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IV감염

Search Result 23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항문성교가 HIV감염의 중요원인 중 하나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 RED RIBBON
    • /
    • s.63
    • /
    • pp.20-22
    • /
    • 2005
  • 항문외과에서 에이즈 감염을 의심해야 할 경우는 항문 성교에 의한 물리적인 병변 및 성병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와 에이즈에 의해 면역이 저하됨에 따라 나타나는 여러 가지 기회 질환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HIV 감염자 및 AIDS환자의 항문, 직장 병변은 면역 저하와 관련된 여러 종류의 드문 감염질환과 종양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고 2가지 이상의 질병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다. 많은 감염이 항문 성교를 받는 동성연애 남성에서 나타나지만 항문 성교의 과거력이 없는 이성 연애 남성 및 여성에게서도 생길 수 있다. 최근에는 이성간의 항문 성교가 HIV 감염의 중요한 원인 중 한가지로 강조되고 있다.

  • PDF

에이즈와 결핵

  • 대한결핵협회
    • 보건세계
    • /
    • v.46 no.11 s.519
    • /
    • pp.58-61
    • /
    • 1999
  • 국립보건원 자료에 의하면, 1999년 9월말 현재 확인된 우리나라의 HIV 총 감염자수는 1,014명(여자 13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1999년 1월부터 9월말까지 138명의 HIV감염자가 추가로 확인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27명의 감염자가 환자로 전환되었고 33명이 사망하였다. 최근 감염자 증가율이 높아진 것은 과거에 비해 개인건강관리차원의 자진 검사사례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HIV감염자의 발견이 증가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PDF

비교기과 질환과 에이즈

  • Kim, Jae-Seong
    • RED RIBBON
    • /
    • s.71
    • /
    • pp.12-13
    • /
    • 2006
  • 비뇨생식기 질환을 이야기 하려면 태생적으로 여성보다는 공격적이며 일방적이고 다양한 성을 추구하면서 자신 있어 하는 남성들을 얘기하는 것이 HIV감염의 남여 비율 9:1의 현 상황에서도 부합되는 이야기일 것이다. 첫째로는 특이한 일부 남성들의 잘못된 성의식과 성접촉 습관에 초점을 맞춰서 이야기 할까 한다. 두 번째는 HIV감염과 아주 밀접한 성병성 감염질환인 염증성 병변이나 궤양성 병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HIV/AIDS 감염인의 지각된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Lee, In Jeong;Rhee, Young S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4 no.3
    • /
    • pp.347-369
    • /
    • 2013
  • Quality of life for people living with HIV/AIDS is significant as it concerns the treatment process, survival rate, HIV/AIDS prevention and treatment as well. Prevalent prejudice in our society significantly lowers the quality of patient's life. There is a need for an intervention and the effort to eliminate the stigma in order to lessen the negative effects as well. However, there are very few researches that examine the quality of life when it comes to people living with HIV/AIDS; even less when it comes to research that examines the stigma tha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negatively. Therefore, this research seek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that seek to eliminate the stigma upon the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Research had been conducted with 102 people living with HIV/AIDS and the balancing effect of the social effort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a simple slope test.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ntrol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level and whether the patient has a job or not have significant effect and the stigma that the patient is aware of has significant negative effect. Soci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 in quality of life and that it has a moderating effect on stigma which in turn affects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results, social work related implications that were suggested are as follows; need for information and education as to better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living with HIV/AIDS and eliminate the social stigma and that group support program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which is needed for social support. Further research was advise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Factors Associated with Renal Dysfunction, Including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in Korean HIV-Infected Patients (HIV 감염 환자에서 고활성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을 포함한 신기능 장애 위험인자 연구)

  • Yeo, Jee-Young;Shin, Hyoung-Shik;Chin, Bum-Sik;Lee, Yu-Jeung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22 no.2
    • /
    • pp.95-102
    • /
    • 2012
  • HIV 치료를 위한 강력한 항바이러스 약물요법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 HIV에 감염된 상태에서 신장질환 발생 위험성을 지닌 채 오랜 기간 생존하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병 센터를 내원한 만18세 이상의 HIV 감염 환자를 대상으로 HIV 감염 환자에게 신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위험인자를 평가하고자 환자군 대조군 연구를 후향적으로 실시하였다. 2006년 1월부터 2011년 3월까지 5년 3개월 동안 신기능이 저하된 모든 HIV 감염 환자를 환자군으로 하며, 정상 신기능을 가진 HIV 감염 환자들 중 대조군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을 1:2의 비율로 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해 만성신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변수로 성별, 연령, CD4+ 세포수, 혈중 바이러스 수, HAART 56일 이상 여부, 당뇨병과 C형 간염을 선정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개별 antiretroviral 약물들 사용과 신기능이 얼마나 관련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약물과 eGFR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환자군은 CD4+ 세포수가 < $200{\times}10^6$ cells/l 인 군이 7.7배(OR: 7.7; 95% CI, 1.8-32.9) 단백뇨가 있는 환자의 경우 7.8배(OR: 7.8; 95% CI, 1.6-37.8) 더 유의하게 만성신질환 발생위험이 높았다. 개별 antiretroviral 약물들과 eGFR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lamivudine 이 eGFR 과 약한 음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 = -.211, p < .05), 다른 약물들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보이지 않았다. 이번 환자군-대조군 연구는 HIV 감염 환자들이 만성 신질환으로 발전하는데 여러 인자들의 역할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여러 변수들을 평가해 본 결과, 만성 신질환 환자들의 경우 CD4+ 세포수가 < $200{\times}10^6$ cells/l 이거나 단백뇨를 동반한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HIV 감염인의 법정장애 인정 타당성

  • Lee, Hun-Jae
    • RED RIBBON
    • /
    • s.79
    • /
    • pp.9-13
    • /
    • 2008
  • 이 글은 지난 2007년 본회 서울특별시지회가 실시한 연구용역 사업인 'HIV 감염인 지원강화를 위한 법정장애인정제도 타당성 조사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HIV 감염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지원체계의 강화는 전 세계 모든 국가들이 고민하고 있는 과제이다. 여기서는 한국사회에서 감염인 장애인정 제도 도임의 타당성에 대해 점검하고 있다.

  • PDF

The Comparison of Perceived Stress, Quality of Life between Patients with HIV Positive and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HIV감염자와 폐결핵환자 간의 스트레스지각과 삶의 질의 비교)

  • Lee, Sang-Hyuk;Koh, Kyung-Bong;Kim, June-Myung;Park, Sung-Hyouk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1 no.1
    • /
    • pp.15-24
    • /
    • 2003
  •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HIV infectio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normal controls. Methods: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and Symptom checklist 90-Revised(SCL-90-R) were used to measure perceived stress responses and psychopathology. Smithklein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was used to measure quality of life. Results: Patients with HIV infectio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scores of tension, anger, depression, fatigue and frustration subscale of the SRI than those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normal controls. Scores of the SCL-90-R, somatization,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subscale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HIV infection than those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normal controls. Patients with HIV infection scored significantly lower in quality of life than those with pulmonary tuberculosis. In patients with HIV infection, ag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cores of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subscale of the SCL-90-R. but the level of educ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subscale of the SCL-90-R.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HIV positive we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perceived stress response and psychopathology, and lower quality of life than those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normal controls.

  • PDF

결핵과 HIV감염

  • 최영화
    • 보건세계
    • /
    • v.47 no.1 s.521
    • /
    • pp.12-15
    • /
    • 2000
  • HIV 감염자가 병원에 입원하며 의사가 가장 먼저 생각하는 일은 어떤 기회감염으로 이런 증상을 갖게 되었을까 하는 것이다. 생각할 수 있는 병도 많고 생각해야 할 병도 많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 것이 결핵이 아닌가 한다. 우선 빈도면에서 비교적 흔하고, 임상증상도 정상인과 같지 않은 점이 많아서 혼돈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림프종을 생각할 만큼 크고 빠르게 자란 목의 덩어리도 조직검사를 하면 결핵성 림프절염인 경우가 있고 복강내 림프절이 커지거나 뇌막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결핵약으로 치료를 하는 경우에도 해열되는데 기간이 많이 필요하고 치료 도중에 약화되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발표된 보고에서도 서울대학교에서 발표한 173명의 환자들에서 가장 흔한 기회감염은 결핵이었다. 25$\%$의 환자에서 결핵이 발생하였으며, 환자 100명당 1년 동안의 결핵 발생률은 9.6이었다. 면역부전이 진행할수록 이 빈도는 증가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HIV감염자를 관리, 치료하는 경우에는 결핵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한데 얼마전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HIV감염자에서의 결핵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자료가 있어 이를 정리하였다. 여러모로 도움이 되는 내용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약제에 한계가 있고 BCG예방접종을 하기 때문에 피부반응 검사로 결핵발생을 예측하기도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면 모든 내용이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 PDF

HIV감염인에게 피부질환은 심하게 나타나

  • 이꽃실
    • RED RIBBON
    • /
    • s.54
    • /
    • pp.8-9
    • /
    • 2003
  • HIV감염인에게 나타나는 피부질환은 비감염인에 비해 비전형적이고 심한 양상을 보인다. 피부질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면역기능의 저하를 가능한 막아야 하며, 전문가의 정기적인 진찰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