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RU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Method of Machine-Printed Hangul Recognition using Grapheme Recognizer (낱자 특징 기반 자소 인식기를 이용한 인쇄체 한글 인식방법)

  • Jang, SeungIck;Nam, Yo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51-35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낱자에서 추출한 특징을 입력으로 사용하는 자소 인식기를 이용한 저해상도 인쇄체 한글 영상의 인식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입력 문자를 한글 6 형식과 기타 형식의 문자, 총 7 종으로 분류한 뒤, 입력 문자를 인식 대상 문자의 수와 자소 복잡도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인식 단위로 구분하여 인식한다. 각 HRU는 낱자에서 추출한 방향각 특징을 입력으로 사용하는 다층 신경망 인식기를 이용하여 인식한다. 다음으로, 각 다층 신경망 인식기의 신뢰도를 조합하여 최종 인식 결과를 도출한다. 제안한 방법을 사용한 실험에서 98.99%의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기존 방법에 비해 15.83%의 오류가 감소한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Effects on SWAT Simulated Hydrology and Sediment Behaviors of SWAT Watershed Delineation using SWAT ArcView GIS Extension Patch (SWAT ArcView GIS Extension Patch를 이용한 소유역 분할에 따른 수문 및 유사 거동에 미치는 영향 평가)

  • Heo, Sunggu;Kim, Namwon;Park, Younshik;Kim, Jonggun;Kim, Seong-joon;Ahn, Jaehun;Kim, Ki-sung;Lim, Kyoung 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24 no.2
    • /
    • pp.147-155
    • /
    • 2008
  • Because of increased nonpoint source runoff potential at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of Kangwon province, effective agricultural management practices are required to reduce the inflow of sediment and other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to the water bodies. The watershed-scale model,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has been used worldwide for developing effective watershed management. However, the SWAT model simulated sediment value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number of subwatershed delineat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WAT estimated watershed characteristics from the watershed delineation process affects the soil erosion and sediment behaviors. However, most SWAT users do not spend time and efforts to analyze variations in sediment estimation due to watershed delineation with various threshold value although topography falsification affecting soil erosion process can be caused with watershed delineation processes. The SWAT model estimates the field slope length of Hydrologic Response Unit (HRU) based on average slope of subwatershed within the watershed. Thus the SWAT ArcView GIS Patch, developed by using the regression relationship between average watershed slope and field slope length, was utilized in this study to compare the simulated sediment from various watershed delineation scenarios. Four watershed delineation scenarios were made with various threshold values (700 ha, 300 ha, 100 ha, and 75 ha) and the SWAT estimated flow and sediment values were compared with and without applying the SWAT ArcView GIS Patch. With the SWAT ArcView GIS Patch applied, the simulated flow values are almost same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subwatershed delineated while the simulated flow values changes to some extent without the SWAT ArcView GIS Patch applied. However when the SWAT ArcView GIS Patch applied, the simulated sediment values vary 9.7% to 29.8% with four watershed delineation scenarios, while the simulated sediment values vary 0.5% to 126.6% without SWAT ArcView GIS applied. As shown, the SWAT estimated flow and sediment values are not affected by the number of watershed delineation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estimated flow and sediment value without applying the SWAT ArcView GIS Patch.

Optimal Location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Storm Water Runoff Reduction (우수유출저감 시설의 최적위치 결정)

  • Jang, Su Hyung;Lee, Jiho;Yoo, Chulsang;Han, Suhee;Kim, Sangd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24 no.2
    • /
    • pp.180-184
    • /
    • 2008
  •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of an urban drainage area on Bugok drainage area in Oncheon stream was developed and combined with a optimization method to determine the optimal location and number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for storm water runoff reduction. This model is based on the SCS-CN method and integrated with a distributed hydrologic network model of the drainage area using system of 4,211 hydrologic response units (HRUs). Optimal location is found by locating HRU combination that leads to a maximum reduction in peak flow at the drainage outlet in this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optimal locations and numbers of BMPs, however, for more exact application of this model, project cost and SCS-CN reduction rate of structural facilities such infiltration trench and pervious pavement will have to be considered.

Water quality and runoff simulation in the Jiseok Stream Basin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지석천 유역의 수질 및 유량 모의)

  • Park, Sung-Chun;Yang, Dong-Hyun;Jin, Young-Hoon;Kim,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14-2017
    • /
    • 2009
  • 유출량과 수질자료는 하천을 관리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수문자료이다. 미계측 유역의 경우 유출량은 면적비유량법 및 강우-유출모형을 통해서 유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강우-유출 모형에는 HEC-1, HEC-HMS, SWMM등의 여러 가지 모형이 쓰이고 있으며, 수질자료는 Qual2K, Qual2E 등의 모델을 이용하여 자료를 산출하고 있다. 기존의 모델들은 토지이용과 토양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 토지이용과 토양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웠던 기존의 모형과는 달리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의 경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토지이용과 토양특성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 공간적 변화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유역을 소유역으로 세분화함으로써 수문학적 응답 단위(Hydrologic Response unit : HRU)로 계산이 가능하여 더욱 세밀한 모의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WAT모형을 전남 나주시와 화순군에 걸쳐 흐르는 지석천 유역에 적용하여 유출량과 수질을 모의함으로써 실제유역과 유사한 물리적 모의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SWAT모형이 대상지역의 부하량과 유출량 모의에 높은 적용성을 나타냈다.

  • PDF

Modelling of sediment yields of Yongdam basin using SWAT model (SWAT 모델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 유사량 모의)

  • Lee, Geun-Sang;Kim, Yu-Ri;Ye, Lyeong;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34-938
    • /
    • 2009
  • 금강상류유역에 위치한 용담다목적댐은 2001년에 준공되어 전북지역과 서해안 산업 개발지역에 공급하고 있다. 용담댐 하류유역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상류유역에 관한 연구는 그 수가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용담댐 상류유역에 대한 유출량과 유사량을 기측정된 자료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준 분포형 강우-유출 모델인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용담댐유역에 대한 유출량과 유사량을 산정하였다. 모형을 구축하고자 DEM과 토지이용도, 토양도를 사용하여, 총 208개의 HRU를 생성하였으며, 천천과 동향 수위국 및 용담댐에 대해서 월유출량을 Calibration 결과는 천천의 EI와 $R^2$는 각각 0951과 0.952이며, 동향의 EI와 $R^2$는 각각 0.868과 0.869로 나타났으며, 용담댐의 EI와 $R^2$는 각각 0.938과 0.964로 나타났다. 월 유사량에 대한 천천의 EI와 $R^2$는 각각 0.943과 0.947이며, 동향의 EI와 $R^2$는 각각 0.759과 0.772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상류유역에 대한 하천유입량과 유사량의 변화를 기구축된 자료와 비교 검토한 결과 SWAT 모델이 용담댐 상류유역의 유출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용담댐 하천 유입량과 유사량 변화를 예측하는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WAT Predicted Forest Soil Moisture and MODIS NDVI During Spring Season (봄철 SWAT 모형의 산림 토양수분과 Terra MODIS 위성영상 NDVI와의 상관성 분석)

  • Hong, Woo-Yong;Park, Min-Ji;Park, Jong-Yoon;Ha, Rim;Park, Geun-Ae;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1 no.2
    • /
    • pp.7-1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much the MODIS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can explain the forest soil moisture simulated from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For ChungjuDam watershed ($6,661.3\;km^2$) which covers 82.2% of forest, the SWAT model was calibrated for four years (2003-2006) at two locations of the watershed using daily streamflow data and was verified for three years (2000-2002) with average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ies of 0.69 and 0.75 respectively. For the period from March to June, the averag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16 days composite MODIS NDVI and the corresponding SWAT forest soil moisture was 0.90. The two variables averaged for each data set during that period showed an inverse relation with the averag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55.

Evaluation of hydrokinetic energy potentials of selected rivers in Kwara State, Nigeria

  • Adeogun, Adeniyu Ganiyu;Ganiyu, Habeeb Oladimeji;Ladokun, Laniyi Laniran;Ibitoye, Biliyamin Adeoy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5 no.3
    • /
    • pp.267-273
    • /
    • 2020
  • This Hydrokinetic energy system is the process of extracting energy from rivers, canals and others sources to generate small scale electrical energy for decentralized usag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tion of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i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environment to evaluate the theoretical hydrokinetic energy potentials of selected Rivers (Asa, Awun and Oyun) all in Asa watershed, Kwara state, Nigeria. SWAT was interfaced with an open source GIS system to predict the flow and other hydrological parameters of the sub-basins.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using observed stream flow data. Calibrated flow results were used in conjunction with other parameters to compute the theoretical hydrokinetic energy potentials of the Rivers. Results showed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observed flow and the simulated flow, indicated by ash Sutcliffe Efficiency (NSE) and R2 of 0.76 and 0.85, respectively for calibration period, and NSE and R2 of 0.70 and 0.74, respectively for the validation period. Also, it was observed that highest potential of 154.82 MW was obtained along River Awun while the lowest potential of 41.63 MW was obtained along River Asa. The energy potentials obtained could be harnessed and deployed to the communities around the watershed for their energy needs.

A theoretical Analysis and CFD Simulation on the Ceramic Heat Exchanger (세라믹 열교환기의 이론해석 및 CFD 시뮬레이션)

  • Paeng, Jin-Gi;Yoon, Young-Hwan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1 no.5
    • /
    • pp.282-290
    • /
    • 2009
  • A ceramic monolith heat exchanger is studied to find the performance of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by numerical computation and $\xi$-NTU method. The numerical computation was performed throughout the domain including fluid region in exhaust gas-side rectangular ducts, ceramic core and fluid region in air-side rectangular duct with the air and exhaust in cross flow direction. 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was also analyzed to estimate the performance by conventional $\xi$-NTU method with several Nusselt number correlations for flow in rectangular duct from literature. By comparisons of both performances by the numerical computation and the $\xi$-NTU method, the effectiveness by $\xi$-NTU method was closest to the result by numerical computation within a relative error of 2.14% when Stephan's Nusselt number correlation was adopted to the $\xi$-NTU method among the several correlations.

Analysis on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in Jeongup area (정읍지역 지하수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해석)

  • Chung, Il-Moon;Na, Han-Na;Kim, Nam-Won;Lee, Duk-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16-2020
    • /
    • 2010
  • 기존에 국내외에서 적용되는 지하수 함양량 추정방법인 기저유출 분리법, 연단위 물수지 분석법, 지하수위변동법 등은 집중형 개념을 기반으로 하거나 국지적인 규모로 다뤄지기 때문에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지하수 함양량을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기법을 이용, 실제 유역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강우-유출 모형은 수문성분 해석 이론이 잘 정립된 SWAT모형과 SWAT모형의 지하수 부분을 MODFLOW모형으로 대체한 SWAT-MODFLOW모형을 선택하였고, 분석 대상유역인 정읍지역을 대상으로 각 소유역 및 수문학적 반응단위(Hydrologic Response Unit: HRU)별로 토지이용과 토양통 특성을 반영하여 지하수 함양량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산정하였다.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소유역별 일단위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으며, 함양량의 시 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월평균 함양량의 경우 대략 280mm 범위 내에서 유역의 토지이용 및 토양특성, 경사 등에 따라 매우 비 균질하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산정한 함양량은 지역지하수 관리계획에 유연하고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Seasonal Alpha Factor using SWAT BFlow Program (SWAT BFlow 프로그램을 이용한 계절별 alpha factor 적용)

  • Kang, Hyun-Woo;Ryu, Ji-Chul;Kum, Dong-Huck;Jeong, Young-Hu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62-462
    • /
    • 2012
  • 수문 분석과 갈수기 유량 산정, 가뭄관리에 직접/기저 유출 분리 및 평가는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많은 모형들이 개발되었고, 실제 유역에 적용되어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이들 중 Baseflow filter program(BFlow)을 이용한 감수곡선의 Alpha factor 산정 방법이 직접/기저 유출 분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BFlow는 장기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그 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Alpha factor 만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계절별/연별로 변화하는 감수곡선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기에는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절별로 변화하는 감수곡선 특성을 조금 더 정확하게 실제 유역에 적용하기 위하여 BFlow 프로그램이용, 장기간의 유량 특성을 분석하여 계절별 Alpha factor를 산정하고 이를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모형에 적용하여 기존의 방법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SWAT 모형의 경우 alpha factor가 실제로는 Hydrologic Response Unit (HRU) 별로 활용되기 때문에, 계절별 Alpha factor 산정이 미치는 영향이 실제로 다소 크게 분석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저유량 부분의 차이를 면밀히 분석하여 Alpha factor 저유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SWAT 모형의 단점인 저유량 산정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