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lyu 3.0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한류가 한국 국가 이미지 및 화장품제품 이미지에 미친 영향연구: 심리적 거리이론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Hallyu on the Korean national image and the image of cosmetics: Focusing on psychological distance theory)

  • 이정만
    • 패션비즈니스
    • /
    • 제28권2호
    • /
    • pp.33-49
    • /
    • 2024
  • Despite COVID-19 and the global economic depression, cosmetics export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the growth of Hallyu consumption overseas. Thus, systematic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at impact Hallyu has on cosmetic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sychological distance, Hallyu preference, and the overall Korean product image, but research related to the image of cosmetics has been insufficient. AMOS 26.0 was us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cultural distance, social distance, and Hallyu preference on the national image and the impact of the country's image on the image of cosmetics among females experienced with Hallyu in Indonesia and Malaysia.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cultural distance, social distance, and Hallyu prefer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ational image, and the national imag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age of cosmetics. Since Hallyu has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the image of cosmetics, it strengthens the competitiveness of cosmetics companies in overseas markets. In Indonesia, only cultural distance and Hallyu preference were found to affect the national image. However, in Malaysia, all variables affected the national image. Thus, even the same Hallyu content c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national and cosmetic images in each country. Therefore, strategies for utilizing different Hallyu contents that are suitable for each country are needed to revitalize Korean cosmetics in overseas markets.

필리핀의 한류수용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Reception of Hallyu in the Philippines)

  • 허윤정;송정은;장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53-169
    • /
    • 2016
  • 본 연구는 필리핀 한류 조사를 바탕으로, 필리핀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한국문화수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필리핀의 한류수용의 특징과 배경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필리핀 현지 대학생과 한국에 거주하는 필리핀인을 대상으로 FGI 조사, 문헌연구 및 통계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리핀과 한국은 한류를 매개로 교류를 한층 강화하고 있지만, 한편 코피노 및 한국인 상대 범죄 등 갈등요소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필리핀인을 대상으로 한 한류연구는 향후 양국간 사회문화적 관계를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수가 된다. 본 연구는 필리핀 현지 대학생과 한국 거주 필리핀인의 한류 문화소비의 인식, 태도, 행동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 '한국인과의 접촉경험'이 한국과 한국문화를 인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내었다. FGI 조사 참여자들은 한국드라마 관람, 한국어 공부, 그리고 주변 한국인과의 관계형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필리핀과 한국의 관계가 향상되기 위해서는 한류가 한국문화의 특징뿐만 아니라 보편적 문화로서의 가치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필리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화적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향후 한국문화의 전반을 아우르는 한류 3.0이 현지의 일상문화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Impact of Hallyu 4.0 and Social Media on Korean Products Purchase Decision of Generation C in Vietnam

  • Truong, Nguyen Xu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3호
    • /
    • pp.81-93
    • /
    • 2018
  •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the impact of hallyu 4.0, social media, and consumer ethnocentrism on the decis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of Generation C in Vietnam.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was first carried out with in-depth interview, conducted to derive measurement items for the interested constructs. Quantitative research used cross-sectional field design by pilot study and official study. The model was tested and developed using data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a sample of 575 respondents, by both electronic and paper surveys with non-probability and convenience sampling techniques. SPSS 20 and AMOS 20 software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hallyu 4.0, social media, and consumer ethnocentrism influenced the intermediates variables: subject norms, trust,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influenced purchase decision. The hallyu 4.0, social media, and consumer ethnocentrism are independent variables. They impact purchase decision through mediating variables such as trust, subjective norms,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Social media influences not only to trust but also to subjective norms. Subjective norms influence on purchase decision. This study also discovers an interesting fact that trust and attitude variables have an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purchase decision.

젠더화된 메타서사로서 한류, 혹은 K-엔터테인먼트 비판 -여성 팬, 걸 그룹, 그리고 여성 청년을 중심으로 (The Critique of Hallyu, or K-Entertainment as a Gendered Meta-narrative -Focusing on Female Fans, Girl Groups, and Young Women)

  • 류진희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2호
    • /
    • pp.9-37
    • /
    • 2020
  • 이 글은 1990년대 이후의 초국적 '한류' 현상을 한국 문화의 세계적 진흥이라는 메타서사의 창출과 더불어 살펴본다.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한 호감은 인근 지역 여성들로부터 자발적으로 시작됐다. 그러나 곧 IMF 금융위기를 계기로 한국 정부가 문화 산업 자체를 '굴뚝없는 공장'으로 주창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세계무대를 향한 열망으로 한류가 공식화됐고, 지난 20여 년간 한류 1.0, 한류 2.0, 그리고 한류 3.0이 쉼없이 전개됐다. 이제 K-드라마, K-pop 등을 포괄하는 'K-엔터테인먼트'가 주창되고, 한국적인 모든 것으로 K-컬쳐도 내세워지고 있다. 이 글은 이 과정에서 여성들의 행위성은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대중문화의 흥기와 그 초국적 진전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여성 팬과 걸 그룹을 여성주체의 역량 및 여성노동의 맥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우선 구체적으로 한류의 전사(前史)로서 초국적 동아시아를 배경으로 여성 팬이 부상하는 맥락을 톺아본다. 또 K-엔터테인먼트의 전사(戰士)였지만 후경화되고 소략화됐던 걸 그룹과 여성 청년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논의했다. 결론적으로 이들 여성 팬과 걸 그룹, 그리고 여성 청년들을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 주체로 적극적으로 고려해야한다는 것이다. 신자유주의 시대, 기존의 민족 혹은 계급 논의를 대체하는 세대 논의에서 여성은 여전히 재생산 영역에 머물러 있다. 최근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이를 반박하는 『82년생 김지영』 등 여성서사에 대한 관심이 동아시아를 넘고 있다. 이 흐름에서 여성 청년이기도 한 여성 팬과 걸 그룹 당사자들이 페미니즘 지향의 독자로 조우하기도 했다. 애초 한류가 여성들의 의해 가능했듯, 초국적 K-엔터테인먼트 장에서 새로운 여성서사가 생성 중인 것이다. 이 글은 여성 팬, 걸 그룹, 여성 청년이 사회학적 각론에서가 아니라, 젠더화된 메타서사에 대항하는 행위성으로 읽혀져야한다고 했다.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II)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the Uzbekistan Students Staying in Korea(II): Focus on the Fashion Lifestyle)

  • 이옥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5호
    • /
    • pp.67-80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determining fashion lifestyle of Uzbek students in Korea and their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s Hallyu, the Korean image, satisfaction, preferences and purchasing intentions for Korean fashion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The data collected from 260 Uzbekistan students in Korea were subjected to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 test, and ${\chi}^2$-test using SPSS 2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ashion lifestyle was analyzed based on brand orientation, tradition, fashion, and personality. The fashion lifestyle group was classified as follows: brand, fashion/personality, traditional, and fashion passive. 2) The evaluation criteria for fashion products, information sources, and store selection criteria were varied among the four groups of fashion lifestyle. 3) The attitude toward Hallyu and Korean image, the satisfaction,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KFP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the fashion lifestyle groups. 4) The demographics of fashion lifestyl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nd residential statu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fashion companies targeting markets for Uzbek people in their 20s.

문화와 콘텐츠 산업: 사회자본 관점에서의 신한류 현상 분석 (Culture and Content Industry: An Analysis on New Korean Wave based on Social Capital Perspective)

  • 김인설;이종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27-138
    • /
    • 2012
  • 드라마 위주의 방송을 매체로 한 이전의 한류와 달리, 케이팝을 중심으로 한 신한류의 확산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확산 방식의 차이가 사회자본 관점에서 한류의 수용층과 수용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콘텐츠 산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신한류의 수용자들은 자발적으로 케이팝을 찾아 공유하고 자신들의 의사를 표출하는 젊은 열성 팬들로 구성된다. 유튜브나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기업들은 이들을 결속형에서 교량형 사회자본으로 변화시켜, 음원제공 사이트에서 케이팝의 판매를 촉진하는 정보제공자의 역할을 한다. 통신사와 광고주는 이러한 시장에 제3자로 참여하여 미디어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한다. 이처럼 서로가 서로를 지원하는 다면시장에서 생태계의 변화를 유도하는 플랫폼의 확보 없이는 신한류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 연계형 사회자본 형성은 어려울 것이다.

방탄소년단(BTS)의 글로벌 팬덤과 성공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Global Fandom and Success Factors of BTS)

  • 윤여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3-25
    • /
    • 2019
  • 방탄소년단은 2018년 5월 LOVE YOURSELF 전(轉)Tear로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 정상을 처음 밟은 후 3개월 만에 다시 Repackage 앨범 LOVE YOURSELF 결(結) ANSWER(2018년 8월 24일 발매)로 '빌보드 200' 1위(2018년 9월 3일)에 올랐다. 영어가 아닌 한국어 가사로 빌보드 메인 차트를 두번씩이나 정복하며 '한류 4.0시대'를 열었다. 방탄소년단은 '빌보드 200' 정상에 두 번이나 오름으로써 그들의 음악적 재능(노래, 가무, 프로모션 등)을 전 세계적으로 공인받고 글로벌 주류 음악 시장에 안착하게 되었다. 방탄소년단은 신비주의, 이상성, 파격 등 직관적 상호작용을 탈피하고 공감, 공유, 공생 등 양방향 소통을 통해 지구촌 팬들과 하나의 계관(BTS Universe)을 구축하고 있다. 단지 몇 개의 히트곡을 발표한 인기 그룹에 그치지 않고 대중음악을 예술적 가치로 승화시킨 아티스트로서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그 결과 충성도 높은 글로벌 팬덤(A.R.M.Y.)을 갖게 되었고 그들과 함께 선한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내고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방탄소년단의 성공 요인을 S-M-C-R-E 모델을 통해 분석했다. ① Sender(송신자) : 방탄소년단의 7인 7색 판타지와 방시혁 프로듀서의 '올인원(All in one) 스토리텔링' 전략 ② Message(메시지) : '나'가 아닌 '너'를 통해 지구촌 공감대 형성 ③ Channel(채널) :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지구촌 팬들과 실시간 접점 형성 ④ Receiver(수용자) : 한국과 아시아를 넘어 충성도 높은 글로벌 팬덤(A.R.M.Y.) 형성 ⑤ Effect(효과) : 방탄소년단의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과 선한 영향력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