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le

검색결과 3,930건 처리시간 0.028초

Two-Phase Security Protec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Object

  • Suryani, Vera;Sulistyo, Selo;Widyawan, Widyawa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6호
    • /
    • pp.1431-1437
    • /
    • 2018
  • Securing objects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essential. Authentication model is one candidate to secure an object, but it is only limited to handle a specific type of attack such as Sybil attack. The authentication model cannot handle other types of attack such as trust-based attacks. This paper proposed two-phase security protection for objects in IoT. The proposed method combined authentication and statistical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handle other attacks in addition to Sybil attacks, such as bad-mouthing attack, good-mouthing attack, and ballot stuffing attack.

Robust Estimator of Location Parameter

  • Park, Dongryeo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1권1호
    • /
    • pp.153-160
    • /
    • 2004
  • In recent years, the size of data set which we usually handle is enormous, so a lot of outliers could be included in data set. Therefore the robust procedures that automatically handle outliers become very importance issue. We consider the robust estimation problem of location parameter in the univariate ca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defining robustness weights for the weighted mean based on the median distance of observations and compare its performance with several existing robust estimators by a simulation study. It turns out that the proposed method is very competitive.

무인 자동차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autnomous road vehicle)

  • 최진욱;한민홍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3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22 Oct. 1993
    • /
    • pp.88-93
    • /
    • 1993
  • This paper introduces an ARV(Autonomous Road Vehicle) system which can run on orads without help of a driver by detecting road boundaries through computer vision. This vehicle can also detect obstacles in front through sonar sensors and infrared sensors. This system largely consists of a handle steering module and a braking module. From road boundaries, the steering module determines handle turn angle. The braking module stops or decelerates to avoid collision depending on the relative speeds and distance to the obstacles detected by different sensors. This ARV system has been implemented in a small jeep and can run 30-40 km/h city traffic. In this paper, we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 ARV systems and its operation principle.

  • PDF

Parallelizing Imperfectly Nested Loops

  • Kim, Ki-Chang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on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40-150
    • /
    • 1996
  • Loops are some of the richest program constructs where parallelism is available. Exploiting fine-grain parallelizm out these construct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light of the growing popularity of superscalar and VLIW machines. This paper explains how the fine-grain parallelization techniques can be generalized to handle nested loops. Our technique integrates nested loop parallelization techniques at the fine-grain level, thus exposing more fine-grain parallelism, and is flexible enough to handle non-perfectly nested loops. Examples and some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our approach.

  • PDF

밸런스 핸들 장치를 이용한 상지 운동 기능의 근전도 신호 분석 (EMG Signal Analysis of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using Balance-handle Device)

  • 이충근;송기호;안재용;신성욱;정성택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95-303
    • /
    • 2016
  • 편마비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재활 치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훈련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거치대와 핸들, 밸런스 볼을 결합한 밸런스 핸들 장치를 개발하였다. 피험자 7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상지 훈련 장치를 기울일 때 주요 상지 근육에 대한 근전도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여 재활 훈련 장치로 사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밸런스 핸들 장치를 앞뒤로 기울였을 때의 상지 신전 굴곡 운동 동작과 좌우 기울임을 이용한 상지 운동 동작에서 근 수축과 이완이 기준이 되는 주동근과 길항근에서 근 활성화 신호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Fugl-Meyer Assessment(FMA)의 신전 굴곡 운동 평가 항목에서 편마비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평가에 이용되는 이두근, 삼두근, 삼각근에서 근 활성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장치를 활용하여 편마비 환자의 상지 재활 훈련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키토산-폴리우레탄 혼합용액(混合溶液)으로 처리(處理)된 면직물(綿織物)의 KES에 의한 태분석(態分析) (I) (A Study on the Handle of Cotton Fabric treated with Chitosan Polyurethane Mixed Solution by KES (I))

  • 윤세희;전동원;김종준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1호
    • /
    • pp.141-155
    • /
    • 2004
  • Chitosan, the natural biodegradable polymer derived from chitin by de- acetylation, has been widely applied to the textile finishing processes for excellent anti-microbial characteristic and handle improvement of fabr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handle when cotton fabric is treated with chitosan-polyurethane mixed solution. The viscosity values of chitosan solutions were 8cps and 50cps, and the wet-pick-up% was maintained at 90%. In case of mixing with water soluble polyurethane, the mixture ratio of chitosan and polyurethane was settled on the solid content ratio of 1:0, 1:0.5, 1:1, 1:2. Also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by neutralization in NaOH solution was studi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up as follows : 1. Extensibility(EM) and tensile energy(WT) of cotton fabric treated with chitosan are decreased, but bending rigidity(B) is remarkably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olyurethane, the decrease of EM and WT is weakened and the increase of B is weakened. The case of neutralization is similar to the case of polyurethane addition. 2. By treating fabric with chitosan, FUKURAMI(Fullness and softness) is decreased, but KOSHI(Stiffness), SHARI(Crispness), HARI(Anti-drape Stiff ness) ar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olyurethane, the decrease of FUKURAMI is diminished and the increase of KOSHI, SHARI, HARI are diminished. 3. As the viscosity of chitosan solution increased, the air permeability value increased. The addition of polyurethane decreased the air permeability.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에 동시 발생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 증례 보고 - (Simultaneous Bucket-handle Tears of both Medial and Lateral Meniscus - A Case Report -)

  • 윤정로;김택선;양재혁;강규복;김영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28
    • /
    • 2010
  • 대부분의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은 전방 십자인대와 동반하여 발생하며, 전방십자 인대의 급성 손상 시는 외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 흔한 반면 만성 전방 십자인대 손상 시는 내측에서 흔히 발생한다고 보고된다. 저자들은 전방십자 인대의 불안정성과 동반 된 내,외측 반월상 연골의 동시적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저자들은 전방십자 인대의 불안정성과 동반 된 내,외측 반월상 연골의 동시적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본 손상의 발생기전, 임상증상,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특이 소견 및 치료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판 양동이형 파열의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 - 수술 수기 - (Arthroscopic Technique of Partial Meniscectomy for Bucket Handle Tear of Medial Meniscus using Posteromedial Portal)

  • 안진환;이종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75
    • /
    • 2000
  • 목적 :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기존의 보편적인 치료법인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에 비해 보다 우수한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세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 슬관절의 관절경적 기본 검사 후 파열된 반월상 연골의 정복을 시행한 수, 관절경을 후내측 구획에 위치시킨 후, 관절경적 시야 하에서 후내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관절경을 삽입하여 이 구역을 재관찰하며,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다. 결론 :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기존의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은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각 부착 부위에 대한 시야확보가 부족하여 정확한 부분 절제술이 될 수 없고, 후각부에 동반된 다른 유형의 파열이나 내측 대퇴 내과 후면의 관절 손상 등을 관찰할 수 없고, 술 중 후방 십자인대에 손상을 줄 수가 있으며, 내측 대퇴골과의 체중부하 부위에 인위적인 관절 연골 손상을 줄 수가 있다.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은 우수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