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 titer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뉴캣슬병 면역에 대한 검토 I. 뉴캣슬병 유행지역에서의 계군면역에 대한 실태조사 (Studies on the Immunization Against New-castle Disease I. A Survey on the Immune Status of Poultry Flocks Againt New-castle Disease in the Epizootic Area)

  • 이학철;정우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24
    • /
    • 1981
  • 우리나라 뉴캣슬병 (ND) 면역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명확한 예방접종지침을 제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우선 ND 유행이 극심하였던 지역의 일반양계농장에서 사육되는 건강면역군의 예방접종경력과 혈구응집억제항체가(HI 가)를 조사하여 야외에서 실시된 ND예방접종결과에 따르는 면역효과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동일지역 내에서 ND발생계군과 비발생계군에 대한 예방접종경력과 발생계군의 피해상황을 조사함으로서 야외에서 실시한 ND예방약의 응용방법과 본병발생과의 관계를 조사한 추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D 유행지역에서 조사한 26건강면역계군의 예방접종경력은 각양계농장 임의대로의 예방접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22계군은 LV와 LV병용. 잔여 4계군은 KV단용에 의해서 각각 면역되었다. 이들의 HI가는 일반적으로 전자가 높았고 후자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평균치는 각각 146. 50이었다. 그리고 전자의 22계군 중 특히 낮은 역치(10, 23)를 보였던 그계군은 추후 ND발생을 보았으나 잔여 20계군 및 KV 단용 4계군은 모두 무사히 경과하였다. 2. ND유행지역에서 조사한 ND발생14계군의 예방접종경영은 무접종이 1계군이고 잔여 13계군은 각양계농장 임의대로의 접종프로그램에 따라서 LV단용이 8계군, LV와 KV병용이 5계군이었다. 폐사율에 있어서 후자는 5.1%인데 반하여 전자는 32.5%의 피해 즉 후자에 비하여 6.28배의 월등히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한편 ND비발생 4계군은 LV와 KV병용 혹은 KV단용 예방접종프로그램에 의해서 면역되었으며 LV단용계군은 1예도 없었다. 3. 야외에서 조사한 면역계군들의 LV응용은 거의가 ND면역상 불리하다고 보여지는 음수 투여에 의해서 면역되었으며 극히 소수예가 비질내적하 혹은 일정 희척 LV병독액 속에 파면역추의 입, 코, 눈까지 침지하는 특이한 방법으로 면역되었다.

  • PDF

일본중부(日本中部)와 남부(南部)의 우(牛)에서 일본뇌염감염(日本腦炎感染)에 관한 역학적(疫學的) 연구(硏究)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fection in cattle: comparison of antibody distribution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Japan)

  • 사카이 타케오;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4
    • /
    • 1989
  • 1982년(年)부터 1984년도(年度)까지 3년간(年間)에 걸처, 일본내(日本內) 중부(中部) Saitama현(縣)의 우(牛) 1,306두(頭)와 남부(南部)의 Kagoshima현(縣)의 우(牛) 536두(頭)를 대상(對象)으로 하여 일본뇌염(日本腦炎)바이라스 (JEV)의 적혈구응집억제(赤血球凝集抑制) (HI) 항체양성율(抗體陽性率)을 검사(檢査)한 바, Kagoshima현(縣)에선 68.8% 그리고 Saitama 현(縣)에서는 65.5%가 양성(陽性)이었다. 계절별(季節別)로는 양지역(兩地域)이 공(供)히 하절(夏節)에 항체양성율(抗體陽性率)이 높았고, 연령별(年齡別) 양성율(陽性率)은 Saitama 현(縣)의 경우 64.0%부터 82.8%까지 분포(分布)하고, Kagoshima현(縣)의 우(牛)는 1세군(歲群)에서 29.4%, 2세군(歲群)에선 50.0%, 3세군(歲群)에선 47.4% 그리고 4세군(歲群)에선 74.5%의 양성율(陽性率)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양지역(兩地域)의 연령(年齡)과 항체력가간(抗體力價間)에는 상관성(相關性)이 없었고, Saitama현(縣) 우(牛)의 역가(力價)는 연령(年齡)에 따라 15.3~22.5, Kagoshima 현우(縣牛)은 20.0~32.3이었다.

  • PDF

한우초유중 Ig의 분리 ${\cdot}$ 정제 및 면역 반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paration of Immunoglobulin and Immunological Response from Korean Native Cattle)

  • 백승천;김용휘;신제호;유제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9
    • /
    • 1997
  • 본 실험에서는 한우초유를 33% ammonium sulfate 포화용액으로 처리하여 조면역글로블린을 얻은 후 gel filtration, ion-exchange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조면역글로블린의 분리 정도를 조사하고 affinity chromatography column을 이용하여 조면역글로블린으로 부터 Ig G의 결합정도를 알아보고 Protein G Sepharose fast flow system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대량으로 Ig G의 분리를 꾀하여 얻어진 Ig G를 이용하여 ELISA방법으로 항체 생성유무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PLC상에서 Superose 12 column을 이 용하여 한우초유의 조면역글로블린을 분리한 결과 Holstein초유의 조면역글로블린과 유사한 분리정도를 나타냈지만 약 84%의 Ig G를 한우초유의 조면역글로블린으로 부터 분리할 수 있었다. 2. Mono Q를 이용하여 HPLC에서 한우초유의 조면역글로블린을 gel filtration방법보다 짧은 시간에 분리할 수 있었지만 그다지 분리 정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Hi-trap protein G column이 protein A sepharose CL-4B column보다 더 많은 양의 Ig G를 한우초유의 조면역글로블린으로 부터 얻을 수가 있었다. 4. Protein G Sepharose fast flow system을 이용하여 20mg의 sample양을 주입하여도 충분히 Ig G를 분리할 수 있었으며, ml 당 약 1.25mg의 Ig G를 얻을 수가 있었다. 5. ELISA방법을 이용하여 한우초유의 Ig G에 대한 항체 생성 유무를 측정한 결과, 면역화된 토끼에서 정상 토끼의 혈청에서보다 titer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항체생성이 확인되었다.

  • PDF

Newcastle Virus (B1 Strain)에 대(對)한 항체형성(抗體形成)에 미치는 닭의 Fabricius' Bursa의 영향(影響) (EFFECT OF THE BURSA OF FABRICIUS OF CHICKEN ON ANTIBODY FORMATION AGAINST NEWCASTLE DISEASE VIRUS(B1 Strain))

  • 조병률;정창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1-54
    • /
    • 1962
  • Chang et al. 및 Glick 등은 어린 닭에있어 Fabricius' Bursa가 면역항체형성(免疫抗體形成)에 영향(影響)를 미치는것을 관찰보고(觀察報告)한바있다. 즉(卽) S.typhimurium antigen 또는 양적혈구(羊赤血球)를 주사(注射)하였을경우 Fabricius' Bursa를 적출(摘出)한 어린 닭에 있어서는 면역항체형성(免疫抗體形成)의 감소(減少)를 보았다고 하며 또한 Bursectany를 한 닭에 있어서는 S.typhimurium 주사(注射)로 인(因)한 폐사율(斃死率)이 보다 높았다고 한다. 이러한 Fabricius' Bursa의 영향(影響)은 부화후(孵化後) 처음 몇주(週)에 있어 가장 현저(顯著)하며 닭의 성장(成長)과 덥으로 점차 감소(減少)됨을 보고(報告)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연구(硏究)에는 그의 본질(本質)이 같은 세포성(細胞性)인 항원(抗原)만이 사용(使用)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접종방법(接種方法)도 근육내(筋肉內) 및 정맥내(靜脈內)의 두 방법(方法)에 한(限)하였다. 면역항체(免疫抗體)를 형성(形成)하는 여러 기관조직(器官組織)의 항체형성(抗體形成)에의 비율적관여(比率的關與)는 항원(抗原)의 본질(本質) 그의 접종방법(接種方法)등에 따라 다르므로 여기에 필자(筆者)들은 Virus 항원(抗原)인 Newcastle Virus ($B_1$ strain)를 경비적(經鼻的)으로 접종(接種)하였을 경우의 Fabricius' Bursa의 항체(抗體) 형성(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연구(硏究)하였다. 부화후(孵化後) 3주(週)되는 Leghorn종(種)의 어린 닭의 Fabricius' Bursa를 적출(摘出)하고 1주일후(週日後)에 Newcastle Virus ($B_1$ strain)를 경비적(經鼻的)으로 접종(接種)하였던 바 HI반응(反應)에 의(依)한 그의 혈청역가(血淸力價)(serum titer)는 정상(v)Control group의 그것에 비(比)하여 통계학적(統計學的)으로 의의(意義)있는 차(差)가 없음을(P>0.1) 보았다.

  • PDF

Evaluation for Serological Patterns and Fecal Viral Shedding by Hemagglutination Inhibition Test and Real-time PCR in Korean CPV-2 isolates

  • Moon, Hyeong-Sun;Lee, Joon-Seok;Nam, So-Jeong;Yoon, Soon-Seek;Kang, Moon-Il;Jeoung, Seok-Yong;Kim, Doo;Hyun, Chang-Bai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35-439
    • /
    • 2008
  • We evaluated the patterns of serology and fecal viral shedding for any differences by hemagglutination inhibition (HI) and real-time PCR on Korean CPV-2 isolates (CPV-2a-I, CPV-2a-V and CPV-2b). We successfully detected fecal viral shedding from samples extracted 2-3 d.p.i., regardless of the onset of clinical signs. In addition, the pattern of viral shedding differed depending on the CPV-2 isolates used for inoculation. We also observed differences in the serological pattern that was also depended on the CPV-2 isolates inoculated. The onset and amount of fecal viral shedding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antibody titers in this study. Our study is a valuable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t pathobiology of the CPV-2 isolat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terns of serum antibody titer and fecal viral shedding.

Efficacy of genotype-matched Newcastle disease virus vaccine formulated in carboxymethyl sago starch acid hydrogel in chickens vaccinated via different routes

  • Mahamud, Siti Nor Azizah;Bello, Muhammad Bashir;Ideris, Aini;Omar, Abdul Rahma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4호
    • /
    • pp.25.1-25.14
    • /
    • 2022
  • Backgrou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Newcastle disease (ND) vaccines were developed based on Newcastle disease virus (NDV) isolates genetically divergent from field strains that can only prevent clinical disease, not shedding of virulent heterologous virus, highlighting the need to develop genotype-matched vaccines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the NDV genotype-matched vaccine, mIBS025 strain formulated in standard vaccine stabilizer, and in carboxymethyl sago starch-acid hydrogel (CMSS-AH) following vaccination via an eye drop (ED) and drinking water (DW). Methods: A challenge virus was prepared from a recent NDV isolated from ND vaccinated flock. Groups of specific-pathogen-free chickens were vaccinated with mIBS025 vaccine strain prepared in a standard vaccine stabilizer and CMSS-AH via ED and DW and then challenged with the UPM/NDV/IBS362/2016 strain. Results: Chickens vaccinated with CMSS-AH mIBS025 ED (group 2) developed the earliest and highest Hemagglutination Inhibition (HI) NDV antibody titer (8log2) followed by standard mIBS025 ED (group 3) (7log2) both conferred complete protection and drastically reduced virus shedding. By contrast, chickens vaccinated with standard mIBS025 DW (group 5) and CMSS-AH mIBS025 DW (group 4) developed low HI NDV antibody titers of 4log2 and 3log2, respectively, which correspondingly conferred only 50% and 60% protection and continuously shed the virulent virus via the oropharyngeal and cloacal routes until the end of the study at 14 dpc. Conclusions: The efficacy of mIBS025 vaccines prepared in a standard vaccine stabilizer or CMSS-AH was affected by the vaccination routes. The groups vaccinated via ED had better protective immunity than those vaccinated via DW.

돼지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H3 국내 분리주에 대한 혈청학적 역학조사 (Sero-prevalence against a H3 subtype isolate of swine influenza virus)

  • 김종란;이재영;송대섭;오진식;박봉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23-529
    • /
    • 2002
  • A Total of 703 swine sera from 55 swine farrns (Mar. 1998 through Feb. 2001) were nation-wide collected for the presence of the antibody to influenza A virus H3 subtype isolate. The presence of antibody was tested by hernagglutination inhibition with chicken red blood cells and seropositiveness was determined by HI titer ${\geq}1$: 40. Sero-prevalence was evaluated based on year, season, region and age, respectively. In consequence, there were seme differences by year, season and region, respectively. High susceptibility was routinely observed in 60 and 90 day-old piglet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sero-prevalence to swine influenza virus H3 subtype isolate is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swine influenza in Korea.

Immunization of broiler chicks deprived food and water with live Newcastle disease vaccine(LaSota strain) by drinking water

  • Kwak, Kil-Han;Seo, Suk-Yul;Park, In-Bang;Ryu, Kyeong-Seon;Song, Hee-J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9-382
    • /
    • 2001
  • To confirm the effect of food and water deprivation prior to Newcastle disease(ND) virus vaccination, three hundred chick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ith three replications. ND vaccine were sprayed to at 1 -day old chicks at commercial hatchery. Secondary and third vaccination was conducted at 2-week old and 24-day old chicks by LaSota strain. Control was conventionally vaccinated without withdrawing the food and water before or after vaccination. In group 2(G2) and 3(G3), LaSota strain was vaccinated to chicks before and after fasting the food and water for 3 and 2 hours, respectively. Group 4(G4) has the same fasting time of group 2, but supplemented the skim milk in vaccin dilution water. In group 5(G5), skim milk was added into group 3.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were weekly measured for 5 weeks. Blood was collected from wing vein at 24 and 35 days of age. Each serum antibody level were measured by hemagglutination inhibition(HI) test. The average weight gai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of al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eight gain of each groups was 1910.30(control), 1875.28(G2), 1952.12(G4) and 1896.05(G5), respectively. Feed intake of all group was recorded at 3160.67(control), 3167.07(G2), 3189.48(G3), 3157.85(G4) and 3178.16(G5), respectively. The feed conversion of each groups was 1.655(control), 1.688(G2), 1.633(G3), 1.699(G4) and 1.676(G5), respectively. The HI titer of G4 was $ 5.50{\Pm}$1.40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p<0.05)(control : $4.36{\Pm}$1.87 , G2 : $5.18{\Pm}$2.14, G3 : $4.51{\Pm}$2.19, G : $5.28{\Pm}$1.58 at 35 days ol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two or three hours of fasting time before or after vaccination would be able to show the higher antibody level against ND virus.

  • PDF

일본뇌염 백신 접종후 항 일본뇌염 항체의 생성율과 지속적인 면역반응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Duration of Immunity and Production of Antibody following Immunization with Inactivated Kill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 조해월;남재환;이호동;고현철;김정제;김은정;이연승;유정자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1호
    • /
    • pp.116-125
    • /
    • 1997
  • 목 적 : 국내에서 사용되고 일본뇌염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야외 실험을 실시하여 국내 백신 제조에 사용되는 Nakayama-NIH주의 국내 접종자에 대한 항체 생성율 및 중화 항체의 지속율을 조사하고, 일본뇌염 접종 스케줄의 재조정 및 국내 면역 집단의 민감도 조사 등을 통하여 방역 대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일본뇌염 백신의 면역효과 및 항체지속 기간을 알아보고자 1994년부터 계속 사업으로 강화군에 소재하고 있는 K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혈액을 시기에 따라 채혈하여 hemagglutination inhibition test (HI) 및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PRNT)를 실시하여 항체가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총 조사 대상자 213명은 이미 기초 접종이 끝난 자들로서 HI 항체가는 '95년 4월 백신 면역전에 이미 63.4%가 1:10 이상의 항체가를 가지고 있었으며 중화항체가는 전원이 1:20 이상의 항체가를 가지고 있었다. '95년 백신 접종 후 12개월이 지난 1996년 4월까지 HI 항체가 1:20 이상이 55.7%이며, 중화항체가는 전원이 1:20 이상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1996년 4월에 재접종 후 6개월째에는 HI 항체가가 1:10 이상이 69.7%로 증가하였고 G.M.T값은 1:11.6에서 1:13.23, 중화 항체의 G.M.T는 1:275.7에서 1:348.1로 증가하였다. 결 론 :위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사용중인 불활화 일본뇌염 백신은 자연계 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공격하는 $10^5$ $LD_{50}$를 막을 수 있는 중화항체가 1:20을 기본면역 1회로 1년 이상 유지하고 있었으며, 충분한 boosting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뇌염 백신의 추가면역은 기본접종후 개인의 상태에 따라 2~3년 간격의 추가접종이 적절하다 고 생각된다.

  • PDF

면역저하환자에서 인플루엔자백신의 면역원성 평가 (Assessment of Influenza Vaccine Immunogenicity in Immunocompromized Host During 2009 Influenza Season: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 김동환;송봉섭;이준아;김동호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12
  • 목 적 : 인플루엔자는 소아암 환자에게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나 소아암 환자에 대한 예방 접종률은 낮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암 환자를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면역원성과 부작용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9년 10월부터 12월까지 원자력의학원에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SK influenza IX vaccine$^{(R)}$)을 받은 25명의 소아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했다. 예방접종일과 접종 후 30일 뒤 2회에 걸쳐 채혈하였고 혈구응집억제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백신의 면역원성은 접종 전과 접종 후 30일의 혈구응집억제 항체가 1:40 이상인 피험자 비율, 접종 후 30일의 항체 양전율, 접종 전과 접종 후 30일 사이의 GMT 증가 배수로 평가하였다. 결 과 : 본 연구대상자 중에서 심각한 예방접종관련 부작용을 경험한 대상자는 없었다. 접종 후 혈구응집억제 항체가 1:40 이상을 보인 피험자의 비율은 H1N1 항원에 대해 68%, H3N2 항원에 대해 40%, B 항원에 대해 36%였다. 항체양전율은 H1N1 항원에 대해 12%, H3N2 항원에 대해 16%, B 항원에 대해 20%였다. GMT 증가 배수는 H1N1 항원에 대해 0.9, H3N2 항원에 대해 1.2, B 항원에 대해 1.8이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해 제한적인 면역반응을 보였으나 일부 대상자들에게서 항체 양전이 나타났고 심각한 예방접종관련 부작용이 없었던 점을 고려할 때 소아암환자를 대상으로 매년 정기적인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이 추천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