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C-1 모형

Search Result 23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Hydraulic Analysis Using a Two-Dimensional Model(II) : Bridge Backwater Analysis (2차원 모형을 이용한 수리해석(II) : 배수위 흐름해석)

  • Kim, Eung-seok;Lee, Se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8
    • /
    • pp.5716-5720
    • /
    • 2015
  • This study has analyzed the backwater effect by the bridge pier on the basis of the result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with pier shapes in study(I), using a two-dimensional model(RMA-2) and an one-dimensional model(HEC-RAS). The pier shapes are classified into total six types such as square, rhombus, octagon, oval, round, and no-piers. The result of the backwater effect analysis showed that the backwater length is about 150 and 50m from HEC-RAS and RMA-2, respectively for all pier type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ompare between results from the two models, the oval shape pier has shown similar results to the no-pier situation before the bridge construction in hydraulic characteristics. This analysis can help to select pier types in the new bridge construction for the future.

Prediction of River-Bed Change Downstream of Daechung with Multipurpose Dam by Using the HEC-6 Computer Program (HEC-6 모형에 의한 대청 다목적댐 하류의 하상변동 예측)

  • 유권규;우효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2.07a
    • /
    • pp.366-374
    • /
    • 1992
  • 1980년 금강유역에 축조된 대청 다목적댐에 의한 하류의 하상변동을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조사,분석하고 미국 공병단에서 개발된 HEC-6 모형을 이용하여 장래의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모형의 적용구간은 대청조정지댐에서 부여까지 약 78km이며, 적용 기간은 1980~1988이며, 장래의 하상변동 예측결과에 따르면, 조정지댐~마어구 수위표 구간은 하상이 저하될 것이 예상되며, 공주 수위표 하류는 하상이 상승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규암 수위표 상류 3~15km 구간은 하상이 1~2m 이상 상승될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구간은 현재도 하상상승에 따른 취수장 취수구의 매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조사와 분석 및 대책마련을 위한 조치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Scour Depth at Bridnges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Scour Depths (교량에서의 세굴깊이 산정 및 산정치와 실측치의 비교분석)

  • Yun, Yong-Nam;Lee, Jae-Su;Ho, Jeong-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5
    • /
    • pp.477-485
    • /
    • 1997
  • Recent internal and external bridge failures due to pier and abutment scour have emphasized the need for better methods of scour depth estimation. This paper compares the hydraulic analysis of the Namhan River Bridge over the Namhan River using one-dimensional models. WSPRO & HEC-2, and the two-dimensional model. TABS-MD based on the procedures presented in HEC-18 published by the U.S. FEdral Highway Administration. A comparison of estimated scour depth for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from both on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model is presented. At the same time, field measurement has been performed before and after flood using sounding instrument. Fathometer (DE-719C). A comparison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scour depth at bridge is also presented. Result shows that there is all the difference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scour depth due to dissimilarity between laboratory and field conditions. Also,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maximum scour depth accurately due to refilling. Therefore development of scour measuring equipment which can be used during peak flood, and derivation of empirical model appropriate for internal river system seems urgent.

  • PDF

Prediction of Change of River Change in Anyang Stream Associated with Dam Removal (안양천 보철거로 인한 하상변동 예측)

  • Kim, Ho-Jin;Jun, Kyung-Soo;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03-1107
    • /
    • 2005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3동에 위치한 안양대교보는 길이 40m, 높이 1.3m의 농업용수 취수를 위한 보였으나 도심화로 인하여 원기능을 상실하였다. 수차례에 걸친 개수와 러버보를 설치하는 등 개량하였으나 효능이 약화되어 철거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준 2차원 모형인 GSTARS 3.0 모형을 안양천에 적용하여 안양대교보 철거로 인한 하상변동을 모의하여 1차원 유사이동 모형인 HEC-6 모형과 비교하였다. 단면자료는 2000년에 측정된 자료로 구성하였고, 입력자료에 사용된 하상토 자료는 2005년 안양천에서 채취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유량자료는 2000년 6월부터 10월까지의 유량 관측치를 사용하였다. Meyer-peter와 Muller공식, Ackers 와 White 공식, 그리고 Yang공식의 세 가지 유사이송공식을 사용하여 각각의 공식을 사용하는 데 따른 계산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Bed Change Analysis for the Upstream Channel of the Hantan River Flood Control Dam Using the Hec-6 Model (HEC-6 모형을 이용한 한탄강 홍수조절댐 상류의 하상변동 분석)

  • Han, Seung-Won;Lim, Jong-Chul;Ji, Un;Yeo, Woon-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40-746
    • /
    • 2009
  • 자연 상태의 하천의 하상은 흐름에 의해 끊임없이 변하지만 기록적인 홍수 등 특별한 자연 현상이 없는 한 유사이송에 평형을 이룬 상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유역 토지이용의 변화와 골재 채취, 댐과 저수지의 건설 등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들은 하천의 평형 상태를 파괴하고 유사이송문제 및 하상변화 등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따라서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고 홍수조절을 목적으로 계획하는 홍수조절댐의 경우 홍수 발생 기간 외에는 상류와 하류 하천 간의 흐름 차단을 최대한 억제하고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댐 상류부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댐에 상시 개방되어 있는 배사관과 생태통로를 설치하도록 계획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임진강 유역에서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한탄강댐의 건설이 계획되었으며 유사이송문제와 생태환경 문제를 고려하여 배사관과 생태통로를 설치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HEC-6모형을 이용하여 대상 유역인 한탄강 홍수조절댐 상류하천에 대해 댐 건설 전과 후의 수위변화 및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지속 기간별 평수량과 연평균유량에 대한 장기하상변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과거유량수문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된 1년 동안의 대표 유량수문곡선을 HEC-6 모의에 적용하여 유량변화가 연속적으로 발생했을 경우의 하상변화를 1년과 100년 기간에 대해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속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상류 7.8 km에서는 퇴적과 침식 작용이 활발히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댐 건설 전과 후의 하상 변화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또한 연평균 유량 조건을 복합적으로 적용했을 때가 지속적인 연평균유량을 적용했을 때보다 하상변화가 더 크게 발생하였다.

  • PDF

Flooding Area Estimation and Evacuation Path Analysis (침수취약지역 추정과 주민들의 대피경로 분석)

  • Park, Jong-Duk;Choi, Jin-Mu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1
    • /
    • pp.1-11
    • /
    • 2011
  • Recently urban area has suffered from frequent flood event by local heavy rain. This study performed flood tests for the Jungnang river using HEC-RAS model. Based on 1m LiDAR data, river geometry data were produced using HEC-GeoRAS. For 100-year frequency flood, 200-year frequency flood, and PMF, flooding areas were estimated. Ten sub-zones of the entire flooding area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nearest refugees and used to analyze evacuation paths to the refugees. The results showed that approximately 70% of flooded area were residential, commercial, and transportation areas so that much loss of life and property could be possible.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shortest path distances to refugees were about 1000m average. Evacuation warning given at a proper period could minimize loss of life and property. This study provides the guideline for flood evacuation plan in urban area.

Yoencheon Dam Failure Simulation Using the DAMBRK (DAMBRK를 이용한 연천댐 파괴 모의)

  • Jang, Suk-Hwan;Sung, Ha-Seoung;Park, S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57-1761
    • /
    • 2007
  • 이 연구는 1999년 7월 31일부터 8월 3일까지 경기도 북부지방의 임진강 전유역에 걸쳐 내린 집중호우로 발생한 연천댐 일부 유실에 따른 사고에 대해 댐파괴를 모의하였다. 댐지점의 홍수량 분석은 HEC-HMS모형을 사용하여 한탄강 유역을 15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분석하였고 댐유출량 산정은 FLDWAV모형의 DAMBRK모듈을 사용해 모의하였다. 댐파괴 홍수량에 의해 발생되어지는 홍수파 해석은 HEC-RAS모형을 구축하여 모의하였다. HEC-RAS모형의 검증은 1999년 7월 31일부터 8월 2일 까지 한탄강수계 내 전곡수위표에서 관측된 관측수위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분석은 댐이 없는 자연상태(Case1)와 댐이 있는 경우 (Case2) 그리고 댐파괴된 경우(Case3) 세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천댐 지점의 첨두 홍수량은 Case1의 경우 $10,324m^3/sec$, Case2의 경우 $10,117m^3/sec$, Case3의 경우 $11,485m^3/sec$로 모의 되었고 이때의 관측수위는 각각 EL.43.59m, EL.43.38m, EL.44.03m였다. 댐이 있는 경우와 댐파괴된 경우를 비교 하였을때 첨두 홍수량은 $1368m^3/sec$증가하였고 수위상승은 0.65m였다. 댐이 없는 자연상태와 댐파괴된 경우를 비교 하였을땐 첨두 홍수량은 $1161m^3/sec$증가하였고 수위상승은 0.65m였다.

  • PDF

A Study on Extraction of the Topographical Parameters Using HEC-GEOHMS and DEM (HEC-GEOHMS와 DEM을 이용한 지형인자 추출에 관한 연구)

  • Lee, Jung-Min;Jeong, In-Ju;Kim, Sang-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1 no.1 s.24
    • /
    • pp.39-44
    • /
    • 2003
  • Recently, GIS has been increasing its applicability in water resource field. The GIS based modeling process can generally be used for extracting channel network and watershed delineation. Through the overlay analysis, the extracted channel network can be overlayed with topographic and landuse maps to generate the input files for running a hydrologic model. This lead to consider GIS as a tool which can include subjective factors of the model designers in hydrologic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has compared GIS based HEC-GEOHMS with the classical approach. In general, both approaches have similar results, however, HEC-GROHMS has showed some errors. Based on the results, a GIS based approach could be more effective method with better credibility to obtain input parameters from topographic information as subsequent efforts were made to lessen the errors.

  • PDF

Parameters Estimation of Clark Model based on Width Function (폭 함수를 기반으로 한 Clark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

  • Park, Sang Hyun;Kim, Joo-Cheol;Jung, Kwansu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6
    • /
    • pp.597-611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ology for construction of time-area curve via the width function and thereby rational estimation of time of concentration and storage coefficient of Clark model within the framework of method of moments. To this end time-area curve is built by rescaling the grid-based width function under the assumption of pure translation and then the analytical expressions for two parameters of Clark model are proposed in terms of method of moments. The methodology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tical expressions mentioned before is compared with both (1) the traditional optimization method of Clark model provided by HEC-1 in which the symmetric time-area curve is us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hydrographs is minimized (2) and the same optimization method but replacing time-area curve with rescaled width function in respect of peak discharge and time to peak of simulated direct runoff hydrographs and their efficiency coefficient relative to the observed ones. The following points are worth of emphasizing: (1) The optimization method by HEC-1 with rescaled width function among others results in the parameters well reflecting the observed runoff hydrograph with respect to peak discharge coordinates and coefficient of efficiency; (2) For the better application of Clark model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time-area curve capable of accounting for irregular drainage structure of a river basin such as rescaled width function instead of symmetric time-area curve by HEC-1; (3) Moment-based methodology with rescaled width function developed in this study also gives rise to satisfactory simulation results in terms of peak discharge coordinates and coefficient of efficiency. Especially the mean velocities estimated from this method, characterizing the translation effect of time-area curve, are well consistent with the field surveying results for the points of interest in this study; (4) It is confirmed that the moment-based methodology could be an effective tool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translation and storage effects of natural river basin; (5) The runoff hydrographs simulated by the moment-based methodology tend to be more right skewed relative to the observed ones and have lower peaks. It is inferred that this is due to consideration of only one mean velocity in the parameter estimation.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combine the hydrodynamic heterogeneity between hillslope and channel network into the construction of time-area curve.

A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ethod in Medium to Small sized Catchment (중소규모 자연하천 유역에서 홍수범람기법의 비교)

  • Moon, Chang-Geon;Park, Jong-Young;Lee, J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76-1481
    • /
    • 2009
  • 최근 기상이변과 국지성 호우로 인한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국가차원과 더불어 지역단위의 홍수방어대책이 많은 사업을 통해 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 하천기본계획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사업들은 실제 피해지역에 대한 원인과 대책을 제시함과 동시에 홍수 등의 피해가 예상되는 위험지역에 대해서도 그 원인과 대책을 제시해야한다. 따라서 피해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을 예측하고 그 원인을 찾는데 있어 최근 홍수범람해석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면서 다양한 해석모형과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고 현재까지도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홍수범람구역을 결정하기 위한 과정은 GIS Tool에 대한 이해도 부족, 원 자료의 부족, 지형 구축을 위한 자료생성의 어려움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홍수범람구역의 결정을 위한 전산프로 그램의 기능향상은 점차 향상되는데 비해 지형구축 등과 같은 범람해석 프로세스 내에서 상당한 수작업이 요구되는 바 작업소요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으로 인해 실무자들에게 널리 적용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무적 관점에서 홍수범람해석의 요구빈도가 높은 중소규모 자연하천을 대상으로 두가지 해석 기법을 통하여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여 해석 과정 및 결과 등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기법으로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는데 있어 실용성, 신속성 등이 고려된다고 판단되는 Civil 3D를 이용하여 수치지형도 및 측량자료와 같은 원 자료로부터 3D 지형을 구축하고 Civil 3D의 Extension 프로그램인 HEC-RAS Tool과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를 전 후처리에 연계함으로서 각 대상유역별, 빈도별 홍수위에 따른 홍수범람구역과 수심 및 범람지역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 기법으로서 실무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ArcGIS를 이용하여 3D 지형을 구축하고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HEC)와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ESRI)의 협력개발로 개발된 HEC-GeoRAS와 HEC-RAS 모형을 전 후처리에 연계하여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두 가지 기법을 통한 홍수범람해석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정량적, 정성적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두 기법간의 차이점 및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실용적이면서도 정밀한 홍수범람구역의 결정, 홍수범람 예상도 등의 재해지도 작성, 치수경제성 분석 등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