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 perm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2초

A Study on the Wave Formation and Hair Damage Levels Relating to the Uses of Treatments for Heat Permanent Waves

  • Kim, Kwan-Ok;Kim, Sung-Nam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6호
    • /
    • pp.1-10
    • /
    • 2008
  • Public interest in healthy hairs gets growing as damaged hairs are seen more frequently with the generalization of heat permanent waves. For this study,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s on the changes in physical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wave forms and damaged hairs, by collecting virgin hairs from the women in their mid-20's, who had not experienced chemical applications, and by dividing the applications of heat perm hair treatments, PPT(for pre-treatment) and LPP(for post-treatment), into the pre-treatment, the post-treatment, the pre & post-treatment, and the non-treatment. For the wave formations, curl waves were investigated by the bare eyes using the pictures taken by a digital camera. For the comparison of physical features, the experiments of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done and their mean values were found. For the observations of morphological features, the pictures were taken by SEM for comparison. As for the findings, regarding the curl wave shapes of hairs, the most even and elastic S curl was formed in the case of non-treatment. In the physical features, both of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in line with the hair damage levels, and the case of the pre & post-treatment indicated the tendency most similar to the control group. In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cuticle, observed with an SEM, the pre-treatment showed the higher possibility of reducing the cuticle damages than the post-treatment did. LPP was found to play the role of protective membrane for the post-treatment, and the pre & post-treatment turned out to reduce most effectively the cuticle damages.

열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로드의 열 형성에 따른 모발의 형태적 손상에 관한 연구 (Morphological Damages of Hair by Heat Formation of Rods during Heat Perm)

  • 오수련;임순녀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99-105
    • /
    • 2020
  • 일반적으로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시술하는 퍼머넌트 웨이브 중에서도 가장 자연스럽고 탄력있는 웨이브를 얻기 위해서 열을 이용한 시술을 선호한다. 이에 본 연구는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시 사용되는 로드의 열 형성도에 따라서 모발에 미치는 표면적인 모발의 손상도를 주사전자현미경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로드의 열 형성이 웨이브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열 로드에서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고 웨이브를 시술하여 웨이브 된 둥근 모양의 형태대로 모발을 절단한 후 처치를 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뜨거운 열이 직접적으로 닿은 부분은 모발이 끊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끊어진 면이 매끄러운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퍼머넌트 웨이브시에 사용되는 열 로드는 열 전달이 로드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을 활용하고 로드의 구조 또한 중요함을 인식하고 미용 업계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시마 추출물의 손상모발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s of Laminaria japonica Extract on Improvement of Hair Damage)

  • 김주섭;전용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986-993
    • /
    • 2021
  • 본 연구는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모질 개선 제형제를 제조하여 손상된 모발에 도포하여 손상 모발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는 다시마 추출물 함량을 0 g, 2 g 4 g, 6 g 으로 다르게 하여 펌베이스제에 첨가하여 제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8레벨로 탈색한 시료 모발에 도포 전과 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방법은 모질 개선 효과를 알기 위해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로 인장강도 측정결과는 8레벨에 4 g 과 6 g 을 함유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의 인장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결과 모든 시료의 도포 전, 후의 변화는 도포 후의 값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광택 측정결과는 모든 시료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은 다시마 추출물이 손상된 모발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후 다양한 추출물의 종류와 연구방법으로 손상모발에 개선효과가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여성 구체관절인형 생산실태 분석 (Analysis of the production status of female ball-jointed dolls)

  • 전미화;장정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6호
    • /
    • pp.779-794
    • /
    • 2021
  • In this study, the sales status of female ball-jointed dolls and their parts were investi- gated and analyzed. Baseline data from 194 products and 54 brand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net sites was gathered for the manufacture of ball-jointed dolls and the development of prototype costumes for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izes used for ball-jointed dolls are SD, USD, MSD, 13SD, and 70SD together with height. This study analyzed 39 sizes (15~70cm) by classifying them into numbered groups: 1 (15~22cm), 2 (23~33cm), 3 (35~51cm), 4 (53~62cm), and 5 (63~70cm). The price varied depending on the size; for example, 50cm dolls were approximately 45,000 won, while limited editions were sold at high prices, regardless of their size. They were classified into designs according to their body proportions and facial features as follows: 7- or 8-head-figure, 5-head figure, and 3-head figure, and were presented proportionally as images of women, adolescents, and infants. Second, the head was incised so that the top could be removed horizontally or the facial region vertically, allowing attachment of the eyeballs (which were either glass, resin, or acrylic) to the inside. More than 30 different colors were sold. Various wig styles were provided, including cut, short hair, and perm. These were made from human hair, heat-resistant fiber, and artificial hair. For the hands, there was a design expressing human hand gestures. For the feet, heels were in the form of wearing either high-heels or flat soles.

미용직 근로 여성의 근무환경이 생리양상에 미치는 영향 (The Working Conditions and Reproductive Health of Female Hairdressers)

  • 홍보경;이효영;이선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05-124
    • /
    • 2006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productive health status and the work-related factors of female hairdresser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pril 21th to May 20th. The study population of 316 were female hairdressers aged 15 to 60 years in Seoul. This study analysed the influencing factors, health related factors and work related factors on reproductive health using chi-squar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The 81.7% of the subjects aged under 29 years have unhealthy behaviors. The 47% of hairdressers experienced smoking. Among the total, 37% of them answered they are smoking at present. Those results reveal their working conditions were very stressful to cope as young females. 2. The use of hair dyes(OR=2.89, 95%CI:1.17-7.12), counteractive solutions(OR=3.20, 95%CI:1.04-9.83) and not wearing protective gloves(OR=2.81, 95%CI:1.11-7.12)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nstrual pains. 3. The hairdressers not using perm liquids were three times as likely to report regular menstruation compared with the hairdressers using perm liquids. Wearing protective gloves also was associated with regular menstruatio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various risky working conditions of hairdressers was associated with their reproductive health. This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protective working conditions for reproductive health. More comprehensive health management program including reproductive health for female hairdressers is required as well.

모발의 마찰계수를 통한 모발 손상 인식 연구 (A Study for Perception of Hair Damage Using Friction Coefficient of Human Hair)

  • 임병택;서홍안;송상훈;손성길;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5-305
    • /
    • 2020
  • 염색과 같이 산화제를 이용한 미용은 모발의 큐티클 구조를 바꾸거나 단백질 변성 및 지질의 소실을 야기하여 모발을 손상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모발 손상 변화를 기기 평가를 통해 마찰계수를 측정하고 이것이 소비자들의 손상 인지와 상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더 나아가 손상 원인을 수분 변화에서 찾아 분석 하였다. 염색, 펌, 탈색 과정을 모발에 반복할 때 마찰계수를 측정한 결과 염색의 경우는 3 회 처리에서 마찰계수 0.60을 기록했는데,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동일 모발에 대한 촉감에 의한 손상 인지 조사에서 응답자의 58%가 이 모발에서 처음으로 손상을 인지한다고 답하였다. 탈색의 경우 3 회 처리에서 마찰계수가 0.84 로 크게 변하였는데 응답자의 88%가 손상모로 인지하였다. 지질 소실을 통한 손상에 따른 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모발 표면의 18-methyleicosanoic acid (18-MEA)를 제거해가며 마찰계수를 인위적으로 높인 다양한 모발을 제작하였다. 이 경우 마찰계수가 0.60 인 모발부터 전체 응답자의 68%가 최초로 손상을 인식한다고 답하였다. 기기평가로 확인된 마찰계수와 이와 연관되는 손상 인지가 모발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수분으로부터 기여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손상모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염색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모발의 접촉각이 감소하며 모발이 친수성으로 변함을 확인하였는데, 실제로 염색 손상모가 건강한 모발보다 0.42% 더 많은 수분량을 가짐을 유의차 있게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손상 모발의 수분량 증가가 마찰계수와 비례하는 점착력 증가를 유도하며 마찰계수가 0.60 이상으로 증가할 때 손상 인지가 됨을 알아보았다.

모발 노화에 따른 물성변화와 외인성 노화모델의 개발 (A New Attempt to Establish the Extrinsic Aging Hair Model to Evaluate The Response to Aging in Physical Property)

  • 송상훈;최원경;박현섭;임병택;박경란;김영현;박수진;손성길;이상민;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85-198
    • /
    • 2019
  • 인체 조직은 노화 현상을 겪으면 산화로 인한 손상이 진행되어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물성 저하를 겪는다. 피부가 겪는 노화 과정은 잘 알려져 있고 많은 평가가 수행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모발(머리카락)의 노화에 의한 평가는 잘 진행되어 있지 않아 모발의 노화를 케어하는 연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발의 노화 현상을 케어할 효능 기작을 적용할 수 있도록 노화된 모발 샘플을 제작하고 물성을 평가하여 안티에이징 효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내인성 노화가 진행된 모발의 지질량을 외인성 노화를 진행시킨 시료들과 비교한 결과, 펌 1회 처리 모발이 60대의 모발 지질량과 가장 유사함을 발견하였고, 이 모발을 통해서 원자 현미경으로 나노 스케일의 거칠기와 매크로 스케일의 인장강도를 평가하여 내인성 노화 모발과 유사한 물성 값을 가지고 있음을 확증하였다. 실제로 펌 처리를 통해 외인성으로 노화시킨 모발에 카르보디이미드와 펩타이드 결합을 적용하여 DSC로 구조적 변화와 거칠기 및 인장강도를 확인한 결과, 외인성 요인으로 노화된 모발을 에이징 이전의 상태의 물성 쪽으로 개선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내인성 노화에 의해서 소실 된 내부 구성 성분을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보강한 경우에도 외인성 노화가 유도된 모발의 물성이 에이징 이전 상태의 물성으로 회복되는 안티 에이징 효능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외인성 노화 유발 모발 시료 및 평가는 모발의 외인성 노화 연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천연헤나 처리 후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모발 손상도 및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manent Wave on Hair Damage and Morphological Changes after Natural Henna Treatment)

  • 이은진;이준희;이재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15-92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천연헤나 처리 후 펌(permanent wave)을 시술하여 모발의 손상도 및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아미노산분석, 주사현미경측정에 의한 모발의 두께와 표면관찰, 모발의 컬 형성력과 지속력, 메틸렌블루 염색법,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미노산 총량은 천연헤나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모발 보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컬 형성력은 대조군에 비해 천연헤나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컬은 탄력이 있었다. 지속력은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샴푸 횟수가 많을수록 (C)와 (C)' 길이의 늘어짐이 증가하여 지속력이 감소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모발의 두께는 대조군(Control)에 비해 실험군 모두 천연헤나처리 후 모발의 두께가 굵어졌다. 표면의 형태적 관찰에서는 실험군 모두 모발의 표면이 대체적으로 깨끗하고 큐티클 층이 잘 정돈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메틸렌블루염색법에서는 천연헤나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흡광도 값은 증가하였다. 인장강도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 인장강도가 감소하였으며, 신장률은 천연 헤나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실험군의 신장률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천연헤나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모발의 두께가 굵어졌고, 모발의 컬 형성력과 지속력이 높아졌으며, 모발에 탄력성과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서 모발 손상을 완화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천연헤나 시술법은 염색과 펌의 잦은 화학시술로 인한 고객의 손상된 모발을 관리하고, 미용산업 현장에 올바른 시술방법 제안으로 두피와 모발손상을 줄이는데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