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mbag mushroom(Grifola frondos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STZ 및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흰쥐의 고혈당 및 고지혈에 대한 함박잎새버섯분말의 효능 (Effects of Hambag Mushroom (Grifola frondosa)-Powder on Hyperglycemia and Hyperlipemia in STZ and High Fat Diet-induced Diabetic Rats)

  • 이순이;박영철;김종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87-1393
    • /
    • 2007
  • 함박잎새버섯은 잎새버섯의 한 품종으로 농업과학기술원의 야생균주로부터 개량된 새로운 품종이다. 인공재배에 의하여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Streptozotocin와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실험쥐 당뇨에 있어서 고혈당 및 고지질 혈에 대한 함박잎새버섯분말의 효능과 부분적인 기전을 6 주간의 사육기간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함박잎새버섯분말 투여에 의한 체중증가량은 당뇨를 가진 실험쥐의 2 배로 분말이 당뇨에 의해 유도된 체중감소의 병폐현상을 막아주는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 함박잎새버섯분말 투여는 혈당을 약 200 mg/dl 정도 감소한 당뇨를 가진 실험쥐 혈당의 약 50% 수준이었다. 3. 당뇨 유발에 의해 증가된 Triglyceride,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의 함량은 함박잎새버섯분말 투여에 의해 용량-의존성 경향을 보이면서 감소되었다. 그러나 당뇨 유발에 의해 감소된 HDL-cholesterol 함량은 함박잎새버섯분말 투여에 의해 증가되었다. 4. 함박잎새버섯분말 투여에 의한 당뇨-유도성 췌장 손상정도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효능이 당뇨 유발 실험쥐에 있어서 고혈당과 고혈지질을 조절하는 부분적인 기전으로 이해된다.

당뇨유발 흰쥐에 있어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함박잎새버섯의 효과 (Effects of Hanbag Mushroom(Grifola frondosa) on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 이순이;이창윤;박영철;김종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71-1575
    • /
    • 2007
  • 본 연구는 당뇨병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함박잎새버섯분말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SD계 흰쥐를 STZ로 당뇨를 유발하여 간 및 신장 조직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당뇨흰쥐에 함박잎새버섯분말 1-2% 첨가하여 6주간 식이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지표물질인 LPO를 비롯하여 유발원 XOD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에 따른 간조직 손상 확인을 위해 혈청 ALT와 AST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특히 함박잎새버섯분말의 항산화적 효능을 위해 이들 지표물질들과 더불어 항산화체계의 중요 요소인 GSH 농도와 GST 활성도를 당뇨군,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 그리고 정상군에서 측정하였다. 당뇨군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LPO 농도를 비롯하여 XOD 활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이러한 결과로 추정되는 간 조직 손상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ALT 및 AST 활성도가 혈청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에서는 LPO 농도, XOD 활성도를 비롯하여 조직손상의 지표인 ALT 및 AST 활성도가 당뇨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항산화물질인 GSH 농도는 당뇨군 및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GST 활성도는 당뇨-잎새버섯분말투여군이 당뇨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당뇨유발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잎새버섯분말의 효능은 GSH 농도 변화보다 GST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유발원인 XOD 활성도 감소의 유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당뇨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조직손상을 유발한다. 그러나 함박잎새버섯분말은 항산화물질 및 효소계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당뇨유발-산화적 스트레스 감소를 유도하여 조직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