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geul typograph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5초

한글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셔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 (Study of Shirt Design Utilizing Hangeul Typography)

  • 김미현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4호
    • /
    • pp.697-711
    • /
    • 2011
  • As the superiority of Hangeul becomes known globally, design products utilizing a Hangeul motif are gaining attention in international markets. Accordingly, the interest in Hangeul typography is also increasing. Visual and formative designers are actively developing typographies, as typographies have limitless development potential as a type of formative expression for communi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ill encompass the spirit, value and beauty of Hangeul in fashion design.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monstrate how to express the greatest amount of the beauty of the Korean language for the general public and how to utilize such expressions in various areas. The detailed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 functionality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ypography will be understood by exploring the concept of typography and reviewing the design cases utilizing typography. Second, cases that utilized Hangeul typography will be reviewed and their types and issues will be identified. Third, the design direction will be set based on above exploration. Finally, four design works utilizing Hangeul typography will be suggested as the study result. Accordingly, this study applied Hangeul typography on the shirt design and attempted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use of Hangeul in everyday living through design products.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공간 구조적 특성 (Space Structure Character of Hangeul Typography)

  • 김영국;박성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86-96
    • /
    • 2008
  • 문자 일반의 체계적 발전의 토대는 기능성과 구조적 측면에서의 조형적 가치에 대한 인식으로 판단된다. 모아쓰기의 원리는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핵심이라고 지칭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기능성과 조형성이 깊숙하게 자리잡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외부요인에 의한 조형적 변화는 물론 한글만의 특수한 자형결합의 원리로 인해 낱글자 내에서도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공간구조가 발생하고 단어, 글줄, 단락으로 추가 결합되면서 이에 상응하는 제2, 제3의 공간 구조적 특성이 만들어지고, 이는 곧 타이포그래피의 핵심기능인 가독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한글타이포그래피의 공간 구조적특성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될 수 있는데, 우선 형태심리학적 시지각 법칙과 연관지어 검토하고, 이에 따른 네모틀 활자와 탈네모틀 활자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같은 문장의 글을 네모틀 활자와 탈네모틀 활자에 적용시키고 실험을 통해 기능성 즉, 가독성과 판독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한글 타이포그래피에서 공간 구조적 특성이 기능에 매우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추출해 낼 수 있었으며 향후 디자인 관점에서 한글타이포그래피의 공간 구조적인 조형성은 커뮤니케이션의 기본개념인 소통과 유기적 관계를 형성함으로 조형적 원리에 입각한 한글 타이포그래피는 디자인뿐만 아닌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현대 한글 컴퓨터서체의 변화와 디지털폰트가 Caligraphy에 준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about Changes in Modern Korean Font and Effect of Digital Font to Caligraphy Design Thinking of Korea)

  • 이성수;최병묵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59-163
    • /
    • 2008
  • 최근의 우리나라 타이포그래피의 트랜드가 다양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 2005년 이후에 나타난 트랜드가 캘리그라피인데 일반적인 담론은 우연의 현상으로 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한글캘리그래피의 태동은 한글타이포그라피에 관심이 있어 지켜보는 관점에서는 전혀 그렇지가 않다. 그 이유는 한글의 기계화가 미국이나 일본보다 늦어서이다. 우리나라는 일본에 병합되고 6.25민족동란을 겪으면서 경제적 자립이 늦어지고 그에 맞는 문화적인 발전도 늦어졌다. 우리글인 한글이 자립한 시점도 1990년 초반으로 컴퓨터의 도입과 함께 한글의 원도를 스캔하여 기본적인 기틀을 구축함과 시기를 같이한다. 80년대 후반부터 한글에 자주화에 많은 노력이 있었으나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보다 한글은 하드웨어적인 부분의 어려움을 겪었다. 90년대 초반에는 주로 기본적인 글자생활을 하기위한 명조나 고딕체등 최정호의 서체를 컴퓨터라는 하드웨어에 끼워 맞추는 것이 전부였다면 그 이후 90년대 후반까지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획되어진 서체를 디자인적으로 양식화된 서체를 만들어 보급하는데 중점을 두었던 시대라 할 수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는 한국서체회사의 양대 메이저라고 할 수 있는 산돌글자은행과 윤디자인연구소가 새롭게 만들어 선보인 서체들이 산돌글자은행의 '옛멋글씨'(주로 한글개발이후 목판본)를 윤디자인연구소는 서예느낌이 나는 '필' 시리즈를 내놓음으로 손 글씨의 맛을 디자인 시장에 맛보였다. 이러한 반복된 과정은 지금의 캘리그래프로 나가는 자연스러운 원동력이 되었고 이 양대 메이저의 회사의 역할은 지금의 캘리그래피의 시대를 낳는 자연스러운 산파역할을 했다.

  • PDF

타이포그래피 기술을 접목시킨 자막 가독성 개선 연구 - 모바일 환경에서 Noto Sans Korean 폰트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Improving Readability of subtitles combined with typography in Hangeul - Focusing on Noto Sans Korean fonts in mobile environment)

  • 박재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47-48
    • /
    • 2021
  • 본 연구는 타이포그래피 기술을 접목한 동영상과 기본 자동 자막을 사용한 동영상의 한글 자막 가독성을 비교·분석하여 모바일 동영상 시청 시 한글 자막의 가독성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기본으로 설정되는 자동 자막을 사용한 동영상과 타이포그래피 기술을 적용·개선한 한글 폰트를 자막에 적용한 동영상을 비교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시각디자인 전공자(73명)과 비전공자(52명)간의 자막 가독성 설문조사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모바일을 통해 외국어 동영상 시청 시 자막 설정 기능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인과 현재 자막 설정 기능 중 불편하게 여기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설문의 자료는 Windows SPSS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막 설정 기능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인과 현재 자막 설정 기능의 불편 사항 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𝑥2 검정, t 검정,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 PDF

현풍(玄風) 곽씨(郭氏) 언간(諺簡)의 격조사(格助詞) 생략(省略)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Ellipsis of Case markers through the Hangul letters of Hyun-Poong Kwak's family)

  • 전병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33호
    • /
    • pp.413-435
    • /
    • 2008
  • 본고의 목적은 17세기 전반기(前半期)에 쓰인 '현풍(玄風) 곽씨(郭氏) 언간(諺簡)'을 대상으로 격조사(格助詞)의 생략 양상과 기능을 분석하는 데 있다. 판본 자료가 주로 불특정한 다수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반해 언간 자료는 특정한 개인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판본 자료보다 '생략'이 더 자주 나타난다. 그 가운데에서 '격조사'의 생략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생략에는 '간결성', '비격식성', '신속성', '문체적 효과' 따위의 기능이 있다. 위에 제시한 생략의 네 가지 기능을 중심으로 격조사 생략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격조사 가운데 주격조사와 대격조사의 생략이 가장 자주 일어난다. 문장의 운율효과를 높일 때나 연어와 관용어 표현에서 이러한 생략이 일어났다. 또한 한문을 직역한 번역체에서도 생략이 나타났다. 처격조사는 주격조사와 대격조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략이 덜 일어나는 편이다. 처격조사 가운데에서도 '-에/-의'가 '-에셔/-의셔/-셔'보다 생략이 더 잘 되었다. '-에/-의' 다음에 동작성이 약하거나 동작성이 없는 동사가 오고, '-에셔/-의셔/-셔' 다음에 동작성이 강한 동사가 오는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하나 단정할 수 없다. 여격조사는 주격, 대격, 처격에 비해 실현이 잘 되었다. 다만 존칭 체언이 '아바님'이나 '어마님'일 경우 존칭의 여격조사('-')가 결합되지 않고 평칭의 여격조사('-의게/-게')가 결합된다는 점이 특기(特記)할 만하다. 속격조사는 현대국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생략이 잘 되었으며 중세국어 언해문에서 보았던 주격적 속격이 꽤 남아 있었다. 구격조사 '-로'는 시간관련 어휘와 결합에서 [과거]의 '어제'에는 붙지 않고, [현재]의 ''과 [미래]의 ''에는 결합하는 경우가 많았고 간혹 생략되는 경우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