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woo Heifer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the State of Uterus and Ovary on Pregnancy Rates, and Artificial Induction of Twins with Hanwoo IVF Embryos

  • Yoon, Do-Joong;Kim, Gye-Woong;Kim, Kon-Joong;Kim, Duk-Jung;Kim, Nam-Hyung;Lee, Jong-Wan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6권1호
    • /
    • pp.87-9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compare the pregnancy rate (P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ovaries and uterus, according to the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from cows and heifers and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artificial twin induction with Hanwoo $in$ $vitro$ fertilized (IVF) embryos by embryo transfer (ET). Looking at the PR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ovaries and uterus, the result was not influenced by the condition of the ovaries, bu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tate of the uterus. The PR according to the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from cows was 36.8%, 53.0%, 50.5% for 1, 2, and 3 embryos respectively, and although there was a higher frequency of twin calves with 3 embryos than with 2, the calving rate was the highest with 2 embryos. In case of heifers, the transfer of 1 embryo showed the best pregnancy and calving rate, and although the PR was similar with 2 embryos (67.7 versus 66.4), in case of 2 embryos transferred there was high frequency of embryonic loss( 6.1%) occurred when a cow was diagnosed at 28 and 53 d after ET, total loss (21.3%; sum of fetal death, abortion and stillbirth after pregnant diagnosis at 60 day).

Effects of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the State of Uterus and Ovary on Pregnancy Rates, and Artificial Induction of Twins with Hanwoo IVF Embryos

  • Yoon, Do-Joong;Kim, Gye-Woong;Kim, Kon-Joong;Kim, Duk-Jung;Kim, Nam-Hyung;Lee, Jong-Wan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6권2호
    • /
    • pp.95-10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compare the pregnancy rate (P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ovaries and uterus, according to the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from cows and heifers and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artificial twin induction with Hanwoo in vitro fertilized (IVF) embryos by embryo transfer (ET). Looking at the PR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ovaries and uterus, the result was not influenced by the condition of the ovaries, bu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tate of the uterus. The PR according to the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from cows was 36.8%, 53.0%, 50.5% for 1, 2, and 3 embryos, respectively and although there was a higher frequency of twin calves with 3 embryos than 2, the calving rate was the highest with 2 embryos. In case of heifers, the transfer of 1 embryo showed the best pregnancy and calving rate, and although the PR was similar with 2 embryos (67.7 versus 66.4), in case of 2 embryos transferred there was high frequency of embryonic loss (6.1%) occurred when a cow was diagnosed at 28 and 53 d after ET, total loss (21.3%); sum of fetal death, abortion and stillbirth after pregnant diagnosis at 60 day.

유기질비료 시용과 두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와 호밀의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한우 사육능력 추정 (Evaluation of Carrying Capacity for Hanwoo Heifers When Fed Whole Crop Barley and Rye as Influenced by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 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124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월동 작물로 재배되는 청보리와 호밀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주는 효과를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조사료를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한우 사육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PK시비구, 화학비료 NPK 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벳치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시용에 청예완두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 (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 시비구 (각각 6.14와 3.97 ton/ha)가 가장 높았으나 (p<0.05), 유기질 비료구 (각각 5.24와 3.37 ton/ha), 액상우분뇨 (각각 5.53과 3.63 ton/ha) 및 콩과 혼파구 (각각 5.00~5.15와 3.32~3.33 ton/ha)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 청보리의 TDN과 RFV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청예완두 혼파구가 가장 높았다 (p<0.05). 청보리를 급여 시 한우 암소는 유기질비료, 액상우분뇨 혹은 액상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2.5~2.9두를 사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유기질비료, 액상우분뇨 혹은 액상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 혼파한 구가 ha 당 각각 6.69~7.13, 0.46~0.51 및 3.95~4.18 ton으로 나타남으로써, 호밀을 급여할 경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1~3.3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화본과 작물을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는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효과까지 고려하여 두과작물 등을 혼파 재배하고 가축분뇨를 시용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수량과 사료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한우사양 시에는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유기질비료 시용과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총체밀과 트리트케일의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 사육능력 추정 (Estimation of Productivity and Organic Hanwoo Carrying Capacity per Unit Area of Whole Crop Wheat and Triticale by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and Legumes-Mixed Sowing)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7-217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월동 사료작물로 재배되는 총체밀과 트리트케일에 가축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단,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양질의 조사료 확보 및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 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hairy vetch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 등 5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총체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처리구가 6.04~6.58톤/ha으로 무비구의 5.19톤/ha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수량은 forage pea(0.60톤/ha)와 hairy vetch 혼파구(0.56톤/ha)가 무비구(0.37톤/ha)와 유기질비료 시용구(0.43톤/ha) 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평균 조단백질과 TDN 함량 및 RFV는 콩과작물 혼파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밀을 유기 한우 암소 450kg에 70% 급여 시에는 액상우분뇨 50%시용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에서 연간 약 ha 당 각각 3.4~3.5두로 유기질비료구(평균 2.9두) 및 무비구(평균 2.9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 트리트케일의 2년 평균 연간 건물수량도 시험구는 6.24~6.40톤/ha의 범위로 무비구의 5.12톤/ha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단백질과 TDN 수량은 시험구(각각 0.48~0.56과 4.03~4.12톤/ha)가 무비구(0.38과 3.3톤/ha)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평균 조단백질 함량도 콩과작물 혼파구와 액상우분뇨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트리트케일로 유기한우 암소를 사육할 때에는 액상우분뇨 50%시용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에서 ha 당 연간 평균 3.3~3.4두를 사육할 수 있어 무처리구의 ha 당 평균 2.5두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총체밀 혹은 트리트케일의 건물생산성은 유기질 비료보다는 액상우분뇨가 훨씬 효과적이고 액상우분뇨 50%시용과 함께 콩과 작물인 hairy vetch 혹은 forage pea 등을 혼파로 재배하는 것이 단파의 경우보다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어 유기 한우 사육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반추위 섬유소분해 박테리아 배양액의 투여 수준에 따른 한우 반추위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creasing Inclusion Levels of Rumen Cellulolytic Bacteria Culture on In vivo Ruminal Fermentation Patterns in Hanwoo Heifers)

  • 박중국;정찬성;박도연;김현철;이승철;김창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45-52
    • /
    • 2009
  • 본 연구는 홀스타인 젖소의 반추위에서 순수분리 및 동정된 섬유소 분해균인 Ruminococcus flavefaciens (H-20) 및 Fibrobactor succinogenes (H-23)의 혼합 배양액(DFM)을 수준별로 반추동물에 적용하였을 때 반추위발효와 섬유소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대사시험은 반추위 fistula가 장착된 12개월령 한우 암소 4두를 이용하여 $4\times4$ Latin square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모든 처리구는 기초사료로, 농후사료 2 kg에 톨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의 혼합건초 3 kg을 1일 2 회로 나누어 균등 급여하였으며, DFM을 사용하지 않은 처리구(control), 기초사료를 포함하여 1% (50 ml/day, H20 + H23), 3% (150 ml/day, H20 + H23) 및 5% (250 ml/day, H20 + H23) 수준의 네 처리군으로 나누어, 사료 급여시 DFM을 반추위 cannula 안으로 직접 주입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 결과 급여 후 모든 시간에서, 처리구는 반추위액내 pH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반추위 암모니아 질소의 농도에서 DFM투여 후 1시간에 3% 처리구(19.47 mg/dl)는 5% 처리구(17.27 mg/dl)와 차이는 없었지만, 대조구 및 1% 처리구(14.5 및 14.9 mg/dl)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p<0.05). 섬유소분해효소활력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xylanase는 0시간에 5% 처리구($119.49\;{\mu}mol$/ml/min)가 3% 처리구($72.02\;{\mu}mol$/ml/min)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p<0.05). VFA 농도는 butyric acid에서 급여후 1시간에 대조구(15.71 mM)와 비교하여 3% 처리구(24.48 mM)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혐기성 섬유소분해 박테리아 배양액의 공급은 최소 3% 이상에서 반추위발효에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GA Feeding System에 의한 발정 동기화 방법이 한우의 발정 발현율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Estrus Induction Rates and Conception Rates by MGA Feeding System in Hanwoo)

  • 이명식;정영훈;박수봉;임석기;박정준;정진관;문승주;김창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7-182
    • /
    • 2006
  • 본 연구는 $MGA+PGF_{2{\alpha}}$ 투여에 의한 발정 동기화 방법이 한우의 혈청 $P_4$ 수준, 발정 발현율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첫째로, 한우 미경산우에서 $MGA+PGF_{2{\alpha}}$ 투여가 혈청 $P_4$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우 미경산우 10두 및 프리마틴 1두에 대하여 MGA를 1일 0.5 mg을 14일간 오전 배합 사료에 섞어 급여하였으며, 19일이 경과한 후에 $PGF_{2{\alpha}}$ 25 mg을 투여하였다. MGA feeding 후 혈청 $P_4$ 농도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MGA 급여 기간과 급여 종료 후 발정이 관찰될 때까지는 3일 간격, $PGF_{2{\alpha}}$ 투여 시, 발정 및 인공 수정 시, 인공 수정 후 15일째 및 2개월째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한우 미경산우의 혈청 $P_4$ 수준은 MGA급여 7일 이후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투여 9일차에는 5.4 ng/ml로써 이후 상승된 상태에서 유지되었다. $PGF_{2{\alpha}}$ 투여시점인 33일차에는 7.6 ng/ml 수준으로 피크를 나타냈고, 투여 2-3일이 경과하고 발정이 발현됨에 따라 1.4 ng/ml로 급강하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그러나 프리마틴의 경우에는 시험 기간 동안 P4수준의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둘째로, 한우 미경산우 및 경산우 194두를 이용하여 상기한 $MGA+PGF_{2{\alpha}}$ 투여 방법(n=104)과 대조군으로 $PGF_{2{\alpha}}$ 투여(11일 간격 2회 투여, n=90)에 따른 발정 발현율 및 수태율을 비교하였다. 발정 발현율은 대조군인 $PGF_{2{\alpha}}$ 투여군 72.2%에 비해 $MGA+PGF_{2{\alpha}}$ 투여군에서 91.3%로써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인공 수정 후 수태율은 $MGA+PGF_{2{\alpha}}$ 투여군이 $PGF_{2{\alpha}}$ 투여군에 비해 1회 수정 수태율(51.1 vs. 59.6%), 2회 수정 수태율(77.8 vs. 84.6%) 및 전체 수태율(88.9 vs. 94.2 %)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MGA+PGF_{2{\alpha}}$를 이용한 발정 동기화 방법은 $PGF_{2{\alpha}}$ 투여법에 비해 높은 발정 동기화율 및 수태율을 나타냄으로서 한우의 번식 능력 향상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우 미경산우 임신 단계가 채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gnancy Stage on Eating Behaviors of Hanwoo Heifers (Bos taurus coreanae))

  • 변병현;이재훈;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9
    • /
    • 2016
  • 본 연구는 한우 암소의 임신 단계에 따른 채식 및 반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공시한우는 미경산 육성우(C), 미경산 임신 3개월령(T1), 미경산 임신 6개월령(T2) 그리고 미경산 임신 9개월령(T3)을 각각 3두씩, 총 12두를 4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그리고 사료급여는 배합사료 체중의 1%, 조사료는 자유 채식시킨 후 육안으로 48시간 행동관찰을 실시하였다. 조사료 섭취량은 T3구(3.68 kg)에서 가장 높았던 반면, C구(1.02 kg)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총사료 섭취량은 T3 > T2 > T1 > C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체중 대비 건물 채식량 역시 T3 > T2 > T1 > C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채식시간, 반추시간 및 저작시간은 유의적으로 T3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휴식시간은 C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식괴수와 총 저작수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T3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식괴수 당 반추시간은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괴 당 저작수는 C > T1 > T3 > T2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분 당 식괴수는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음수 회수 및 배분 회수는 각각 C,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배뇨 회수는 임신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채식율과 저작 효율은 임신기간이 진전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게(p<0.05) 나타났다. 반추 효율은 T1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p<0.05).

경북지역에서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동계사료작물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inter Forage Crops in Gyeongbuk Regions)

  • 황보순;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51-465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보리, 호밀, 밀과 트리트레일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 조사료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유기가축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PK시비구, 화학비료 NPK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우분뇨 시용구, 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베치 혼파구 및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 시비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유기질 비료구, 우분뇨 및 콩과작물 혼파구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 청보리의 TDN은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청보리를 급여시 한우 암소는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2.8~3.1두를 사육할 수 있다. 호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화학비료 NPK구가 가장 높았으나, 우분뇨구와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TDN과 RFV는 유기질비료구가 화학비료 NPK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콩과를 혼파한 호밀을 급여할 경우 한우 암소는 연간 ha 당 사육두수는 평균 2.8~3.2두 규모의 가축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을 혼파한 구가 ha 당 각각 6.9~7.44, 0.53~0.60 및 4.35~5.04 톤으로 나타나, 밀을 급여할 경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1~3.7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트리트케일의 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구, 유기질비료구, 우분뇨구 및 콩과혼파구가 무비구와 화학비료 PK구 보다는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함량은 forage pea 혼파구가 가장 높았다(p<0.05). 트리트케일을 급여할 경우 유기한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4~3.7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화학비료와 동계사료작물을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까지 고려하여 액상우분뇨 50%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인 헤어리베치와 forage pea 등을 혼파 하는 것이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며 유기 가축사육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High-level dietary crude protein decreased backfat thickness and increased carcass yield score in finishing Hanwoo beef cattle (Bos taurus coreanae)

  • Jeon, Seoyoung;Lee, Mingyung;Seo, Jakyeom;Kim, Jeong-Hoon;Kam, Dong-Keun;Seo, Seongw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5호
    • /
    • pp.1064-1075
    • /
    • 2021
  • Recently, a high level of dietary crude protein (CP) has become of interest as a possible practice to improve the carcass quality of beef cattle, and its level has been increasing in the field. However, there is little scientific evidence that supports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whether a high dietary CP level would improve growth performance, body metabolism,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beef cattle. A total of 32 Hanwoo finishing beef cattle (18 multiparous cows, six heifers, and eight steers) participated in a 12-weeks feeding trial. Two kinds of total mixed rations were prepared to contain two different CP; 156 g/kg for the control (CON) and 173 g/kg of CP for the treatment (HCP), while maintaining a similar level of metabolizable energy. The experiment was ended when more than half of the steers reached the target body weight (730 kg). Blood wa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fter harvesting, the carcass trait was evaluated at the slaughterhouse according to Korean standards. The carcass yield score and grade were also calculated based on revised criteria. Overall, dry matter intake, average daily gain, blood metabolites concentration, and the carcass traits, except for backfat thickness and the yield score, did not differ between the treatments. The HCP had lower backfat thickness than those of C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arcass yield grade, but the yield score was higher in the HCP treatment. According to the newly revised carcass grading criteria, both yield score and grade were higher in HCP than in CON. Increasing CP supply decreased the carcass's backfat thickness without altering growth performance and body metabolism, resulting in improved yield score and grade. Therefore, feeding a high CP diet may be beneficial in the farm income, although it may also increase feed cost and nitrogen excretion to the environment.

The SNP of WBP1 is associated with heifer reproductive performance in the Korean native cattle Hanwoo

  • Jeong, Jiyeon;Lee, Seung-Hwan;Choi, Inchul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27-31
    • /
    • 2019
  • It is well documented that intensive selection in dairy cattle for economic value such as increased milk yield led to a decline in reproductive performance. Recent studies using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GWASs) discovered candidate genes involved in the lower fertility including embryo development and conception rates. However, the information, which showed a lower reproductive performance, is limited to dairy cattle, especially Holstein, and the candidate genes were not examined in the Korean native cattle Hanwoo which has been intensively selected and bred for meat in the last few decades. We selected the candidate genes WBP1 and PARM1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cow and/or heifer conception in dairy cattle and analyzed the genotype because those genes have non-synonymou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To determine the single base change, we used the high resolution melting (HRM) assay which is rapid and cost-effective for a small number of genes. We found that most heifers with higher conception (1: service per conception) have the AA genotype coding Threonine rather than Proline in the WBP1 gene. We did not detect an association for a SNP in PARM1 in our analysis. In conclusion, the genetic variation of WBP1 can be used as a selective marker gene to improve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HRM assay can be used to identify common SNP genotypes rapidly and cost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