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C-HMS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nundation Results Survey and Flood Hazardmap Mapping of the Jisuk Stream Basin (지석천유역 침수실적 조사 및 침수예상지도 작성)

  • Park, Sung-Chun;Roh, Kyong-Bum;Lee, Yong-Hee;Yang,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7-301
    • /
    • 2011
  • 최근에는 전 지구적으로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과거와는 달리 예측하기 어려운 집중호우와 돌발강우에 따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상 강우현상에 의해 하천 및 주변의 내 외수의 수위 상승을 야기하며, 이로인해 제내지의 침수 위험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실정이다. 특히, 내수침수의 경우는 외수에 따른 범람보다는 내수배제 불량에 따른 침수 빈도와 범위가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에 대한 대비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내수침수에 의한 국민의 재산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침수피해 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파악 관리하여야 하며, 지역의 주민에게도 지역의 특성을 주지시켜야 한다. 이와 함께 침수 발생시 피해 최소화를 위한 피난 경로와 피난 장소 등을 상세히 제공하여 신속한 재난 대처와 함께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침수예상지도는 태풍이나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 발생시 제방의 월류 및 붕괴, 내수배제 불량 등으로 인한 예상 침수지역을 강우빈도별로 나타내고, 침수면적과 깊이를 표현한 지도로서 방재형 국토관리의 정책결정과 침수 피해에 대한 대민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홍수에 의한 피해가 나날이 커지고 국토의 개발에 따른 자연 재해가 많아짐에 따라 홍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침수예상지도의 제작 및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석천 유역의 태풍 및 집중호우에 의한 과거 침수실적을 조사하여 침수실적도를 작성하 였으며, 내 배수 불량에 따른 홍수빈도, 강우빈도별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1차원 수리 수문 모델인 미 공병단의 HEC-HMS, HEC-RAS 모델과 내 배수 영향 검토를 위해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개발된 GAT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렇게 계산된 연구 대상지역의 침수심과 침수면적을 GIS를 이용하여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 PDF

Effects of Agricultural Reservoir Rehabilitation on their Flood Control Capacities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 Jun, Sang Min;Kang, Moon Seong;Song, Inhong;Hwang, Soon Ho;Kim, Kyeung;Park, Ji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5 no.6
    • /
    • pp.57-68
    • /
    • 2013
  • About 74 % of reservoirs in Korea are older than 40 years and their storage capacities have been decreased substantially. As part of reservoir reinforcement, the dam heightening project has been ongoing for about 110 reservoirs. The main purpose of the dam heightening project is to secure additional environmental water, while improving flood control capacity by gaining additional storage volu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servoir flood control capacity changes of dam heightening reservoir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additional storage volume. In this study, 13 reservoirs were selected for reservoir simulation of 200 year return period floods. Rainfall data of 1981-2100 were collected and divided into 4 periods (1981-2010; 1995s, 2011-2040; 2025s, 2041-2070; 2055s, 2071-2100; 2085s). Probability rainfalls and 200yr design floods of each period were calculated using FARD2006 and HEC-HMS. Design floods were used as inputs of each reservoir simulation using HEC-5. Overall, future probability rainfalls and design floods tend to increase above the past 1995s. Control ratio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flood control capacities of reservoirs. As a result, average flood control ratios were increased from 32.6 % to 44.2 % after dam heightening. Control ratios were increased by 12.7 % (1995s), 12.4 % (2025s), 10.3 % (2055s) and 10.9 % (2085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reservoir management structure in the future.

Determination of Appropriate Flood Reduction Alternative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Gyeongan Watershed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경안천 유역의 적정 홍수저감 대안 선정)

  • Han, Dae-Gun;Choi, Chang-Hyun;Jang, Hong-Suk;Choi, Young-Joo;Kim, Duck-Hwa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87-289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극한 강우사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유역 내 불 투수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기후 변화를 고려한 미래 하천범람 등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홍수저감 대안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목표기간별로(기준년도 : 1971~2010년, 목표기간 I : 2011~2040년, 목표기간 II : 2041~2070년, 목표기간 III : 2071~2100년) HEC-HMS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배수펌프(A~E)와 저류지(A~E)를 홍수저감 대안으로 설정하여 HEC-RAS모형을 통해 대안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지형자료 및 홍수위를 이용하여 홍수범람도를 도시하였으며, 다차원 홍수피해액산정법(Multi dimension - Flood Damage Analysis, MD-FDA)을 이용하여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대안별 경제성분석을 실시하였다.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배수펌프를 설치했을 경우 홍수위는 최소0.06m, 최대0.44m 감소하였고, 저류지는 최소0.01m, 최대1.86m 감소하였으며, 침수면적은 최소 0.3%, 최대 32.64%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제성분석을 실시하여 대안별 편익 비용비를 비교한 결과 목표기간I에서는 저류지 E, 목표기간II, 목표기간III에서는 배수펌프D가 기후변화를 적응을 위해 타당한 홍수저감 대안으로 판단되었다.

  • PDF

Analysis of inundation map considering sea level in coastal city and detailed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해수위를 고려한 연안지역 홍수피해 침수예상도 작성 및 상세홍수취약성 분석)

  • Choi, So Hyun;Kim, Young Jun;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88-288
    • /
    • 2019
  •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수면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안인근 지역은 복합원인에 의한 홍수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반도 지형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라 침수피해 발생 시 피해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복합원인에 의한 침수예상도는 해수위를 고려한 내외수 침수피해 발생 시 침수의 범위 및 양상을 예측한다. 먼저 침수발생 시 피해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연안인근의 도심지역을 위주로 대상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침수발생 원인별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침수예상도를 바탕으로 상세 홍수취약성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요 시설물의 위치 선정, 관거 개량의 우선순위 선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도상조사를 통해 침수발생 후보지역을 선정하고, 현장답사를 통해 현장 변경사항, 재해원인 및 재해발생가능성을 검토하여 대상지역으로 여수시 연등천 인근을 선정하였다. 모의 방법으로는 HEC-HMS 및 XP-SWMM 등 강우-유출 모형에 의해 침수해석을 실시하고, 하류단 경계조건의 변화에 따른 기점수위를 산정하여 해수위를 고려하였다. 하류단 경계조건으로는 대상지역의 폭풍해일에 의한 해수위 상승고를 적용하였다. 배수토구가 하천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해당 하천의 홍수위 산정이 필요하며 홍수위 산정에는 HEC-RAS 모형을 사용하였다. 작성된 침수예상도를 통해 상세 홍수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세 홍수취약성 지수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연안도시지역별 복합원인의 홍수 취약성 평가기술 개발 및 대응방안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를 기반으로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 모형의 하류단 경계조건 변화를 통해 해수위 상승을 고려하여 연안도시 지역의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으며, 침수발생 예상도를 통해 상세 홍수취약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침수발생에 따른 대피지도 개발, 주요 시설물의 계획, 침수피해 예방을 위한 구조적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Modeling for Debris Flow Behavior on Expressway Using FLO-2D (FLO-2D를 이용한 고속도로에서의 토석류 거동 모델링)

  • Lim, Jae-Tae;Kim, Byunghy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2
    • /
    • pp.263-272
    • /
    • 2019
  • This study demonstr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FLO-2D for the influence analysis of the debris flow on expressway. To do this, the behavior of debris flow on the expressway was reproduced by applying the FLO-2D to actual generated debris flow. The study area is a part of the Deokyusan Service Area on the Daejon-Jinju Expressway, where traffic was blocked for 24 hours due to the debris flow in August 2005. Geographical analysis with GIS, hydrological analysis with HEC-HMS, and estimation of the amount of debris flow were carried out using field survey and soil property test data. Then, the optimum parameter combination of FLO-2D was selected through the parameter sensitivity analysis, and the behavior analysis of debris flow on expressway was applied. The comparison of the predictions with the observations shows the availability of FLO-2D for the behavior analysis of debris flow on the expressway.

Aquifer bottom estimation study applicable to hydrological model (수문학적 분포형 모형에 적용 가능한 대수층 깊이 추정 연구)

  • Yoon, Tae Hee;Jang, Suk Hwan;Shin, Jae Whan;Seol, Se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2-322
    • /
    • 2022
  • 유역 모형은 강우가 유출에 이르는 과정을 수문학적으로 재현해낼 수 있는 도구이다. 초기의 모형은 간단한 수준에서 유출과정을 모의하는데 그쳤으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유역 모형에 적용되는 매개변수의 수가 점차 늘어나게 되며 이론적 신뢰성과 복잡성을 동시에 갖게 되었다. 유역 모형은 집중형 모형과 분포형 모형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기존에는 저류 함수법을 근간으로 하는 개념 기반의 HEC-HMS HEC-RAS 등과 같은 집중형 모형을 널리 사용한 반면, 점차 격자 기반에서 물리적 계산을 통해 유출 과정을 모의할 수 있는 GSSHA, Vflo, SWAT과 같은 분포형 모형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집중형 모형은 관측자료를 통해 산정된 경험식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 분포형 모형의 경우 각 격자가 가지고 있는 시·공간적 매개변수를 통해 물리적으로 유출과정을 계산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기에 유리하며, 미계측 유역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지하수는 유역 모형의 댜양한 매개변수들 중 지표면 유출량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경험식에 의존한 집중형 모형이 주를 이루고 있는 국내에서는 분포형 모형에 적용가능한 매개변수 최적화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유역 모형의 침투모의 과정에 관여하는 공간 매개변수 중 밀접한 연관을 띠고 있는 대수층 깊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여러 공간매개변수 중 침투능과 관계가 깊은 대수층 깊이에 대해 가장 적합한 매개변수 값을 도출해 내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분석은 국내 자연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유역 모형에 일반적인 수준으로 적용할수 있는 범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포형 유역 모형에서 하나의 매개변수인 대수층 깊이의 정량화에 기여되기를 바란다.

  • PDF

Development of river flood prediction method utilizing water stage-discharge hysteresis (하천 이력현상 활용 하천 홍수예측 기법 개발)

  • Kim, Kyungdong;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19
    • /
    • 2022
  • 하천에 발생하는 홍수를 예측하는 과정은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HEC-HMS 와 같은 강우-유출 모형을 사용하여 산정한 하천의 강우빈도별 설계홍수량으로부터 HEC-RAS와 같은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위를 산정하는 방법을 주로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강우 강도를 통하여 하천에 발생하는 빈도별 유량으로 간접적으로 홍수위를 산정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홍수위 또는 홍수 발생시간을 정확하게 알기 힘들다. 하지만, 최근 하천의 홍수파 또는 배수영향으로 인한 이력현상으로 하천의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량자료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수위관측소에 H-ADCP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자동유량측정장치를 설치, 운영하여 실시간으로 유량자료를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유량측정장치에서 측정하는 유량자료는 H-ADCP에서 지표유속으로부터 유량자료를 산정하는데, 홍수파 또는 배수영향으로 지표유속, 유량, 수위의 수문곡선에 발생하는 이력현상을 관측 가능하다. 관측된 수문곡선의 이력현상은 유속, 유량, 수위 순으로 첨두의 발생시간이 나타나는데, 유속의 첨두 발생시간과 수위의 첨두 발생시간은 수문곡선의 형태 또는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강우-유출 모의에 의존한 홍수예보기법을 보완하여 더 정확한 홍수위, 홍수 발생시간을 예측하고, 홍수예경보 시스템에 정량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천에 발생하는 수문곡선의 첨두유속과, 첨두수위의 발생시간, 규모를 분석하여 둘의 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대상유역으로 이력현상이 발생하는 영산강유역에 위치한 남평교, 나주대교 두 지점을 선정하고 자동유량관측소 관측자료인 지표유속, 수위자료를 취득한다. 취득한 자료로부터 지표유속의 첨두 값과, 수위의 첨두 값, 지표유속의 첨두지점으로부터 수위의첨두지점 까지 발생하는 시간을 홍수 사상별로 정리하여 첨두유속-첨두수위, 첨두유속-첨두수위발생시간의 관계그래프를 산정하였다. 남평교의 경우 유속-수위의 이력범위는 거의 없었다. 나주대교의 경우 유속-수위 이력범위가 현저히 나타나 관계를 분석하기 용이 하였다. 하천에 이력현상이 현저히 나타나는 경우 첨두유속-첨두수위, 첨두유속-첨두수위발생시간의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천의 홍수예경보 판단의 정량적 기준을 제안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Flood Reduction Alternatives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in Gyeongan Watershed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경안천 유역의 홍수저감 대안 선정)

  • Han, Daegun;Choi, Changhyun;Kim, Duckhwan;Jung, Jaewon;Kim, Jungwook;Kim, Soo J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2
    • /
    • pp.154-165
    • /
    • 2016
  • Recently, the frequency of extreme rainfall event has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and impermeable area also has increased due to rapid urbanization. Therefore, we ought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flood reduction to reduce the damage. To consider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based rainfall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imed period(reference : 1971~2010, Target period I : 2011~2040, Target period II : 2041~2070, Target period III : 2071~2100) and the flood discharge was also calculated by climate change using HEC-HMS model. Also, the flood elevation was calculated by each alternative through HEC-RAS model, setting 5 sizes of drainage pumps and reservoirs respectively. The flood map was constructed using topographical data and flood elevation, and the economic analysis was conducted for reduction of flood damage using Multi dimension - Flood Damage Analysis, MD-FD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flood control effect, a head of drainage pump was reduced by 0.06m up to 0.44m while it was reduced by 0.01m up to 1.86m in the case of a detention pond. The flooded area shrunk by up to 32.64% from 0.3% and inundation depth also dropped. As a result of a comparison of the Benefit/Cost index estimated by the economic analysis, detention pond E in period I and pump D in period II and III were deemed appropriate as an alternative for climate chang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good practices when implementing the flood control works considering climate change.

Evaluation of Flood Runoff Hydrographs by Selection the Estimation Method for Time of Concentration (도달시간 산정기법의 선정에 따른 홍수유출 수문곡선의 평가)

  • Kim, Ki-Dong;Choi, Hyun-I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75-137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의 홍수유출을 계산하는데 있어 입력인자로 사용되는 도달시간과 저류상수 등을 산정하는 데 있어 사용되는 경험식들의 조합에 따른 도달시간을 구하고 홍수유출량의 변화양상과 도달시간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RIEND 대표유역인 금호강 유역에 대해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여기서, 각 소유역에 대한 도달시간 산정은 단일 도달시간 공식의 적용과 도달시간을 유입시간과 유하시간의 합으로 고려한 적용으로 크게 구분하였으며, 도달시간 및 유입시간 산정에는 Kirpich, Kerby, Kraven, Rziha, Friend 및 Bransby 공식을 적용하였고 유하시간 산정은 SCS 평균유속법을 적용하였다. 국내의 경우 도달시간의 산정은 자연하천유역과 도시하천유역으로 크게 구분하고 있으며, 유입시간 및 유하시간 등으로 구분하지 않고 자연하천유역과 도시하천유역에 적합한 도달시간 산정에 대한 경험식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도달시간의 산정기법은 외국의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된 경험공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각 경험공식의 제한사항 및 검토결과 등을 감안하여 해당유역에 적절한 공식을 수자원 기술자의 판단을 통해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am Failure and Unsteady Flow Analysis through Yeoncheon Dam Case(I) -Analysis of Dam Failure Time and Duration by Failure Scenarios and Unsteady Flow - (연천댐 사례를 통한 댐 파괴 부정류해석 및 하류 영향 검토(I) -댐 파괴 시나리오와 부정류 해석을 통한 지속시간 및 파괴시간 해석-)

  • Jang, Suk-Hwan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7 no.11
    • /
    • pp.1281-1293
    • /
    • 2008
  • This study aims at the estimation of dam failure time and dam failure scenario analysis of and applied to Yeoncheon Dam which was collapsed August 1st 1999, using HEC-HMS, DAMBRK-FLDWAV simulation model. As the result of the rainfall-runoff simulation, the lancet flood amount of the Yeoncheon Dam site was $10,324\;m^3/sec$ and the total outflow was $1,263.90\;million\;m^3$. For the dam failure time estimation, 13 scenarios were assumed including dam failure duration time and starting time, which reviewed to the runoff results. The simulation time was established with 30 minutes intervals between one o'clock to 4 o'clock in the morning on August 1, 1999 for the setup standard for each case of the dam failure time estimation, considering the arrival time of the flood, when the actually measured water level was sharply raising at Jeongok station area of the Yeoncheon Dam downstream, As results, dam failure arrival time could be estimated at 02:45 a.m., August 1st 1999 and duration time could be also 30 minutes. Those results and procedure could suggest how and when dam failure occurs and analyz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