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 river watershed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6초

A study of newly recorded genera and species of filamentous blue-green algae (Cyanophyceae, cyanobacteria) in Korea

  • Song, Mi-Ae;Lee, Ok-Mi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4호
    • /
    • pp.619-627
    • /
    • 2015
  • Cyanobacteria were sampled at five sites in the Han River, Nakdong River, and Geum River watershed from June 2014 to May 2015 and then cultivated. Two genera and five species of the cyanobacteria were newly recorded in Korea. The newly recorded species were Limnothrix redekei, Pseudanabaena galeata, Pseudanabaena amphigranulata, Sphaerospermopsis aphanizomenoides, and Calothrix parietina. As a result, the Korean flora of the cyanobacteria now include four orders, 22 families with 73 genera, 143 species, and two varieties, giving a total of 146 taxa.

자운천 유역의 강우특성에 의한 하천 탁도 발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ver Turbidity by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in the Watershed of Jawoon-cheon)

  • 김종욱;박수진;최한규
    • 산업기술연구
    • /
    • 제27권B호
    • /
    • pp.221-227
    • /
    • 2007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turbidity and flow of river for an year, 2005,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 of the generation of turbidity according to the outflow of min water. For this research, the region of Jawoon river where is the area of high land vegetable growing in the upper Soyang Reservoir is selected to observe actual floating materials that generate negative nutrition and turbidity of the Reservoir water and the changes of water quality by raining of each month. In addition, the researcher has conducted statistical inspection method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n strength of raining force, and rain continuance time among the elements affecting the outflow of floating materials.

  • PDF

상류 댐 방류량 및 하천수 사용량이 팔당댐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ing the Effect of Upstream Dam Outflows and River Water Uses on the Inflows to the Paldang Dam)

  • 김철겸;김남원;이정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1호
    • /
    • pp.1017-10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의 팔당댐 상류를 대상으로, 상류 댐들의 운영 및 하천수 사용이 하류구간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SWAT-K 유역모형을 적용하여, 2001~2009년에 대해 상류댐 운영 및 하천 취수량 적용 유무에 따른 조건별 모의결과를 분석한 결과, 소양강댐과 충주댐 등 다목적댐 운영에 따른 방류량이 갈수기와 홍수기의 하류구간 유출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갈수량이 팔당댐 지점에서 $100.57m^3/s$, 북한강 종점 $33.01m^3/s$, 양평수위표 지점 $49.66m^3/s$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천수 사용에 따른 영향은 북한강 지역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한강 지역도 양평수위표 지점에서 $0.98m^3/s$의 갈수량 감소가 나타나 팔당댐 유입량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장기간의 유출 및 유황분석에서는 횡성댐과 같이 규모가 작은 댐 운영이나 하천수 취수 영향은 제외시켜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물이용이 집중되는 특정기간의 정교한 수문해석이나 취수량이 많은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하는 유출 분석에서는, 취수량은 물론 유역내 물이동량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소옥천 유역 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취약성 지수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Vulnerability Index for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in SoOak River Watershed)

  • 갈병석;문현생;홍선화;박천동;길한뉘;박재범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7-12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상류에 위치한 소옥천을 대상으로 유역 및 오염원 특성을 조사하여 각 특성별 지수를 분석하고 취약지역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유역 및 오염원 자료를 지수화하기 위하여 표준화법인 Dimension Index법을 적용하였으며 선정된 지수와 수질모니터링 자료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각 오염원별 영향인자를 도출하였다. 오염원별 영향인자에 미치는 특성들은 각각의 유의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BOD와 COD는 인구밀도와 대지면적 비율, T-N은 CN과 논면적 비율, T-P는 인구밀도와 대지면적 비율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오염원별 영향인자로 판단된 지수를 이용하여 취약지역 우선순위를 산정하였고 배출부하량을 고려하여 산정된 취약지역과 순위를 비교 검토하였다. 배출부하량은 비점오염 대책 수립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호소나 하천에 유입되는 유달부하량과 차이가 있어 수질 모니터링 자료와의 상관성 분석시 수질과 유의미한 값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적인 비점오염 관리를 위해서는 취약지역 선정과 함께 수질과 상관성 높은 영향인자를 분석하고 해당 인자에 대한 관리가 우선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 소유역 유출수의 오염물질 농도특성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Concentrations in Runoff Water from a Small Rural Watershed)

  • 오광영;김진수;조재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2호
    • /
    • pp.99-10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such as TN (Total Nitrogen), TP (Total Phosphorus) 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in outflow from a nonpoint source dominated watershed ($6.7km^2$). Regular flow measurement and water sampling were taken at five-day intervals during two years (February 2002 to January 2004) in the Ingyeong River, a tributary of the Han River. The mean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during rainy day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during dry days. For dry days, the flow-weighted mean concentration (0.06 mg/L) of TP during paddy irrigation periods were higher than that (0.02 mg/L) during non-irrigation periods. The seasonal mean concentration of TN was highest in spring likely due to nitrogen fertilization, but those of TP and COD were highest in summer due to particulate phosphorus and sediment-associated organic matter caused by increased discharge.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discharge, suggesting that the measures to reduce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s during storms are needed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ion.

농촌 소유역 유출수에서의 영양염류의 거동 (Behavior of Nutrients in Runoff Water from a Small Rural Watershed)

  • 오광영;김진수;오승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2호
    • /
    • pp.51-5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of nutrients such as TN (Total nitrogen), TDN (Total dissolved nitrogen), TP (Total phosphorus) TDP (Total dissolved phosphorous) in runoff water from a nonpoint source dominated watershed ($6.67\;km^2$). Regular and intensive flow measurement and water sampling were taken during two years (February 2002 to January 2004) in the Ingyeong River, a tributary of the Han River. The mean concentrations of nutrients during rainy days were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ose during dry days. The mean TDN/TN ratio in rainy days (95%) is almost identical to that in dry days (96%), but mean TDP/TP ratio in rainy days (24%)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dry days (66%), suggesting that dominant form of TP is shifted from dissolved form to particulate form. Accordingly, the measures (.eg. filter strips, cover crops) to reduce soil erosion for fallow upland in the rainy season should be taken to control particulate phosphorous.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을 이용한 무심천 유역의 수문과정 해석 (Analysis of Hydrological Processes for Musim River Basin by Using Integrated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Model)

  • 김남원;정일문;이정우;원유승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419-430
    • /
    • 2007
  • 지표수와 지하수의 통합모델링은 지속가능한 수자원과 수질개선에 대한 점증하는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준분포형 유역유출모형인 SWAT과 완전분포형 지하수 모형인 MODFLOW의 통합모형을 무심천 유역에 작용하여 유역단위의 수문과정을 재생하였다. 모의결과 2001-2004년의 관측수문곡선과 모의유량수문곡선간의 적합이 잘 나타나는 한편 계산된 지하수위 분포와 관측지하수위와의 보정결과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통합모형은 서로 다른 기간의 강수평균이 하천유출, 침루, 함양, 지하수 유출의 동적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도 활용되었다. 나아가, 윌별강수와 각 수문성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한 종합적인 모의를 수행한 결과, 수문성분 상호간에 높은 상관성을 보이며 소유역경사, 토지이용, 토양종류 같은 유역특성의 비균질성이 함양량의 공간변화에 주요 원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통합모형은 시공간적으로 변모하는 유역단위의 지표수와 지표하 수문과정을 전반적으로 잘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유역 축분퇴비공장 근로자의 작업환경 만족도 평가 (Evaluation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Working Environment for Workers Engaged in the Composting Plant with Livestock Manure in the Han-river Watershed)

  • 김기연;최홍림;김치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61-27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에 위치한 축분퇴비공장의 작업환경 조사를 위한 현장 평가로서, 설문조사 및 악취물질 측정을 통해 근로자들의 작업환경 만족 수준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축분퇴비공장 근로자들의 작업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일반 건강수준, 악취, 작업량, 분진, 흡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일반 건강수준, 악취, 작업량이 전체 작업환경 만족도의 61.3%를 대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 작업환경변수로는 일반 건강수준(p$<$0.01), 악취 작업량 분진(p$<$0.05) 등 이었다. 결론적으로 일반 건강수준이 높은 근로자일수록 작업환경 만족도가 높았으며, 작업량이 상대적으로 많고 악취와 분진에 쉽게 노출된 공장의 근로자일수록 작업환경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흡연을 하는 근로자는 작업환경 만족도가 낮게 나타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한강유역 축분퇴비공장 근로자들의 작업환경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공정 중 악취와 분진농도의 발생을 저감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축분퇴비공장의 악취 및 분진농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처리공정 및 관리체계 정립이 시급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축분퇴비공장 작업자의 건강 뿐만 아니라 주변 마을 정주민의 생활환경개선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빈도홍수량의 추정 (Estimates of Regional Flood Frequency in Korea)

  • 김남원;원유승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2호
    • /
    • pp.1019-1032
    • /
    • 2004
  • 빈도홍수량은 중ㆍ소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중요한 지표로서 매우 중요하나, 자료의 부족과 설계 관습으로 인하여 홍수량을 직접해석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설계호우-단위도법과 같은 간접적인 홍수량추정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집가능한 일제시대부터 1999년까지 망라한 국내 첨두홍수량 자료를 수집하여 연 최대치 계열을 작성하고 지수홍수법에 의해서 지역홍수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역홍수빈도분석을 위해서 사용된 분포는 WMO(1989)가 권장한 Wakeby 분포였으며, 매개변수 추정은 Hosking(1990)의 L-모멘트를 이용하였다. 지역의 수문학적인 동질성을 위해서 Hosking과 Wallis(1993)의 불일치성, 이산성의 검정을 따랐다. 지수홍수와 상관시킨 물리적인 독립 변수는 유역면적이고, 이는 비유량이 유역면적이 커짐에 따라 작아지는 소위 멱함수 형태를 잘 따르고 있었다. 우리나라 주요유역을 4개의 유역 즉,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섬진강으로 나누어 유역별 재현기간별 홍수량을 이러한 형태로 제시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점빈도분석에 의한 지역화를 수행하여 지역빈도 분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댐 개발전과의 비교에서는 댐의 역할이 첨두홍수량의 변화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기존의 타 연구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의 타당성을 구체화할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Fish Community and Various Guilds to Stream Order in Geum River Watershed

  • Lee, Su-Ho;Lee, Jae-Hoon;Han, Jeong-Ho;An, Kwang-Guk
    • 생태와환경
    • /
    • 제43권4호
    • /
    • pp.503-51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fish fauna, species composition, and various guilds against stream orders along with analysis of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in Geum River watershed from 2005 to 2007. The total number of fish collected was 4,216 representing 12 families with 56 species. Zacco platypus was the most abundant fish species with 26% in relative abundance (RA). Korean endemic species were 24 species including Zacco koreanus, Microphysogobio yaluensis, Gobiobotia nakdongensis, and Iksookimia koreensis, etc. We also collected endangered fish species such as G. nakdongensis, Liobagrus obesus, and Pseudopungtungia nigra, etc., and their new distribution sites were found in the survey, providing some sites of the fish conservation and protection. Fish tolerance and trophic guilds analysi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sensitive species, intermediate species, and tolerant species were 33.4%, 29.3%, and 37.3%, respectively and omnivores and insectivores were 48.1 % and 38.4%, respectively. Analysis of site-base study indicated that tolerant species and omnivore species were high in some polluted tributary streams (i.e., Gap and Miho stream) and sensitive and insectivore species were low. In the functional relations, expressed as sim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of stream order on fish metric attributes, showed that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d as the stream order increases. This phenomenon was explained by greater availability of stable water volume, rich food, and higher physical habitat capacity. Such guild compositions and stream order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influenced the community structures, based on species diversity, dominance and evenness index in the study. This study may be used as important data in the future for comparisons of fish fauna and compositions before and after two weir (dam) constructions in the middle of Geum River by the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