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DFs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6초

CERES: 백본망 로그 기반 대화형 웹 분석 시스템 (CERES: A Log-based, Interactive Web Analytics System for Backbone Networks)

  • 서일현;정연돈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651-657
    • /
    • 2015
  • 웹 응용 프로그램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웹 트래픽이 증가하고 있다. 웹에 대한 요청과 그 응답에 대한 기록인 웹 로그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웹 로그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용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다룰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백본망 로그 기반 대화형 웹 분석 시스템인 CERES를 소개한다. 기존의 웹 분석 시스템들과 달리, CERES는 하나의 웹 서버에 대한 분석이 아닌 백본망에서 생성되는 모든 웹 로그의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CERES는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HDFS)을 저장소로 하는 서버 클러스터에 배포되며, 대용량의 로그에 기반한 분석을 분산 처리를 통해 지원한다. CERES는 백본망에서 생성된 웹 로그 데이터를 관계형 데이터로 변환하고, 사용자는 변환된 관계형 데이터에 대해 SQL을 이용하여 질의를 요청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 CERES는 웹 로그의 통계적 분석에 대한 질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큐브를 활용한다. 또한, CERES는 다양한 통계적 분석을 지원하기 위해 대화형 SQL 질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세 가지 형태의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쉽게 질의를 요청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Inhibition of Oxidative Damage by Phlorotannins from Ecklonia cava in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 Kim, Moon-Moo;Rajapakseb, Niranjan;Kim, Se-Kwon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6-135
    • /
    • 2006
  • Phloroglucinol 단위체로 구성된 Oligomeric polyphenol인 Phlorotannins을 갈조류의 일종인 감태(Ecklonia cava)의 메탄올 추출물의 용매 분획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감태추출물의 용매분획으로부터 Phlorotannins의 억제효능을 주름형성과 연관성이 있는 사람피부섬유아세포(HDFs)에서 조사되었다. ESR spectroscopy 분석에서, 감태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 부터의 Phlorotannins에서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및 Alkyl radical에 대하여 가장 높은 소거효능이 나타났다.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DCFH-DA)와 Diphenyl-1-pyrenylphosphine (DPPP)을 이용하여 세포내에서 활성산소종 및 지질과산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감태의 다른 용매 분획과 비교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분획으로 부터의 Pphlorotannins의 존재에서 이들수준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P < 0.01). 더욱이, Phlorotannins은 세포내의 Glutathione (GSH) 함량도 시간에 따라 증가시켰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들은 감태의 Phlorotannins이 산화적 스트레스와 연관성이 있는 주름형성 같은 여러가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잠재적인 효능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 PDF

조직 재생을 위한 Poly (D, L-lactide-co-glycolide) 표면에 $(1{\to}3)(1{\to}6)-{\beta}-glucan$ 고정에 대한 세포 점착 및 성장 효과 (Surface Immobilization of $(1{\to}3)(1{\to}6)-{\beta}-glucan$ onto Biodegradable Polymer for Tissue Regeneration)

  • 이상길;이정복;유성미;박종철;최재봉;김정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18-223
    • /
    • 2006
  • We examined the effects of ${\beta}$-glucan-reinforced PLGA film and scaffold on HDFs (human dermal fibroblast)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The PLGA films were prepared by simple solvent-casting method. The prepared films were grafted with $(1{\to}3)(1{\to}6)-{\beta}-glucan$ in various ratios after plasma treatment on surface. The surface of the film was characterized by contact angle measurement,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FT-IR). The amount of $(1{\to}3)(1{\to}6)-{\beta}-glucan$ in the prepared film was indirectly determined by phenol-sulfuric acid method. The HDFs (Human dermal fibroblasts) were used to evaluate the cell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n PLGA specimens before and after plasma/${\beta}-glucan$ treat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plasma treated groups exhibited more mont of ${\beta}-glucan$ might be grafted than the non plasma treated groups. Cell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plasma/${\beta}-glucan$ grafted group after 4 hours incubation (p<0.05) due to the improved hydrophilicity and cytoactivity effect of the ${\beta}-glucan$. The cell proliferation of plasma/${\beta}-glucan$ (2mg/ml) grafted group was the highest rate among the groups (p<0.05).

자외선에 의한 세포손상에 대한 말채나무잎의 보호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Cornus walteri Wanger Leaves against UV Induced Cellular Damage in Human Fibroblast)

  • 박현철;정택규;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7
    • /
    • 2015
  • 말채나무는 한국의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던 약재이다. 자외선은 피부의 광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손상된 세포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효소처리 된 말채나무잎추출물(CWE)을 사용하였다. 섬유아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CWE를 처리하여 세포의 회복을 조사하였다. UVB를 조사한 섬유아세포에는 caspase-3 활성, phospho-p53, ${\gamma}H2AX$, cyclobutane pyrimidine dimers (CPDs) formation, 그리고 DNA fragmentation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CWE를 UVB가 조사된 섬유아세포에 12 h 처리하였을 때 caspase-3 활성, phospho-p53, ${\gamma}H2AX$, CPDs formation, 그리고 DNA fragmentation이 감소하였다. 또한 CWE은 인체첩포시험을 통해 인체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CWE는 자외선에 대한 광보호 효과가 있는 원료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대용량 악성코드의 특징 추출 가속화를 위한 분산 처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Feature Extraction from Large-Scale Malicious Code)

  • 이현종;어성율;황두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8권2호
    • /
    • pp.35-40
    • /
    • 2019
  • 기존 악성코드 탐지는 다형성 또는 난독화 기법이 적용된 변종 악성코드 탐지에 취약하다.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악성코드에 내재된 패턴을 학습시켜 유사 행위 탐지가 가능해 기존 탐지 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악성코드 패턴을 학습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해야한다. 그러나 대용량 악성코드 파일의 저장 및 처리 과정은 높은 공간과 시간 복잡도가 수반된다. 이 논문에서는 공간 복잡도를 완화하고 처리 시간을 가속화하기 위해 HDFS 기반 분산 처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분산 처리 시스템을 이용해 2-gram 특징과 필터링 기준에 따른 API 특징 2개, APICFG 특징을 추출하고 앙상블 학습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비교했다. 실험 결과로 특징 추출의 시간 복잡도는 컴퓨터 한 대의 처리 시간과 비교했을 때 약 3.75배 속도가 개선되었으며, 공간 복잡도는 약 5배의 효율성을 보였다. 특징 별 분류 성능을 비교했을 때 2-gram 특징이 가장 우수했으나 훈련 데이터 차원이 높아 학습 시간이 오래 소요되었다.

Effect of the pore size in a 3D bioprinted gelatin scaffold on fibroblast proliferation

  • Choi, Dong Jin;Park, Sang Jun;Gu, Bon Kang;Kim, Young-Jin;Chung, Seok;Kim, Chun-Ho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제67권
    • /
    • pp.388-395
    • /
    • 2018
  • Significant efforts have been applied toward fabricating three-dimensional (3D) scaffolds using 3D-bioprinting tissue engineering techniques. Gelatin has been used in 3D-bioprinting to produce designed 3D scaffolds; however, gelatin has a poor printability and is not useful for fabricating desired 3D scaffolds using 3D-bioprinting. In this study, we fabricated pore size controlled 3D gelatin scaffolds with two step 3D-bioprinting approach: a low-temperature ($-10^{\circ}C$) freezing step and a crosslinking process. The scaffold was crosslinked with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EDC) and N-hydroxysuccinimide (NHS). The pore sizes of the produced 3D gelatin scaffolds were approximately 30% smaller than the sizes of the designed pore sizes. The surface morphologies and pore sizes of the 3D gelatin scaffolds were confirmed and measur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were cultured on a 3D gelatin scaffol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3D gelatin scaffold pore size on the cell proliferation. After 14 days of culture, HDFs proliferation throughout the 3D gelatin scaffolds prepared with more than $580{\mu}m$ pore size was approximately 14% higher than proliferation throughout the 3D gelatin scaffold prepared with a $435{\mu}m$ pore siz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ntrol over the 3D gelatin scaffold pore size is important for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The Anti-Diabetic Pinitol Improves Damaged Fibroblasts

  • Ji-Yong Jung;Joong Hyun Shim;Su Hae Cho;Il-Hong Bae;Seung Ha Yang;Jinsick Kim;Hye Won Lim;Dong Wook Shi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2권2호
    • /
    • pp.224-230
    • /
    • 2024
  • Pinitol (3-O-Methyl-D-chiro-inositol)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insulin-like effects and is known as one of the anti-diabetic agents to improve muscle, liver, and endothelial cells. However, the beneficial effects of pinitol on the skin are not well known.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pinitol had effects o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and human dermal equivalents (HDE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A (UVA), which causes various damages including photodamage in the skin. We observed that pinitol enhanced wound healing in UVA-damaged HDFs. We also found that pinitol significantly antagonized the UVA-induced up-regul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1 (MMP1), and the UVA-induced down-regulation of collagen type I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1 (TIMP1) in HDEs.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also revealed that pinitol remarkably increased the number of collagen fibrils with regular banding patterns in the dermis of UVA-irradiated human skin equivalents. Pinitol significantly reversed the UVA-induced phosphorylation levels of ERK and JNK but not p38, suggesting that this regulation may be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pinitol-mediated effects on UVA-irradiated HDEs. We also observed that pinitol specifically increased Smad3 phosphorylation,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TGF-β signaling pathway for collagen synthesis. These data suggest that pinitol exerts several beneficial effects on UVA-induced damaged skin and can be used as a therapeutic agent to improve skin-related diseases.

병이소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MMP 발현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Ophioglossum vulgatum on Free Radical and MMP Expression in UV-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s)

  • 김진화;오정영;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7-292
    • /
    • 2009
  • 자외선에 의한 활성산소 종의 생성과 피부 광노화 촉진은 피부표면 조직의 파괴와 피부염증유발, 홍반 등을 수반하며, 일상생활에서 항상 생활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는 피부는 이러한 위험 요인과 직면하고 있다. 병이소초추출물의 유해 라디칼 소거 효과 실험 결과 $IC_50$ values가 $18.2\;{\mu}g/mL$로 superoxide 소거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세포 내에서 ROS에 의해 형광을 띠는 물질로 전환되는 CM-DCFDA를 이용하여 ROS의 양을 측정한 결과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세포 내 ROS의 양이 병이소초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100\;{\mu}g/mL$ 농도에서 30 % 이상의 우수한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섬유아세포에 자외선(UVA) $6.3\;J/cm^2$으로 조사하고 병이소초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자외선에 의해 높아졌던 MMP-1 단백질 발현량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50\;{\mu}g/mL$의 농도에서 37.7 % 정도의 MMP-1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RT-PCR 실험에서는 병이소초 추출물을 $10\;{\sim}\;50\;{\mu}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자외선에 의해 높아졌던 MMP-1 mRNA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확연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병이소초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피부손상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우수한 항산화 및 피부세포 보호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대용량 분산 파일 시스템의 복제 배치 기법 분석 (Analyses of Replica Placement Schemes in Distributed File Systems)

  • 최대순;김지홍;엄영익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A)
    • /
    • pp.373-375
    • /
    • 2012
  • 정보의 양이 늘어나고 그 크기가 커짐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대규모 분산 파일 시스템을 제안하고 사용하고 있다. 현재 제안된 분산 파일 시스템은 대부분 확장가능하며 장애에 견딜 수 있고 신뢰성이 있는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었다. 따라서 분산 파일 시스템은 장애에 효과적으로 견질 수 있고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복제를 만들어 서로 다른 스토리지에 배치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분산 파일 시스템의 복제 배치 기법에 관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먼저 분산 파일 시스템의 동작 구조를 확인하고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 보편적으로 중요시 되는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복제 배치 기법이 효과적인 분산 파일 시스템 구성 시 고려해야 할 것들을 부하 분산, 디스크 분산, 장애 분산으로 나누었다. 이 세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인 GFS, HDFS, Ceph, MooseFS의 복제 배치 기법을 분석하고 각각의 특성 파악하였다.

Design and Development of Big Data Platform based on IoT-based Children's Play Pattern Analysis

  • Jung, Seon-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4호
    • /
    • pp.218-22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n IoT-based big data platform that can check the space and form analysis in various play cultures of children. Therefore, to this e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healthy play culture of children, we are going to build a big data platform that allows IoT and smart devices to work together to collect data.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ig data platform linked to IoT first in order to collect data related to observation of children's mobile movements. Using the developed big data platform, children's play culture can be checked anywhere through observation and intuitive UI design, quick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collected and real-time feedback, data collected through repeaters can be aggregated and analyzed, and systematic database can be utilized in the form of big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