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RD program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역량기반 대학생 또래교수(Peer tutor) 양성교육 지원체제 구축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Establishment a System for a Competency-based Peer Tutor Training Program : Focusing on the case of A University)

  • 송명현;김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14-42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또래교수 양성을 위한 체제를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2022년 2월에 걸쳐 약 2년간 실시되었다. 교육과정 및 체제 개발, 운영 및 평가, 수정 및 보완의 절차로 진행되었으며, 심층면담, 설문조사, 문헌조사, 전문가 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면담과 또래교수 역량의 교육요구도 순위를 종합하여 연구진은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과 인증제를 설계하였으며, 개발된 교육과정과 인증제에 대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여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둘째, 2020년 3월부터 2022년 2월 말까지 또래교수 양성교육 및 인증제를 운영하였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조사 결과, 20년도에는 평균 4.33점, 21년에는 평균 4.61점으로 나타나 양성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또래교수 양성 교육과정과 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e-Learning 질향상을 위한 교수자 연수과정 개발사례 (A Case Study of Developing an e-Learning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Promoting Quality e-Learning Teaching)

  • 신소영;정애경;홍유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65-75
    • /
    • 2006
  • 정보통신기술의 발단과 함께 학교교육에서도 e-Learning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새로운 교수방법의 활용에 따른 교수자 연수 프로그램의 보급은 미흡하다. 이에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공단에서 실시하는 e-Learning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e-Learning에서 교수활동을 제공하는 교수자의 능력향상을 위한 e-Learning 강사과정을 개발하였다. 과정개발을 위하여 e-Learning 교수자의 역할 및 역량을 탐색하고 현재 개발된 과정에 대한 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내용구성이 이루어졌다. e-Learning에서의 교수자 역할을 콘텐츠개발과 운영으로 나누어, 개발 및 운영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이론적 기반의 공통 모듈, 콘텐츠개발 모듈, e-Learning 운영모듈 등 3개 모듈로 개발하였다. 이들 모듈은 e-Learning 콘텐츠 개발과정 및 e-Learning 운영과정 등 2개의 과정으로 교수자의 역할에 따라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각의 과정에 공통모듈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들 과정은 e-Learning에 참여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e-Learning에 대한 인식제고 및 교수활동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어 e-Learning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기계분야 일학습병행제에서의 PBL 실태 분석 (Analysis of PBL for Korean Apprenticeship Program in Mechanical Engineering)

  • 장혜정;강선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15-5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고용노동부 일학습병행제 교육훈련에서 문제 기반 학습(PBL)을 활용하는 실태를 분석하여 공업분야 일학습병행제에서의 PBL 활용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4개 NCS 대분류 분야 중에서 가장 많은 일학습병행제 참여 실적을 가지고 있는 공업분야인 기계분야를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 설문조사, FGI를 수행하였다. 먼저 일학습병행제와 일학습병행제에서의 PBL 적용현황, 공업분야를 중심으로 PBL 수업모형 등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일학습병행제에서의 PBL 인식과 운영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총 515명의 공동훈련센터 교수, 기업현장교사,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총 515명 중 108명의 기계분야 응답자의 설문조사 결과를 전체 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일학습병행제에서 PBL 활용경험이 있는 총 25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보다 심층적인 실태와 애로사항을 수렴하였고 그 결과를 결론 및 제언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은 4차산업혁명시대의 미래 역량인 비판적 사고와 분석능력,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학습병행제의 주요한 교수학습방법으로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실험·실습이 많고 협업을 통한 프로젝트로 작업이 수행되는 공업분야의 특성 상 PBL은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분야와 모든 기업에서 PBL이 효과적이며 잘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어떠한 유형과 NCS 분야, 직무기술 수준에서 보다 잘 활용할 수 있을지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넷째, PBL로 진행된 OJT를 위한 적절한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학습병행제에 맞는 PBL 운영 모델의 개발, 우수사례 및 가이드라인 보급, PBL 실행역량을 고려한 참여기업 선정, 교수자이자 평가자로서 기업현장교사의 역량 강화, 일학습병행 참여기업의 형태와 역량을 고려한 e-PBL의 적극적인 도입 등이 일학습병행제에서 보다 효과적인 PBL 활용과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되었다.

공공부문 정보보호 교육과정의 평가 : 사례 연구 (Evaluation of Public Information Security Training Programs : A Case Study)

  • 이송하;전효정;김태성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3-185
    • /
    • 2020
  •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raining because it can systematical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raining. Evaluation includes getting ongoing feedback from the learner, trainer and learner's superviso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raining and identify if the learner achieved the goals of the training. It also provides a justifi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raining. Nonetheless, there is a lack of studies that attempt to evaluate information security training programs. In this study, we utilize the Philips model to evaluate the public training programs for the people who are in charge of the information security duties in the public sector and propose the training improvement plans. Research result has shown tha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level of the trainees in advance and conduct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curity skill level. In addition, it needs to conduct training according to duties such as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information security operate and mainta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each education program was not assessed individually because this study had developed an evaluation tool that could be used comprehensively.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지원사업에 대한 공급망경영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upply chain management efficiency on the training supporting project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서요한;김광용;성종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07-424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upply chain management efficiency by analyzing moderating effect on the training support project in small and midium-sized enterprise. Method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supportive environment and training effec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upportive environment were significant on training effect.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upply chain management active group and inactive group. Third, moderating effect of supply chain manage efficiency was found between variables. Conclusion: SME supporting project in training program needs supply chain management efficiency for training effect. Supply chain management needs to be promoted in SMEs not only for performance but also for their workplace learning and learning culture.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와 비참여자간 구직효능감과 성격 5요인의 차이: 경북지역 D대학을 중심으로 (The Differences of Job-seeking Efficacy and Big 5 Personality Factors between University Job Support Program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Focused on D University in Kyungbuk Region)

  • 서영균;강혜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31-23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와 비참여자 간에 구직효능감과 성격 5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에 소재한 D대학교 재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와 비참여자 간에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구직효능감이 비참여자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와 비참여자 간 성격 5요인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 성격 5요인 중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은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던 반면, 신경증과 개방성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성격적 특성이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취업지원 프로그램 미 참여 집단이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독려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보여 주였다.

OJT 특성요인과 OJT 성과 간 관계에서 훈련자-피훈련자 관계강도 조절효과 분석: 국내 여행서비스업 초기 경력자를 대상으로 (OJT Characteristics and OJT Outcomes in a Domestic Travel Industry: Moderating Effect of Tie Strength)

  • 박찬주;장지현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5호
    • /
    • pp.39-50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bstant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n-the-job training (OJT) characteristic factors and OJT outcom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ie strength between a trainer and a trainee on the relationship. OJT characteristic factors were composed of a unit of work to be learned, trainee's motivation, trainer's ability, OJT design, and OJT support. OJT outcomes includ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search. The tie strength means a sense of intimacy with a trainer. All of the OJT characteristic factors, OJT outcomes, and the tie strength were defined operationally as the perceived ones by a traine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302 employees in a domestic travel agency as early career for seven years or less. The main methods for the analysis wer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The whole process of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for window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ry five element of OJT, including unit of work to be learned, trainee's motivation, trainer's ability, OJT design, and OJT support,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OJT outcomes -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tie strength between a trainer and a traine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OJT outcomes. Finally, the strength of ties between the trainer and the trainee was found positively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a unit of work to be learned, OJT design, or OJT support, with OJT outcome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ie strength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between the trainee's motivation or the trainer's ability, and OJT outcomes. Conclusion - In the study, it was demonstrated that every OJT characteristic factors have a positive contribution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arly career employees. In addition, the study showed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between trainers and trainees, in order to increase the impact of a unit of work to be learned, OJT design, and OJT support.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lications in the three factors as external factors that constitute OJT. The three factors are made by HRD practitioners who are involved in design and operation of the program as well as their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rs and trainees. On the other hand, it was demonstrated in the research that trainee's motivation and trainer's ability, regardless of their tie strength, have a direct impact on OJT outcomes by itself. Moreover, the trainee's motivation and trainer's ability are intrinsic characteristics, rather than external factors that constitute OJT. Therefore, they are unlikely to be changed by HRD practitioners' interventions. In conclusion, it was argued in the research that the trainee's motivation and trainer's ability should be a consideration in selecting and matching partners in OJT participants before starting OJT.

교류협력 단계별 북한 직업훈련 실행 시나리오 구축 방안 (An Investigation of Supporting North Korea Vocational Training by Interchange and Cooperation Scenarios)

  • 김소영;이영민;이우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73-7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교류 협력이 재개 되었을 경우 협력의 수준을 단계별로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북한지역 내 직업훈련을 실행하는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의 정치와 사회상황 예측을 바탕으로, 지역과 사업 기반의 직업훈련 3가지 시나리오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북한의 직업훈련을 효율적으로 촉진하기 위해, 시나리오 기법인 The Futures Group의 미래 방법론을 채택하여 적용하였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전기, 전자, 의류업종을 중심으로 직업훈련센터를 설치하는 것이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전기, 전자,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직업훈련대학 캠퍼스를 시범적으로 설치하는 안이다. 세 번째 시나리오는 전기, 전자, IT 생산, 통신, 중공업, 여성특화산업을 중심으로 북한지역에 다수의 직업훈련대학 캠퍼스를 설치하는 안이다. 설정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북한의 직업훈련을 촉진하기 위한 목표와 전략을 수립해야 하고, 북한 직업훈련의 거버넌스를 설정해야 하며, 직업훈련 R&D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아울러, 북한 직업훈련분야의 HRD, HRM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고, 공공과 민간 고용서비스 센터를 설치하여 직업훈련을 활성화해야 한다.

재도전 소상공인의 역량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Modeling of Micro Entrepreneurs Recovering From Failure)

  • 임진혁;박성희;김재형;채연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71-88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과 같은 외부 환경의 영향뿐만 아니라 경쟁 환경 및 시장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등 역량부족의 문제 로 사업 실패률이 높아진 소상공인들의 성공적인 재기를 돕고자 이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모델링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77년 부터 2022년까지 발행된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고 7인의 재도전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행동사건인터뷰(BEI)를 진행하였으며, 역량개발 및 HRD 전문가를 섭외하여 세 차례에 걸처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는 과정을 통해 역량초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2명의 관 련분야(창업, 소상공인, 심리·역량) 전문가를 섭외하여 3회에 걸친 델파이기법(Delphi Analysis)을 통해 재도전 소상공인의 성공적인 재 기에 도움이 되는 역량을 2개의 역량군(소상공인, 실패회복), 8개의 세부역량(사업기회포착, 사업기획, 사업차별화, 운영관리, 판로개척, 제 품과 서비스 연구개발, 긍정적 자기조절, 실패경험 극복 및 대처), 22개의 역량요소, 72개의 지식·기술·태도(KSA)가 표시된 행동지표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진행된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재도전 소상공인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구체화했다는데 학술적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재도전 소상공인 대상 역량기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지원 프로그램에 적합한 대상자 선별하는 등에서 활용될 수 있으 며 소상공인 스스로 사업 성공을 위해 역량을 진단하며 자기개발을 촉진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특화분야 기업형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 지역혁신센터(RIC)의 역할 (On the role of university-based regional innovation centers(RICs) for industry orient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locally focused industry)

  • 전용두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15-119
    • /
    • 2010
  • 지역혁신센터는 90년대 중반부터 시행된 지식경제부의 대표적인 지역산업진흥사업으로서 전국 대학에 약 120여 개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주로 지역의 중요 산업분야의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고가장비의 구축 및 운영을 통하여 장비활용, 기술개발지원, 인력양성과 같은 사업활동을 통하여 산업전반의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가차원의 공학분야 인력양성에 있어 가장 큰 화두가 되고 있는 현장적응력이 우수한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이와 같이 이미 국가적으로 각 분야에서 선별적으로 투자된 고가장비의 활용을 통한 인재양성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되며, 이에 지역혁신센터의 인프라를 토대로 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공주대학교 자동차 의장 및 편의부품 지역혁신센터 사업모델을 토대로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