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 exposure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3초

과수 농작업자 농약노출량 산정법 제안 (The proposal for pesticide exposure estimation of Korean orchard farmer)

  • 홍순성;이제봉;박연기;신진섭;임건재;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81-288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원에서 농작업자 농약노출량의 산정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농작업자의 농약 노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벤치마킹 모델로써 UK-POEM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모델은 영국에서 자국의 농작업자에 대한 농약 노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모델이므로 우리나라 농작업자의 농약노출량 산정에 직접이용 하기에는 1일 농약살포 기기 및 면적, 살포시간, 살포물량 등에서 많은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과수농업의 현실을 반영하기 위하여 UK-POEM의 구동방법을 분석하곤 우리나라 과원의 농약 살포기기, 1일 농약살포 시간, 1일 농약살포 면적, ha당 농약살포 물량 등을 204농가 4351 농약사용 건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과원에 농약 살포를 위하여 사용되는 살포기기를 분석한 결과 SS기(speed sprayer)가 64.9%이었고, 동력분무기(Motor sprayer)가 33.9%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1일 농약살포시간을 조사한 결과 SS기, 동력살포기 모두 4시간 이상 작업하는 농가가 가장 많았고, 1일 농약 살포 면적은 SS기의 사용 시 4 ha를 작업하는 농가가 95%이었으며, 동력분무기를 이용하는 농가는 하루 1 ha를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UK-POEM을 근간으로 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노출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SS기의 경우 약제의 살포방법 면에서 유사한 UK-POEM의 "Tractor-mounted/trailed broadcast air-assist sprayer: 500 L/ha"에 1일 작업면적 4 ha, 1일 농약살포 시간 6시간, 피부흡수율 10%를 대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동력분무기의 경우 UK-POEM의 "hand-held rotary atomizer equipment(2.5 L tank). Outdoor, high level target" 시나리오의 내용을 조금 변형한 400 L tank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살포액의 조제시 노출량을 계산할 것과 1일 작업면적 1 ha, 1일 농약살포 시간 6시간, 피부흡수율 10%를 대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Adverse Reproductive Effects on Plasma Vitellogenin and Sex Steroid Levels, and Gonadosomatic Index in Juvenile Common Carps (Cyprinus carpio) Exposed to 17$\beta$-Estradiol and D-2-Ethylhexyl Phthalate

  • Seo, Jinwon;Park, Kyung-Seo;Moon, Woon-Gi;Lee, Sung-Kyu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141-144
    • /
    • 2002
  • Environmental estrogens are natural or synthetic substances present in the aquatic environment, especially in effluent from sewage treatment. However, the adverse effects of these estrogenic substances on fish reproduction are unknown.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is the most common phthalate, which Ps used as a plasticizer in polyvinylchloride (PVC), and it is widespread in the environment and has been found in aquatic organisms and sediments. Therefore, juvenile common carps (Cyprinus carpio) were exposed to nominal concentrations of 17$\beta$-estradiol (E2) (0.5, 5, 50 $\mu\textrm{g}$/L) and DEHP (10, 100, 500 $\mu\textrm{g}$/L) for 21 days, to determine the adverse reproductive effects of these compounds on plasma vitellogenin (VTG) induction, sex steroid level, and gonad weight. Electrophoresis (SDS-PAGE) revealed that much of VTG was induced in fish exposed to 5 and 50 E$_2$ $\mu\textrm{g}$/L, but none of DEHP exposure showed inductio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vealed that VTG was significantly induced in fish exposed to 5 and 50 E$_2$ $\mu\textrm{g}$/L, and combination of 50 E$_2$ $\mu\textrm{g}$/L with 10 and 500 DEHP $\mu\textrm{g}$/L, but none of DEHP exposure showed induction. Analysis of sex steroid levels in some fish revealed that testosterone (T) was detected in both male and female fish of the control and DEHP exposures, but none of fish exposed to 22 concentrations had detectable testosterone level. On the other hand, E$_2$ exposure induced 17$\beta$-estradiol in plasma of male fish, but there was no induction of 17$\beta$-estradiol in plasma of male fish exposed to DEHP. Comparison of gonadosomatic index (GSI) revealed that maximal E$_2$ exposure inhibited ovarian growth, but maximal DEHP exposure stimulated testicular growt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ose comparisons can be a useful bio-indicator for determining adverse reproductive effect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 PDF

Temperature and microbial changes of corn silage during aerobic exposure

  • Lee, Seong Shin;Lee, Hyuk Jun;Paradhipta, Dimas Hand Vidya;Joo, Young Ho;Kim, Sang Bum;Kim, Dong Hyeon;Kim, Sam Chur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7호
    • /
    • pp.988-995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temperature and microbial changes of corn silages during aerobic exposure. Methods: Kwangpyeongok (KW) and Pioneer 1543 (PI) corn hybrids were harvested at 29.7% of dry matter and chopped to 3 to 5 cm lengths. Homo (Lactobacillus plantarum; LP) or hetero (Lactobacillus buchneri; LB) fermentative inoculants at $1.2{\times}10^5$ colony forming unit/g of fresh forage was applied to the chopped corn forage which was then ensiled in quadruplicate with a $2{\times}2$ (hybrid${\times}$inoculant) treatment arrangement for 100 days. After the silo was opened, silage was sub-sampled for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in vitro digestibility, and fermentation indices. The fresh silage was continued to determine aerobic exposure qualities by recorded temperature and microbial changes. Results: The KW silages had higher (p<0.01) in vitro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than those of PI silages. Silages applied with LB had higher (p<0.001) acetate concentration, but lower (p<0.01) lactate concentration and lactate to acetate ratio than those of LP silages. The interaction effect among hybrid and inoculant was detected in acetate production (p = 0.008), aerobic stability (p = 0.006),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 (p = 0.048). The yeast was lower (p = 0.018) in LB silages than that in LP silages. During the aerobic exposure, PI silages showed higher (p<0.05) temperature and mold than KW silages, while LP silages had higher (p<0.05)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than LB silag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nges of silage temperature during aerobic exposure seems mainly affected by mold growth, while applied LB only enhanced aerobic stability of PI silages.

X선 촬영실 내 공간선량의 분포와 거리 역자승 법칙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Space doses in X-ray Rooms and the "Inverse Square Law of Distance")

  • 최성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01-307
    • /
    • 2013
  • 본 연구는 손, 머리, 복부 등의 X선 촬영 시에 발생되는 공간선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고, 산란선에 의한 공간선량의 강도가 "거리 역자승 법칙"에 의해 감쇠하는지를 파악했다. 첫째, 손처럼 X선 산란선 발생량이 적은 촬영의 공간선량은 대부분 "거리 역자승 법칙"에 근접한 감쇠가 이루어지면서, 2m 거리에서는 전혀 측정되지 않았다. 둘째, 머리나 복부처럼 X선 산란선 발생량이 많은 촬영의 공간선량은 조사야 중심을 기준으로 30cm에서 1m 거리까지는 "거리 역자승 법칙"보다 더 높은 비율의 감쇠가 이루어지고, 1m에서 2m 거리까지는 "거리 역자승 법칙"에 의한 감쇠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X선 촬영실 내에서는 손 촬영의 경우 조사야 중심으로부터 적어도 2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고, 머리나 복부 촬영의 경우 촬영실 내 모든 공간에서 보호용구를 이용한 X선 피폭 방어조치가 요구된다.

Two-Step Incision for Periarterial Sympathectomy of the Hand

  • Jeon, Seung Bae;Ahn, Hee Chang;Ahn, Yong Su;Choi, Matthew Seung Su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61-768
    • /
    • 2015
  • Background Surgical scars on the palmar surface of the hand may lead to functional and also aesthetic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 new incision technique for periarterial sympathectomy of the hand and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new two-step incision technique with those of a Koman incision by using an objective questionnaire. Methods A total of 40 patients (17 men and 23 women) with intractable Raynaud's disease or syndrome underwent surgery in our hospital, conducted by a single surgeon, between January 2008 and January 2013. Patients who had undergone extended sympathectomy or vessel graft were excluded. Clinical evaluation of postoperative scars was performed in both groups one year after surgery using the patient and observer scar assessment scale (POSAS) and the Wake Forest University rating scale. Results The total patient score was 8.59 (range, 6-15) in the two-step incision group and 9.62 (range, 7-18) in the Koman incision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in the total PS score (P-value=0.034) but not in the total observer score. Our analysi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Wake Forest University rating scale scores between the two-step and Koman incision groups. The time required for recovery prior to returning to work after surgery was shorter in the two-step incision group, with a mean of 29.48 days in the two-step incision group and 34.15 days in the Koman incision group (P=0.03). Conclusions Compared to the Koman incision, the new two-step incision technique provides better aesthetic results, similar symptom improvement, and a reduction in the recovery time required before returning to work. Furthermore, this incision allows the surgeon to access a wide surgical field and a sufficient exposure of anatomical structures.

Hand Hygiene Compliance among Visitors at a Long-term Care Hospital in Korea: A Covert Observation Study

  • Jung, Min Young;Kang, JaHyun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9-10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hand hygiene (HH) compliance among visitors at a long-term care hospital in South Korea.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t a 502-bed long-term care hospital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From July 1 to August 15, 2017, including more than 6 weekends and one holiday, a trained observer covertly assessed visitors' HH at all five units (360 beds in total) of the study hospital building until the completion of 1,000 HH opportunities (i.e., 200 opportunities per unit). The modified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H observation form was used. Instead of professional categories and the "before clean/aseptic procedure" moment, the estimated age range for each visitor were recorded in four categories: children (<14 years old), adolescents (14~18), adults (19~64), and the elderly (${\geq}6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Results: A total of 1,000 HH opportunities were observed from 766 visitors (an average of 1.31 per visitor) and the overall HH compliance rate was 20.3%. Overall, 53.7% of the HH cases were performed with soap and water. Among the 4 HH moments, the "after body fluid exposure risk" moment showed the highest compliance rate (83.5%); 93.9% used soap and water. The most commonly exposed potential body fluid among visitors was saliva (48.1%). Conclusion: For hospital visito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HH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HH moments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valuate visitors' HH compliance in various hospital settings and find the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visitors' HH.

손소독제(겔형, 액제형, 와이프형)의 효능 평가법 개선: 평가 전략 연구 사례 및 손 균총 정보 활용 등 최근 동향 (Improvement of the Efficacy Test Methods for Hand Sanitizers (Gel, Liquid, and Wipes): Emerging Trends from in vivo/ex vivo Test Strategies for Application in the Hand Microbiome)

  • 오윤;송지섭;박한솔;이영훈;신진송;박다솜;남궁은;조태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1
    • /
    • 2023
  • 피부를 대상으로 한 살균을 목적으로 하는 외용소독제의 경우 식품 취급자에 오염된 미생물의 사멸 또는 제거를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제품 소비 증가와 제품 다양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살균 효능은 소독제의 핵심 품질 평가 요소로서 수행 절차 및 조건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시험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총설논문에서는 주요 제형별(겔형, 액제형, 와이프형) 시험법 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시험법별 특장점 분석 결과와 최근 관련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시사점을 기반으로 향후 효능 평가 체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체 대상 시험법의 경우 시험 유형에 따라 소독제를 시험 대상 피부 표면에 처리하는 조건이 다양화되어 있어 시험법 간 동등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소독제 제품의 성분이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시험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되는 적절한 평가 체계 및 관련 규제의 표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특히 와이프형 소독제의 경우 처리 방식이 미생물 제거 및 살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노출하는 손 대상 처리를 위한 사용 패턴의 표준화 사례가 부족 하였다. 한편 [전처리 - 소독제 노출 - 미생물 회수] 등 각 시험 절차별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 요인을 발굴하는 연구의 지속 수행을 통해 기존 시험법을 개선하고 신규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최근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ex vivo 시험법은 인체 시험의 제한적인 연구 재현성과 같은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인간 피부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적용을 통해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손 피부를 대상으로 한 균총 연구 등 소독제 처리 전후 미생물의 특성과 분포 분석 관련 연구가 최근 다수 보고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미생물 군집 단위의 소독제 효능 평가 시험법의 확립이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소독제 효능 시험법의 현황 기반 발전 전략은 보다 효과적인 개인위생 관리 확립을 통해 손을 통해 교차 오염되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병 발생을 최소화하여 공중보건 및 식품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방사성 콜로이드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생검 병리처리과정에서 방사선 피폭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Radiation Exposure during Pathologic Process in the Sentinel Iymph Node Biopsy using Radioactive Colloid)

  • 송요성;이정원;이호영;김석기;강건욱;국명철;박원서;이건국;홍은경;이은숙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4호
    • /
    • pp.309-316
    • /
    • 2007
  • 감시 림프절 생검은 유방암 수술에서 림프절 전이 상태를 알기 위한 표준 시술이다. 환자는 방사성 콜로이드를 주사 받은 후 수술을 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 검사를 하는 핵의학과, 수술장, 유방암 검체를 다루는 병리과의 관계자는 미량이나마 환자와 검체에 의해서 방사선 피폭을 받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감시 림프절 생검 과정, 특히 병리처리 과정에서 받는 방사선피폭을 정량하여 그 안전성을 확인하고 병리 시설과 폐기물에 대해서도 방사선 관련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감시림프절 생검은 방사성 콜로이드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임상적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병리기사, 핵의학 기사 및 핵의학 의사의 피폭량을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하여 1달간 측정하였다. 또한 작업과정중의 잔존 방사능량, 흡수선량, 작업시간, 작업거리, 조직폐기물 및 병리검사실의 공간선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전신 및 손의 피폭량은 병리기사에서 각각 0.21 및 0.85 uSv/study이었고 핵의학과 의사 및 핵의학과 기사의 전신피폭량은 각각 0.2 및 2.3 uSv/study 이었다. 일반인 기준(1000 uSv/year)으로 병리기사는 년간 약 1100건 감시림프절 관련 검체 처리를 할 수 있었다. 각 과정의 잔존방사성 및 피폭거리, 시간으로 측정한 피폭량은 수술의사는 전신/손의 피폭량이 건당 2.47/22.4 uSv 이었고 수술장간호사는 건당 0.22/0 uSv 이었다. 병리실의 공간선량률은 0.02-0.03 mR/hr로 방사성 관리구역의 설정 기준에 도달하지 않았다. 폐기되는 검체 조직의 방사능은 거의 측정되지 않아 100 Bq/g에 훨씬 미치지 않았다. 결론: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검사에 관계된 병리처리과정은 방사선안전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안전하며 별도의 안전관리나 시설 없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소아병원 종사자의 손 위생 수행 (Hand Hygiene Compliance of Healthcare Workers in a Children's Hospital)

  • 오향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2권3호
    • /
    • pp.186-193
    • /
    • 2015
  • 목적: 소아병원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손 위생 수행률을 계량화하고 분석함으로써 소아병원 종사자의 손 위생 수행실태에 대한 기본 자료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3차 의료기관이며 대학병원인 313병상 소아병원의 533명 직원을 대상으로 WHO 손 위생 모니터링 도구로 2010년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직접관찰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총 관찰건수 2,999으로, 손 위생 수행률은 95.3%였고, 직종별로 간호사(97.7%), 의사(89.2%), 이송직(72.1%) (P<0.001), 부서별로 중환자실(92.5%), 외래(95.4%), 응급실(97.2%), 수술실(97.2%) 이었으며(P<0.001), 의사직급별로 전임의(97.5%), 교수(93.9%), 전공의(89.7%), 인턴(80.9%)이었다(P<0.001). 손 마찰(81.1%)을 많이 사용하였고, 손 씻기는 '환자 체액 노출 후'(37.7%), '환자 환경 접촉 후' (28.5%)에 많이 사용하였다. 손 위생 방법은 부서별로 차이가 없었으나(P=0.083), WHO 5 Moments 별로 차이가 있었다(P<0.001). 직종별 WHO 5 Moments 분포는 차이가 있었다(P<0.001). 손 위생 이행 odds ratio는 의사직 0.353 (95% CI, 0.241-0.519), 중환자실 0.291 (95% CI, 0.174-0.487), 외래 0.484 (95% CI, 0.281-0.834)이었다. 결론: 손 위생 수행은 직종별, 부서별로 차이가 있었다. 직종별, 부서별로 효과적인 손 위생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압출 및 연주 Al 6061 합금의 열간단조 특성 연구 (The Study on the Hot Forging of a Extruded and Continuously Cast Al 6061)

  • 권용남;박정호;이영선;배명한;이정환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0-83
    • /
    • 2003
  • Generally, forging process has been known to enhance mos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by developing the continuous metal flow across the forged stocks. However, we have found out that forging of Al 6061 did not always give the enhancem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but the degradation of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especailly for a extruded Al 6061. There are several candidates for the culprit of this unfavorable phenomenon. We have been trying to clear out the cause of the mechanical degradation of the forged a extruded Al 6061. One of the most plausible causes seems to be that the particles containing Mn and/or Cr is coarsened and redistributed preferencially onto grain boundaries due to a repetitive exposure in an elevated temperature condition. On the other hand, a continuously cast Al 6061 did not show any strength degradation after a hot forging under the same process condition with the extruded Al 606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