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wrist radiograph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Evaluation of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and skeletal matura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and hand-wrist in girls with central precocious puberty

  • Kang, Sung-Tae;Choi, Sung-Hwan;Kim, Kyung-Ho;Hwang, Chung-J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81-187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and skeletal maturation in girls with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via lateral and hand-wrist radiographs. We also aimed to identify the indicators that are most effective for determining skeletal maturity in these patients. Methods: The study included 70 Korean girls (mean age, 8.5 ± 0.5 years) diagnosed with CPP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48 normal healthy age-matched girl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and had no history of hormone treatment or growth problems. Skeletal maturation was evaluated using lateral cephalometric and hand-wrist radiographs using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icators (CVMI) and skeletal maturity indicators (SMI). Results: The mean mandibular plane angle was smaller in the CPP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35.8° ± 4.9° vs. 39.0° ± 6.5°), resulting in greater posterior facial height (p = 0.003). SMI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CPP group (3.5 ± 1.4 vs. 2.0 ± 1.0)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01)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PP (r = 0.492; p = 0.001), whereas CVMI was not. Conclusion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CPP group exhibited a smaller mandibular plane angle, greater posterior facial height, and greater skeletal maturation. SMI may be more suitable than CVMI for determining skeletal maturation in CPP. Hand-wrist radiography is recommended in addition to lateral cephalogram for predicting growth in girls with CPP.

성장기 아동의 수완부 골 성숙도를 이용한 정중구개봉합 성숙도 평가 (Assessment of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by Skeletal Maturity on Hand Wrist Radiographs)

  • 유다열;김동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1-41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7세부터 15세 사이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중구개봉합의 성숙도와 SMI 및 MP3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수완부 골 성숙도와 중지의 중절골 성숙도가 정중구개봉합 성숙 단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번 연구 대상은 무작위로 선택된 7세부터 15세 사이 남자 132명과 여자 135명으로 교정 치료 전 교정 진단을 위해 촬영 되었던 CBCT 수평면 영상 이용하여 정중구개봉합의 성숙도를 5단계로 평가하였고 수완부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 성숙도를 평가하였다. 정중구개봉합 성숙도와 SMI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는0.905, MP3 방법으로 평가된 골 성숙도는 0.830으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중구개봉합 성숙도와 연령의 상관관계는 0.868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번 후향적 연구를 통해 골 성숙도 평가를 위한 SMI와 MP3 방법은 정중구개봉합 성숙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이 증명 되었으며 SMI 방법이 MP3 방법보다 더 나은 신뢰성을 보였다. 따라서 정중구개봉합 성숙도 평가가 필요한 모든 소아환자들을 대상으로 CBCT촬영하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으며 CBCT와 대체 가능한 SMI 와 MP3 방법은 최소의 방사선 피폭으로 간단하게 성장기 아동의 악정형 장치의 최적의 치료 시기 결정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손 방사선검사에서 조사야 크기와 보조관심영역 변화가 노출지수 값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nges in Collimation Size and the sub ROI on Exposure Index of Hand Radiography)

  • 주영철;홍동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51-857
    • /
    • 2023
  • 본 연구는 손 방사선검사에서 조사야 크기와 sub ROI의 변화가 EI값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한국인의 평균 손 크기에 적합한 조사야 크기 및 EI값 제시하고, sub ROI 변화가 EI 값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hand wrist phantom을 대상으로 했으며, 조사조건은 55 kVp, 125 mA, 6.25 mAs로 설정하였고, 초점-영상수용체 간 거리는 110 cm로 적용하였다. 제조사에서 권고하는 sub ROI('ss' 타입)을 기준으로 조사야 크기 4종류(18.7"×18.7", 8"×10", 8"×7.4", 6"×7.4")와 교과서에서 권고하는 조사야 크기 8"×10"에서 sub ROI 5가지를 변화 시키며, 각각 30개의 영상을 획득하였고, 이때 장비에서 나타나는 EI를 비교분석하였다. 조사야 크기 변화에 따른 EI값은 18.7"×18.7"의 경우 1663.7±4.52, 8"×10"은 1489.1±4.49, 8"×7.4"은 1716.9±3.00, 6"×7.4"은 1681.7±3.66로 나타났으며, 각 값의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sub ROI 변화에 따른 EI값의 평균은 SS의 경우 1489.1±4.49이었으며, LS는 1694.8±5.19, AEC는 2052.9±5.96, VR은 1548.3±3.20, HR은 1663.2±4.33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손 크기를 고려한 적절한 조사야 크기는 8"×7.4"로 나타났다. 또한 손 방사선검사 시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사야 크기(8"×10")를 기준으로 조사야 크기가 증가하면 EI값은 최대 15%에서 최소 11%까지 변화되었으며, sub ROI 'SS'를 기준으로 sub ROI 형태 변화에 따른 EI값은 최대 37%에서 최소 3%까지 증가하였다.

골다공증 검사 시 검사부위에 따른 결과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esult of Test Site on BMD)

  • 홍동희;한상현;정홍량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1호
    • /
    • pp.19-24
    • /
    • 2013
  • 요골 말단 부위의 측정은 한국 사람들이 주로 오른손을 자주 사용한다는 근거로 왼쪽 요골 말단 부위를 주로 측정하는데 이로 인한 잘못된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정부위 오차가 가지는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잘못된 측정 오차를 줄이고자 한다. 2012년 3월부터 일정기간 정형외과를 방문한 성인 50대 이상 남녀 환자를 대상으로 전완부의 단순촬영 자세와 같이 중립위를 기준으로 왼쪽 원위요골말단부위를 포함한 오른쪽 원위요골말단부위도 함께 측정하여 양쪽 T-score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왼쪽 손목 수치가 더 낮은 그룹은 전체 75명 중 45명으로 약 60%를 차지하였고 반면 오른쪽 손목 수치가 더 낮은 그룹은 전체 75명 중 30명으로 약 40%를 차지하였다.

Evaluation of the clinical efficacy of a TW3-based fully automated bone age assessment system using deep neural networks

  • Shin, Nan-Young;Lee, Byoung-Dai;Kang, Ju-Hee;Kim, Hye-Rin;Oh, Dong Hyo;Lee, Byung Il;Kim, Sung Hyun;Lee, Mu Sook;Heo, Min-Suk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0권3호
    • /
    • pp.237-243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a Tanner-Whitehouse 3 (TW3)-based fully automated bone age assessment system on hand-wrist radiographs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aterials and Methods: Hand-wrist radiographs of 80 subjects (40 boys and 40 girls, 7-15 years of age) were collected. The clinical effica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bone ages that were determined using the system with those from the reference standard produced by 2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ists. Comparisons were conducted using the paired t-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bone ages estimated with this bone age assessment syste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btained with the reference standard (P>0.05) and satisfied the equivalence criterion of 0.6 years with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0.07 to 0.22), demonstrating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system. Similarly, in the comparisons of gender sub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age between the values produced by the system and the reference standard was observed (P>0.05 for both boys and girls).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 obtained via regression analysis were 0.962, 0.945, and 0.952 for boys, girls, and overall, respectively (P=0.000); hence, the radiologist-determined bone ages and the system-determined bone ages were strongly correlated. Conclusion: This TW3-based system can be effectively used for bone age assessment based on hand-wrist radiographs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일반 방사선검사의 소요 시간 실태조사 (Investig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General Radiography)

  • 임우택;주영철;김연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3호
    • /
    • pp.255-262
    • /
    • 2022
  •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examination time for each procedure, the appropriate workload of radiologic technologist is analyzed based on the actual examination time in the current clinical setting by comparing with the examination time in the radiology field setting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n addition, this result is introduced into the calculation of relate value units; it was attempted to provide accurate and objective evidence in the field of radiology. From May 2020 to December 2021, the study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examination times recorded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t 5 tertiary general hospitals and 1 general hospital. The total of 16 examination parts are applied in this study, including the head, sinuses, chest, ribs, abdomen, pelvis, cervical, thoracic, lumbar, shoulder, elbow, wrist, hip, femur, knee, and ankle. The minimum number of images that could be obtained per radiation generator was 3.6 images for one hour, and the maximum was 6.4 images. When 50% median of procedure time is calculated, the minimum number of images that could be obtained was 16.7 images and maximum was 35.3 images; in addition, minimum examination time is 1.7 minutes, and maximum time is 3.6 minutes. In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there will be insufficient explanation time for basic infection instructions such as hand hygiene during the examinations in current clinical practice. It is believed that radiologic technologists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higher-quality of radiation examination services to the public by complying with guidelines for work and setting appropriate workload on their own.

The Effects of Computer Game Exposure on Musculoskeletal Pathological Symptoms in Adolescents

  • Chae, Woen-Sik;Jung, Jae-Hu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5-60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mputer game exposure on pathological musculoskeletal symptoms in adolescents. Method: This study included 10 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used computers less than 3 times a week for 1 hr per day. The subjects were asked to play computer games for 4 hr.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hand and wrist, from the distal radius and ulnar head to the distal phalanges, and radiography of the cervical vertebrae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playing computer games. For each dependent variable,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significant changes before and after a 4-hr active computer game (p<.05). Results: The horizontal diameters of the flexor tendons in the index and middle finge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playing computer games. The horizontal diameters of the flexor tendons of other finge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re was a tendency toward a decrease after playing computer game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ervical lordosis angle before and after playing computer games. However, the cervical lordosis angle was relatively decreas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mputer game exposure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morphological changes of flexor tendons. In addition, playing computer games for long periods of time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normal functioning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with the possible development of abnormalities. However, computer game exposure in adolescents cannot be decisively identified as a factor causing pathological sympto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one. Thus, longterm longitudinal studies on the overall musculoskeletal system are necessary.

페닐케톤뇨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indings of Phenylketonuria Patients in Korea)

  • 신익순;이동환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4-22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본원으로 전원되어 전형적 PKU로 확진된 환아들의 임상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83년 1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서울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하여 고페닐알라닌혈증으로 진단된 환아 178명 중 전형적 PKU로 진단된 환아 161명을 대상으로 MRI 영상소견, 골연령, 치의학적 상태, 뇌파검사, 지능평가, 유전자 분석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결과: BH4비반응형 전형적 PKU는 134명, BH4반응형 전형적 PKU는 22명, 양성고페닐알라닌혈증은 5명으로 전형적 PKU는 161명이었다. PTPS 결손증 14명, DHPR 결손증 2명, GTPCH 결손증 1명으로 BH4 결손증은 17명이었다. 111명의 전형적 PKU환아에서 시행한 유전자 분석에서 R243Q (10.3%), Y204C (9.9%), IVS4-1G>A (8.1%) 변이가 흔히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총 29가지의 유전자형이 밝혀졌다. MRI 검사는 총 22명이 시행했으며 정상 5명(25%), T2 강조 영상에서 두정엽의 특히 뇌실 주변부 백질의 고 신호강도를 보인 경우가 15명(75%)로 나타났다. 11명에서 척추 골밀도 검사를 시행했으며 4례(36%)에서 1표준 편차이상 골밀도가 감소한 골다공증의 소견을 보였고, 4례(36%)에서 1년 이상 골연령이 지연되었다. 47.8%에서 비정상 뇌파소견을 보였다. 18명이 지능평가를 시행했으며 평균 지능지수(IQ)는 $84{\pm}21.6$점이였고, 이중 15세 이상의 경우 9명으로 평균 지능지수는 $72{\pm}21.2$점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원으로 전원되어 전형적 PKU로 진단된 환아 중 15세 이상의 경우 평균보다 낮은 지능지수와 아스퍼거 증후군, 정신지체 뿐만 아니라 공격적 성향의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영유아기에 비해 사춘기 때 저페닐알라닌 식이를 잘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향후 지속적인 저페닐알라닌 식사요법의 유지교육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