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held

검색결과 453건 처리시간 0.036초

이동용 치과 X선 발생장치의 누설 및 산란 선량에 관한 연구 (Leakage and scattered radiation from hand-held dental x-ray unit)

  • 김은경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7권2호
    • /
    • pp.65-68
    • /
    • 2007
  • Purpose: To compare the leakage and scattered radiation from hand-held dental X-ray unit with radiation from fixed dental X-ray unit. Materials and Methods: For evaluation we used one hand-held dental X-ray unit and Oramatic 558 (Trophy Radiologie, France), a fixed dental X-ray unit. Doses were measured with Unfors Multi-O-Meter 512L at the right and left hand levels of X-ray tube head part for the scattered and leakage radiation when human skull DXTTR III was exposed to both dental X-ray units. And for the leakage radiation only, doses were measured at the immediately right, left, superior and posterior side of the tube head part when air was exposed. Exposure parameters of handheld dental X-ray unit were 70 kVp, 3 mA, 0.1 second, and of fixed X-ray unit 70 kVp, 8 mA, 0.45 second. Results: The mean dose at the hand level when human skull DXTTR III was exposed with portable X-ray unit $6.39{\mu}Gy$, and the mean dose with fixed X-ray unit $3.03{\mu}Gy$ (p<0.001). The mean dose at the immediate side of the tube head part when air was exposed with portable X-ray unit was $2.97{\mu}Gy$ and with fixed X-ray unit the mean dose was $0.68{\mu}Gy$ (p<0.01). Conclusions: The leakage and scattered radiation from hand-held dental radiography was greater than from fixed dental radiography.

  • PDF

휴대용 XRF 장치의 검출감도 향상에 관한 연구 (Study for Enhancement of the Detection Sensitivity in Hand-Held X-Ray Fluorescence Device)

  • 김성수;이연승;김도윤;고동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09-415
    • /
    • 2011
  • 현재 개발 중인 휴대용 XRF (X-Ray Fluorescence) 장치의 검출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였다. 대기 기체분자에 의한 강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료와 검출기 사이에 Vacuum module을 설치하였다. Vacuum module은 대기기체 또는 He 기체를 채울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그리고 Vacuum module 내부에 He 기체를 채운 상태, 또는 진공상태에서 검출감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 3가지 중요한 결과를 얻었다. 첫 번째는, 낮은 에너지 영역(3~4 keV)에서의 XRF 강도가 2~4배 정도 증가하였다. 검출감도의 향상은 검출시간의 단축을 의미하기 때문에, 휴대용 XRF 장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결과이다. 두 번째는, x-ray emission line의 에너지가 3 keV 이하인 원소의 검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는, He 기체를 채운 vacuum module을 사용하면, 휴대용 XRF 장치에 진공밀폐용기를 쓰지 않으면서도 대기기체분자에 의한 흡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 가지 모두 휴대용 XRF 장치의 개발에 있어서 매우 의미있는 결과로 판단된다.

Impact of Hand-Held Technology for Understanding Linear Equations and Graphs

  • Kwon, Oh-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81-96
    • /
    • 2002
  • This article describes a research project that examined the impact of hand-held technology on students' understanding linear equations and graphs in multiple representa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in the graphing-approach classes were significantly better at the components of interpret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aphing-approach and traditional classes were found fur translation, modeling, and algebraic skills. Further, students in the graphing-approach class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technology, were less anxious about mathematics, and rated their class as more interesting and valuable.

  • PDF

여행자 상황 정보 기반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핸드헬드 디바이스 투어 가이드 시스템 (A Mobile Tour Guide System using Wearable See-through Device and Hand-held Device based on Shared Touring Context)

  • 김도연;서대일;유병현;고희동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9-38
    • /
    • 2016
  • 모바일 투어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은 여행 정보를 제공하여 여행자가 여행 중에 주변의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 을 검색하고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최근 모바일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면서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여행 정보 검색에 활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모바일 투어 가이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바이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여행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이들 투어 가이드 어플리케이션들은 여행 상황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여행자는 각각의 디바이스에 여행자의 검색 의도를 별도로 입력해야 하고, 동기화된 여행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여행 정보를 제공하고 여행 상황을 공유하는 모바일 투어 가이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여행자에게 여행 정보를 제공하고, 각각의 디바이스가 가진 단점을 상호 보완하면서 여행자를 안내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각각의 디바이스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여행 상황을 공유하여 여행자의 입력을 최소화하고, 여행 상황에 맞는 여행 정보를 제공한다.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a Hand-Held CZT Detector for In-Situ Measurements at the Emergency Response

  • Ji, Young-Yong;Chung, Kun Ho;Kim, Chang-Jong;Yoon, Jin;Lee, Wanno;Choi, Geun-Sik;Kang, Mun Ja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2호
    • /
    • pp.87-91
    • /
    • 2016
  • Background: A hand-held detector for an emergency response was developed for nuclide identification and to estimate the information of the ambient dose rate in the scene of an accident as well as the radioactivity of the contaminants. Materials and Methods: To achieve this, the most suitable sensor was first selected as a cadmium zinc telluride (CZT) semiconductor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from a sensor and the signal discrimination and storage unit were successfully manufactur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Results and Discussion: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ignal processing unit was then evaluated to have an energy resolution of about 14 keV at 662 keV. The system control unit was also designed to operate the CZT detector, monitor the detector, battery, and interface status, and check and transmit the measured results of the ambient dose rate and radioactivity. In addition, a collimator, which can control the inner radius, and the airborne dust sampler, which consists of an air filter and charcoal filter, were developed and mounted to the developed CZT detector for the quick and efficient response of a nuclear accident. Conclusion: The hand-held CZT detector was developed to make the in-situ gamma-ray spectrometry and its performance was checked to have a good energy resolution. In addition, the collimator and the airborne dust sampler were developed and mounted to the developed CZT detector for a quick and efficient response to a nuclear accident.

공장 전기 설치를 위한 휴대용 전력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Hand-Held Powe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Factory Electrical Installation)

  • 최상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3-1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계측기기를 이용한 공장 수용가 전력품질 분석시스템을 제시한다. 기존의 전력품질 분석시스템은 주로 대규모 공장 수용가에서 상시 연결 되어, 공장 전력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취득, 저장한 후 분석까지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문제점은 데이터 취득을 위해 설치된 미터에서 수집된 Raw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장 수용가의 전체적인 전력 품질을 감시 할 수는 있으나, 비선형 부하의 조합으로 인한 전력품질 저하 발생 시에는 그러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장의 전력품질 저하가 발생되는 경우 의심되는 여러 부하의 전압, 전류를 직접 측정하여 그 원인이 되는 지점을 쉽게 찾아내고 그에 상응하는 조치가 가능하도록, 휴대용 계측기기 기반 공장 수용가 전력품질 분석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공장 전력 부하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전기적 임피던스 방법을 통한 hand-held 타입의 심박출량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Hand-held Typed Monitoring System for Cardiac Output Measurement using Electrical Impedance Technique)

  • 서광석;심명헌;김민용;윤찬솔;정주홍;박성빈;윤형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12호
    • /
    • pp.1932-1938
    • /
    • 2012
  • The impedance cardiogram has been proposed as a non-invasive, continuous, operator independent, and cost-effective method for cardiac output monitoring. However, it can not be completely considered as non-restrictive method because of attached spot and band type electrodes. Therefore, we developed a improved convenient hand-held typed measurement system for cardiac output by electrical impedance technique. 80 subjects from Yonsei University and the surrounding areas, participated. All subjects measured stroke volume and cardiac output through Physioflow and developed system. To verify the developed system,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orrelation,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the Bland-Altman analysis were used. The proposed system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in both male and female stroke volume(r=0.715, r=0.704) and cardiac output(r=0.826; r=0.804).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stroke volume and cardiac output could be improved convenient measurement using the both hands without the help of a specialist.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의 지역개체군 간 반향정위 (Echolocation)의 차이 (Echolocation Call Differences among Local Populations of Greater Horseshoe Bats (Rhinolophus ferrumequinum))

  • 장둘리;김선숙;유정칠
    • 생태와환경
    • /
    • 제49권4호
    • /
    • pp.385-392
    • /
    • 2016
  • 지리적 격리는 생태학적 특징의 차이를 유발한다. 지리적인 격리는 박쥐 종 내의 소리 차이의 원인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관박쥐의 반향정위가 지리적 차이에 의해 차이가 있는지를 알기 위해 우리나라 섬(제주도)과 내륙에서 수행되었다 우리는 내륙과 섬(제주도)에서 관박쥐가 활동기간에 휴식처로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폐광과 동굴을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관박쥐의 Hand-held call과 Free-flying call을 녹음하였다. 녹음된 펄스(pulse)는 관박쥐의 Hand-held call과 Free-flying call을 녹음하였다. 분석 결과, 내륙에서 서식하는 관박쥐의 PF는 평균 69 kHz로 섬(제주도)에 서식하는 관박쥐의 PF (71 kHz)와 차이가 났다. 판별 분석 결과에서도 내륙과 섬의 반향정위는 차이를 보였다. 우리나라 관박쥐 개체군의 PF는 유럽(82 kHz)보다는 낮고, 일본(65 kHz)보다는 높았다.

볼 기반의 모바일 햅틱 인터페이스 디자인 (Design of Ball-based Mobile Haptic Interface)

  • 최민우;김정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22-128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촉각적 사용자 체험 (User Experience)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된 새로운 방식의 핸드헬드 볼 기반의 햅틱 인터페이스 "TouchBall" 을 소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작은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 폰, PDA, PMP 등)에 적당하도록 볼 기반의 기계적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작은 회전력으로도 높은 감도의 다양한 촉감을 손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프로토타입 버전을 구현하였고, 정신물리학적 실험을 통해 사람의 감각 인식의 가장 기본적인 척도가 되는 감지 역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구현 가능한 다양한 촉각 패턴들의 인식강도를 절대적 강도추정 방법으로 측정하여 정확도와 인식강도를 알아보고 그 응용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 PDF

모바일 휴대용 단말기의 지속적 이용에 있어서 기기애착 개념의 역할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device attachment in post-adoption of mobile hand-held devices)

  • 권순재;채성욱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8권3호
    • /
    • pp.27-46
    • /
    • 2009
  • Korean society frenzy about ubiquitous computing is in a rapid change into so called 'Nomadic' information environment. In many previous studies, a number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actors were empirically found to affect users' continuance to use mobile hand-held devices. However, the role of device attachment, a new intrinsic motivation factor with which users are known to care about their own mobile devices personally, in determining users' post-adoption behavior was not explored yet to the full scale. To fill the research void like this, this study proposes a new research model in which device attachment as well as perceived value are positively linked to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to use. The statistical results obtained by applying PLS to the valid 137 questionnaires showed that the device attachment has stronger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to use than the perceived value. Therefore, a practical implication is suggested thai the mobile devices need 10 be designed in a way of arousing users' device attachment more strong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