Nutritional content of mushrooms was affected by the different substrate formulas. Protein content was high for mushrooms produced on formulas containing PPF as the basal substrate. Thus, formulas comprising PPF, WB, $CaCO_3$, and sucrose at 85% : 13% : 1% : 1%) respectively could be explored as starter basal ingredients for efficient large scale production of L. squarrosulus.

수도(水稻) 가리시비(加里施肥) 효율향상(効率向上)을 위(爲)한 추비방법(追肥方法) (Topdressing method of Potassium for the better efficiency in rice)

  • 오왕근;유인수;박훈;김우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99-217
    • /
    • 1975
  • For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t method of potassium topdressing on rice the optimum time and amount were investigated and discussed on the basis of available data from nutriophysiological studies, soil characteristics and fertilizer trials in fields. The followings were pointed out. 1. According to yield rice plants require more potassium around heading under water culture. 2. Potassium involves in harvest index, filled grain ratio, grain weight and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3. Potassium is lost after heading in most fields in spite of highest requirement during this period. 4. The higher $K_2O/N$ ratio in straw at harvest is, the higher the yield. 5. Relatively low efficiency of potassium fertilizer under the field condition may be due to improper application method rather than natural supply from soil and irrigation water. 6. Appropriate topdressing time appears at in effective tillering stage for the prevention of nitrogen excess and at 15 to 20 days after transplanting, ear formation stage and 5 days after heading for the prevention of soil reduction damage. Two times of topdressing for clayey soil and three times for sandy soil seems reasonable in practice together with nitrogen topdressing, 7. The reasonable ratio basal to topdressing of potassium fertlizer seems to be 2/3 and $N/K_2O$ ratio of fertilization for ear formation stage appeared also as 2/3.

  • PDF

Application of Decision Trees for Prediction of Sugar Content and Productivity using Soil Properties for Actinidia arguta 'Autumn Sense'

  • Ha, Si-Young;Jung, Ji-Young;Park, Young-Ki;Kweon, Gi-Young;Lee, Sang-Yoon;Park, Jae-Hyeon;Yang, Jae-Kyung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5호
    • /
    • pp.37-49
    • /
    • 2019
  •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important in increasing the fruit sugar content and productivity of the new cultivar Autumn Sense of Actinidia arguta. We analyzed various soil properties at experimental sites in South Korea.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soil properties and sugar content or productivity of Autumn Sense. Further, a decision tree was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soil conditions. The difference in the fruit size, sugar content, and productivity of Autumn Sense across sites was significant, confirming the effects of soil properties. The decision tree analysis showed that a soil C/N ratio of over 11.49 predicted a sugar content of more than 7°Bx at harvest time, and soil electrical capacity below 131.83 µS/cm predicted productivity more than 50 kg/vine at harvest time. Our results present the soil conditions required to increase the sugar content or productivity of Autumn Sense, a new A. arguta cultivar in South Korea.

홍화 개화후 강우 시기가 종실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infall Time after Flowering on Grain Yield and Quality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박준홍;박소득;김세종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40-343
    • /
    • 2006
  • 개화후 강우 시기가 홍화의 생육과 종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화후 강우 시기에 따른 지상부 및 꽃 봉오리 병해 발생 정도는 각각 3.3, 1로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등숙 비율은 주경은 개화후 $1{\sim}5$일 강우시 37.4%, 1차 분지는 개화후 $6{\sim}10$일 강우시 63.0%로서 가장 낮았다. 10a당 수량은 무강우의 327kg/10a에 비해 개화후 $6{\sim}10$일과 개화후 $11{\sim}15$일 강우시 $282{\sim}281kg/10a$으로서 각각 14% 감소되었다. 종실의 색도(명도=L)는 개화후 $21{\sim}25$일 강우시 73.5, $26{\sim}30$일 강우시 69.9로서 무강우 79.3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때 수확기 강우에 의한 종실의 품질 손실 방지를 위해서는 개화후 25일까지는 수확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ime-Power 제어를 이용한 드론의 효율적 데이터 전송 및 에너지 하비스팅 기법 (A scheme fo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and energy harvesting in drone systems using time-power switching)

  • 홍승관;차경현;이선의;황유민;김진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1-76
    • /
    • 2015
  • 본 연구는 LTE, 5G의 무선 통신네트워크망에서 효율적으로 무선에너지하비스팅과 데이터 전송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모델을 제시한다. 수신 된 신호의 파워를 타임 스위칭(Time Switching)과 파워 스플릿팅(Power Splitting) 기법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무선에너지하비스팅 효율과 데이터 전송률을 만족시키기 위한최적의 타암 & 파워 비율을 찾는다. 그래서 최적의 시간 & 파워 비율을 선정함으로써 우리는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과 에너지하비스팅이 가능하다. 또 이상적인 수신기와 제안한 시스템 모델의 비교를 통해 성능 분석을 실시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재배조건이 소형 간식용 고구마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ate, Plant Spacing, and Harvest Time on the Production of Small-sized Sweetpotato in the Alpine Zone of Korea)

  • 김학신;문윤호;정미남;안영섭;이준설;방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93-197
    • /
    • 2006
  • 고구마 소형 간식용 생산을 위한 적정 재배기술 확립을 위하여 고구마 삽식기, 재식거리 및 수확시기를 달리하여 소비자의 선호도에 부응한 간식용으로 적합한 소형 고구마 생산을 향상시키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형간식용 고구마생산을 위한 적정 삽식시기는 4월 중순(피복재배)에 삽식거리는 $75cm{\times}15{\sim}20cm$, 6월 중 순(무피복재배) 삽식시 $75cm{\times}15cm$가 적합하였다. 2. 고구마 상저수량은 삽식후 수확일수가 길어질수록 증수되었으나, 삽식후 100일 수확이 80일이나 120일 수확보다 소형 간식용으로 적합한 고구마 괴근 비율이 높았다. 3. 삽식시기 및 삽식거리에 따라 상저수량이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4월 15일 조기 비닐피복재배에서 처리간에 변이폭이 적어 안정적이었다. 4. 보통기(5월) 비닐무피복재배보다 조기(4월) 비닐피복 재배가 농가소득이 $32{\sim}61%$ 증가되어 유리하였다.

유자의 종류별 수확시기에 따른 유리당, 헤스페리딘, 나린진,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고혈압 활성 변화 (The Change of Free Sugar, Hesperidine, Naringin, Flavonoid Contents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Yuza Variety according to Harvest Date)

  • 황성희;장재선;김민정;김강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1-1058
    • /
    • 2014
  • 재래유자(C. junos I), 개량종 I(C. junos I+Poncirus trifoliata), 개량종 II(Citrus junos I+C. junos II) 세 가지 유자의 종류별 수확시기에 따른 유리당, 헤스페리딘, 나린진,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고혈압 활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산도는 감소하고 당도는 증가하여 당산비는 증가하였고, 포도당, 서당은 수확시기에 따른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과당은 유자가 충분히 익는 11월에 급격히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개량종 II는 10월 수확한 과피에서, 재래종은 10월 수확한 과즙에서 다른 품종보다 총 플라보노이드가 높았으며, 유자 과피의 hesperidin과 naringin은 유자가 미성숙했을 시기인 7월에 가장 높았고, 급격히 감소하고 있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중에서 hesperidin과 naringin이 차지하는 비율도 미숙과인 7월보다 11월에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 효과는 과즙과 과피에서 모든 수확시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과즙보다 과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품종별, 수확 시기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제철 11월에 수확한 재래종 과피에서 ACE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hesperidin과 naringin을 이용하고자 할때는 미숙과를, 당도나 ACE 저해 효과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완숙과를 이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The utility of three-dimensional models in complex microsurgical reconstruction

  • Ogunleye, Adeyemi A.;Deptula, Peter L.;Inchauste, Suzie M.;Zelones, Justin T.;Walters, Shannon;Gifford, Kyle;LeCastillo, Chris;Napel, Sandy;Fleischmann, Dominik;Nguyen, Dung H.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5호
    • /
    • pp.428-434
    • /
    • 2020
  • Background Three-dimensional (3D) model printing improves visualization of anatomical structures in space compared to two-dimensional (2D) data and creates an exact model of the surgical site that can be used for reference during surgery. There is limited evidence on the effects of using 3D models in microsurgical reconstruction on improving clinical outcome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patients undergoing reconstructive breast microsurgery procedures from 2017 to 2019 who received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TA) scans only or with 3D models for preoperative surgical planning were performed. Preoperative decision-making to undergo a deep inferior epigastric perforator (DIEP) versus muscle-sparing transverse rectus abdominis myocutaneous (MS-TRAM) flap, as well as whether the decision changed during flap harvest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tracked based on the preoperative imaging used. In addition, we describe three example cases showing direct application of 3D mold as an accurate model to guide intraoperative dissection in complex microsurgical reconstruction. Results Fifty-eight abdominal-based breast free-flaps performed using conventional CTA were compared with a matched cohort of 58 breast free-flaps performed with 3D model print. There was no flap loss in either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flap harvest time with use of 3D model (CTA vs. 3D, 117.7±14.2 minutes vs. 109.8±11.6 minutes; P=0.001). In addition, there was no change in preoperative decision on type of flap harvested in all cases in 3D print group (0%), compared with 24.1% change in conventional CTA group. Conclusions Use of 3D print model improves accuracy of preoperative planning and reduces flap harvest time with simila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complex microsurgical reconstruction.

침버섯 인공재배 생육 특성과 수확 최적 시기 (Growth characters and harvest time for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 김영;정보미;위안진;박화식;방미애;박대훈;서정욱;오득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4-118
    • /
    • 2015
  • 침버섯 자실체는 원기형성일로부터 exp${\{b_2{^*}ln(t)^2+b_1{^*}ln(t)}\}$의 생장곡선을 그리면서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배후 20일째에는 생장 임계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장 임계선이 20일째 나타나지만 재배 14일째부터는 다당류의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재배후 14~15일(자실체 생중량 150 g)째가 최적 수확시기로 사료된다. 이는 Choi et al. (2011)이 연구하여 발표하였던 침버섯의 균사 생장 패턴과 유사하며 배양시기별 기능성 단백질을 생산하는 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Park et al. (2004)는 표고버섯에서 채취 시기별 영양소 차이가 존재하지 않지만 부위별 영양소 차이가 존재한다고 하였다. 침버섯은 시기별 생장하는 부위가 다르기에 시기에 따른 기능성 단백질 차이가 아닌 세부 부위별 유효성분 분포 차이로 본 연구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사료된다. Myung-Hee et al. (2012)는 시판 되는 버섯의 부위 중 자실체에 주로 유효성분 이 분포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침버섯의 최적 수확시기는 버섯의 자실체에 해당하는 바늘의 생장이 거의 정지되는 시점이기에 성장 시기별 기능성 물질의 생산량의 차이인지 부위별 유효성분 분포 차이인지를 규명할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