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LB valu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1초

Methyl Methacrylate의 Emulsion Polymerization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 이형규;민태익
    • 대한화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1
    • /
    • 1968
  • With the selected emulsifiers for the emulsion 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the HLB of the emulsifier in the reaction system has been studied on the effect of the ratio of tetra sodium-N-(1,2-dicarboxy ethyl)-N-octadecyl sulfosuccinamate(Aerosol 22) to polyethylene glycol nonyl phenyl ether (Noigen EA 160), and also sodium lauryl sulfate(Quolac EX-UB), Disodium-N-octadecyl sulfosuccinamate (Aerosol 18) and Aerosol 22 as emulsifiers having various hydrophilic groups in the molecules have been studi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viscosity of the emulsions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s have maximum values at a constant HLB value of emulsifiers, but their stabilities show minimum point at the value with the titration with the three kinds of mono, bi, tri-valent electrolytes. These results are agreed on the theory of Greth & Wilson in which the properties of polymer emulsions depend upon the HLB system of emulsifiers. 2) The viscosity of the emulsions and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produced polymers increase more in the case of blending of Aerosol 22 to Noigen EA-160 than of the separate using. 3) The coagulation effects of the divalent electrolytes($ex,\;Ca^{++},\;Zn^{++}$) are contrast to the effects of monovalent($ex,\;Na^+$) and trivalent($ex,\;Al^{+++}$) in the emulsions with Aerosol 18 or Aerosol 22 which have more than two hydrophilic groups. It seems that the stability of the O/W emulsions by electrolyt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parameters of surface physical chemistry such as surface geometry of surface chemical constitution of polymer particles.

  • PDF

Tween-Span계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Coconut Oil 원료 O/W 유화액의 제조 :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Preparation of Coconut Oil in Water Emulsions Using Tween-Span Type Mixed Surfactant : Optimization of CCD-RSM)

  • 유봉호;주카이양;줘청량;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1권1호
    • /
    • pp.19-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coconut oil과 Tween-Span계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O/W 유화액을 제조하고 유화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화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이를 위해 최적화과정은 CCD-RSM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response surface methodology)를 이용하였다. 계량인자로는 HLB (hydrophile-lipophilie balance) value,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유화속도 등을 설정하였으며, 반응치로는 평균액적크기(MDS), 유화액의 유화안정도지수(ESI), 열적 불안정도지수(TII)를 설정하였다. CCD-RSM 분석결과 3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조건으로 HLB value (9.1),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8.7 wt.%), 유화속도(6,200.8 rpm)로 산출되었으며, CCD-RSM 분석예상값은 MDS (151.0 nm), 유화액의 ESI (99.86%), TII (3.17%)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의 실제실험 결과 오차율은 3.5% 이하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의 O/W 유화액 제조과정에 CCD-RSM 최적화 분석을 적용할 경우 비교적 높은 유의수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폴리글리세롤을 친수성기로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용액성 (Solution Properties of Polyglycerol Alkyl Ether Nonionic Surfactant)

  • 윤영균;남기대;강태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7-117
    • /
    • 1992
  • The synthesis and solution properties of polyglycerol alkyl ether($R_{12}Gn$) are described. The phase behavior, surface tension, cloud point and HLB value of polyglycerol dodecyl ether in aqueous solution and in mixed solution of surfactant /water /oil have been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values of polyoxyethylene dodecyl ether. The surface tension showed that $R_{12}Gn$ have sufficiently low values of surface tension and cmc to serve as useful polyoxyethylene alkyl ether. The mesophases appearing in the $R_{12}Gn$ systems were more stable in a high temperature range than the mesophases of polyoxyethylene alkyl ether systems. The cloud point and HLB data indicated that addition of one glycerol group was equivalent to the addition of three oxyethylene group units, as far as the hydrophilic property was concerned. The phase diagrams of the polyglycerol alkyl ether /dodecane /water systems showed that the solubilizing and emulsifying powers of $R_{12}Gn$ were greater than those of polyoxyethylene alkyl ether. It is concluded that the polyglycerol chain can be even more useful as hydrophilic group of nonionic surfactants than the polyoxyethylene chain.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구조가 카올린 토양에서 흡착 및 경유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drophobic Chain Structure of Nonionic Surfactanets on Surfactant Adsorption and Diesel Removal from Kaolin Soil)

  • 김종성;이기세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7-24
    • /
    • 1999
  • 토양오염 디이젤 제거에 대한 토양 세척기술의 적용을 위해 디이젤 제거효과가 좋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선택하기 위한 조건 중 소수성 사슬구조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CMC값이 낮고, 생분해성이 좋으며, 유기 오염물질에 대한 용해 능력이 커서 디이젤과 같은 NAPL류 제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구조 내 소수성 탄화수소 사슬의 길이와 불포화결합의 존재는 흡착과 디이젤 제거에 영향을 미치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kaolin토양흡착과 디이젤 제거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친수성기의 구조가 서로 동일한 계면활성제 중에서 소수성 탄화수소 사슬길이가 12개로 비교적 짧고 HLB값이 클 때 상대적으로 낮은 흡착평형농도와 높은 디이젤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소수성 사슬 내에 불포화 탄화수소가 존재할 때 낮은 흡착평형농도와 높은 디이젤 제거 효율을 나타냈다. 농도에 따른 제거경향은 흡착이 평형에 도달한 후에 최대의 제거 효율을 나타냈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제거효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 PDF

${\omega}-3$계 지방산의 미세캡슬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icroencapsulation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

  • 김철현;이경욱;백승천;곽해수;강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43-749
    • /
    • 1996
  • ${\omega}-3$계 지방산을 함유한 어유성분을 미세캡슐화하기위해 최적의 미세캡슐화 조건을 설정하였고 이에따라 분무된 미세캡슐의 열안정성과 보존성 및 효소에 의한 분해율 등을 실험하였다. Agar 1.5%와 gelatin 0.5%(w/w)를 첨가한 처리구의 수율이 97%로 가장 높았으며 유화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캡슐소재로 선정하였고, HLB값이 4.5인 SFAN 60을 0.5% (w/w) 첨가한 처리구가 가장 수율이 높게 나타나 캡슐소재에 적합한 유화제로 나타났으며, 캡슐소재와 어유의 최적 배합비율은 8 : 2 (w/w)로 나타났다. 정해진 조건에 따라 제조된 미세캡슐의 열안정성은 $40^{\circ}C$처리구에서는 높은 수율을 유지 하였으며, $80^{\circ}C$이상의 처리구에서는 수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고온에서의 열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존성에 있어 $4^{\circ}C$, $10^{\circ}C$의 냉장온도에서는 7일간 보존시에도 수율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20^{\circ}C$, $30^{\circ}C$의 상온에서는 장기간 보존시 수율이 80% 내외로 감소하였다. 또한 미세캡슐용액에 pepsin을 첨가하여 캡슐의 분해정도를 실험한 결과 $80.57{\%}$의 캡슐이 분해되어 섭취시 소화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현미유 유화 제조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process conditions for the emulsification of rice bran oi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백진우;이광연;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31-5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현미유 음료 가공과 관련하여 현미유 유화물을 제조하기 위해 가공적성을 높이고 저장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이를 위해 유상 대비 수상 비율과 유화제 첨가량, 균질 속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유화안정지수(ESI)를 반응값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2종의 유화제를 사용하였는데 HLB가 낮은 슈가에스터(HLB 3)와 수중 유적형 유화계 형성을 위한 HLB 10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터(PGE)를 선정하였다. 안정한 유화계를 형성하는 조건은 다양한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최적점에 도달할 때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반응 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유화물 형성에 관여하는 반응조건을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유화제 함량은 현미유 유화물 총량의 0.2 g%, 호모믹서 회전속도는 60℃에서 6,700 rpm, 현미유와 물의 비율은 1:1.3 일 때 ESI 예측치가 94.5%로 최대치를 나타냈으며, 실측값은 95.7%이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최적 조건에서 제조한 유화물의 분산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transmission 및 backscattering 값이 시간경과에 따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TSI global result는 0.7 미만으로 나타나 응집이나 상층부유 현상이 적어 분산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최적화 조건에서 제조된 현미유 유화물을 쌀 이용 음료에 사용한다면 고소한 풍미와 유지에 함유된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부여함으로써 기능적인 면에서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이러한 제품은 국내 쌀 소비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이용한 N-아실 글리신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Acyl Glycine Used Triglyceride)

  • 신혜린;박예원;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58-1065
    • /
    • 2017
  • 단백질 계면활성제로서의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친환경적인 화합물이다. 따라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차세대 계면활성제로 기대된다.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높은 생분해성, 낮은 독성 및 표면 활성 특성을 갖는다. 이 실험에서 아미노산 기반의 계면활성제인 cocoyl glycine은 코코넛 오일과 팜 오일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글리신에 의해 합성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표면 장력, 유화 특성, 거품 안정성 및 HLB 값을 측정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FT-IR에 의해 확인되었다. 희석된 계면활성제 수용액에서 코코넛 오일로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표면 장력은 $1.0{\times}10^{-4}mol/L$에서 31.2 dyne/cm 이었다. 희석된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에서 팜 오일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표면 장력은 $3.2{\times}10^{-5}mol/L$에서 42.1 dyne/cm 이었다. 기포 안정성은 시간 경과에 따라 기포 높이를 측정했다. 코코넛 오일로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초기 기포 높이는 14.5cm이고 5분 후 10.7cm였다. 팜 오일에 의해 합성 된 계면활성제의 초기 기포 높이는 3.0 cm이고, 5 분 후에 2.8 cm이다. 코코넛 오일로 합성한 계면 활성제의 기포 높이는 팜 오일로 합성한 계면 활성제보다 높았다. 그러나 팜 오일로 합성한 계면활성제의 기포 안정성은 코코넛 오일로 합성한 계면활성제보다 우수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유화 특성은 벤젠과 콩기름에서 관찰되며 유기 용매에서의 유화 성질이 콩기름에서보다 우수하다.

반응 결정화에 의한 실리카 미립자 합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he Silica Particles by the Reactive Crystallization)

  • 김준호;이창환;이철호
    • 공업화학
    • /
    • 제17권1호
    • /
    • pp.12-1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물유리에 의해 제조된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입도와 입도분포에 미치는 반응조건, 용매 및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실리카 미립자는 다양한 종류의 계면활성제와 분산용매를 사용하는 에멀젼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성인 Span 20, Span 40, Span 60 및 Span 80을 사용하였으며, 분산용매로는 알킬그룹인 n-Hexane, n-Heptane, iso-Octane 및 n-Decane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유화교반속도에 따른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일정한 입경의 에멀젼을 형성하기 위한 최적의 유화교반시간은 약 6 min임을 알 수 있었다. 생성된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사용된 용매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사용한 계면활성제의 hydrophobic lipophilic balance(HLB) 값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pH, 화학적 조성 및 첨가제가 두유(豆乳)의 현탁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 Chemical Composition and Additives on Stability of Soymilk Suspension)

  • 김은수;정성수;조재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9-324
    • /
    • 1990
  • 두유를 저장하고 유통하는 중에 크림층 분리와 침전물의 발생 등 현학안정성에 미치는 pH, 단백질과 유지함량, 유화제, 안정제, 당, 식염 및 칼슘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두유현탁액은 pH가 증가할수록 침전의 발생이 적어져 pH 10에서는 저장하는 동안에 침전이 전혀 생성되지 않았다. 각종 안정제 중 0.03%의 카라기난을 첨가시 안정성이 가장 좋았으며 팜유를 1.5% 첨가시 glycerine monostearate와 sorbitan monostearate 등의 HLB값은 $5{\sim}6$에서 안정효과가 컸다. 두유 중 지방 함량에 따라 점도변화는 크지 않았지만 크림층 분리가 현저하였고 대두유보다는 팜유를 첨가시 안정성이 더 떨어졌다. 설탕 첨가량은 3%까지 안정성에 큰 영향을 주지않았고 식염은 0.5%까지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안정성이 감소되었다. 각종 칼슘염 중에서는 모두 안정성을 저해하였지만 그 중에서 시트르산칼슘을 첨가시 안정성의 저해정도가 가장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