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DF cell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9초

파라벤에 의한 피부섬유아세포의 DNA 손상과 환원전리수의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 of electrolyzed reduced water on the paraben-induced DNA damage in human dermal fibroblast cells)

  • 유아름;류근걸;이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427-4432
    • /
    • 2010
  • 파라벤은 낮은 독성과 안전성으로 인해 화장품 보존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파라벤의 잠재적 독성이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원전리수가 널리 사용되는 메틸파라벤에 의한 사람 피부섬유아 세포의 DNA 산화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코멧어세이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흥미롭게도 환원전리수는 파라벤에 의한 피부섬유아세포 DNA의 산화손상을 억제할 수 있었다.

Protective effects of citrus based mixture drinks (CBMDs) on oxidative stress and restraint stress

  • Cho, MyoungLae;Kim, Dan-Bi;Shin, Gi-Hae;Kim, Jae-Min;Seo, Yoonhee;Choe, Soo Young;Cho, Ju Hyun;Kim, Young-Cheul;Lee, Jin-Ha;Lee, Ok-H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6호
    • /
    • pp.1801-1809
    • /
    • 2018
  • In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citrus based mixture drinks (CBMDs) using oxidative stress in human dermal fibroblast (HDF) cells and restraint-stressed rats. The CBMDs contained citrus bioflavonoids including narirutin and hesperidin. The cell viability of HDF cells treated with $H_2O_2$ was observed at 53.9% but treated with CBMD-1 and CBMD-2 ($500{\mu}g/mL$) on $H_2O_2$ exposed HDF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lative cell viability at 65.0 and 72.2%, respectively. In the treadmill test, the time spent on the electrode plate in the restraint-stressed group was analyzed 24.1 s, but restraint-stressed rats with administered CBMDs (300 mg/kg) ha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ime at 2.4 (CBMD-1) and 4.7 (CBMD-2) s, respectively. In addition, number of touches the electrode plate in restraint-stressed group was observed at 42.4 ea, but, restraint-stressed rats with administered CBMD-1 and CBMD-2 (300 mg/kg)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7.0 and 10.2 ea, respectively.

Regulations of Reversal of Senescence by PKC Isozymes in Response to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via Nuclear Translocation of pErk1/2

  • Lee, Yun Yeong;Ryu, Min Sook;Kim, Hong Seok;Suganuma, Masami;Song, Kye Yong;Lim, In Kyo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39권3호
    • /
    • pp.266-279
    • /
    • 2016
  • The mechanism by which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 bypasses cellular senescence was investigated using human diploid fibroblast (HDF) cell replicative senescence as a model. Upon TPA treatment, protein kinase C (PKC) ${\alpha}$ and $PKC{\beta}1$ exerted differential effects on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cytoplasmic pErk1/2, a protein which maintains senescence. $PKC{\alpha}$ accompanied pErk1/2 to the nucleus after freeing it from $PEA-15pS^{104}$ via $PKC{\beta}1$ and then was rapidly ubiquitinated and degraded within the nucleu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docking motif and kinase activity of $PKC{\alpha}$ were both required for pErk1/2 transport to the nucleus. Repetitive exposure of mouse skin to TPA downregulated $PKC{\alpha}$ expression and increased epidermal and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Thus, $PKC{\alpha}$ downregulation is accompanied by in vivo cell proliferation, as evidenced in 7, 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TPA-mediated carcinogenesis. The ability of TPA to reverse senescence was further demonstrated in old HDF cells using RNA-sequencing analyses in which TPA-induced nuclear $PKC{\alpha}$ degradation freed nuclear pErk1/2 to induce cell proliferation and facilitated the recovery of mitochondrial energy metabolism. Our data indicate that TPA-induced senescence reversal and carcinogenesis promotion share the same molecular pathway. Loss of $PKC{\alpha}$ expression following TPA treatment reduces pErk1/2-activated SP1 biding to the $p21^{WAF1}$ gene promoter, thus preventing senescence onset and overcoming G1/S cell cycle arrest in senescent cells.

인체 섬유아세포 및 케라티노사이트에 대한 지방줄기세포 분비물의 세포생물학적 기능 (Cell Biological Function of Secretome of Adipose-Derived Stem Cells on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 이재설;이종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7-127
    • /
    • 2012
  • 피부재생에 대한 지방줄기세포 배양상등액(ADSC-CM)의 효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ADSC-CM이 피부재생에 기여하는 기작은 명확하지 못하지만, ADSC-CM은 다양한 분비물을 포함하고 있고 따라서 피부트러블 처리를 위한 훌륭한 재료이다. 저 산소 상태에서 생산된 ADSC-CM, 즉 advanced adipose-derived stem cell protein extract (AAPE)는 피부재생에 보다 좋은 재료이다. 본 연구는 피부 재생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인체 primary 세포인 섬유아세포(HDF)와 케라티노사이트(HK)를 이용하여 AAPE의 효능을 검증하였다. 0.32 ${\mu}g/ml$ AAPE에서 콜라겐 합성이 관찰 되었으며 AAPE는 stress fiber 형성을 강화하였다. DNA microarray 결과에서는 세포증식, 세포이동, 세포부착, 상처반응에 관여하는 133개의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는 것을 알았다. Antibody array를 통해 CD54, FGF-2, GM-CSF, IL-4, IL-6, VEGF, TGF-${\beta}2$, TGF-${\beta}3$, MMP-1, MMP-10, 그리고 MMP-19와 같은 MMP, 성장인자, 사이토카인등 25개의 알려진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AAPE는 HK의 세포생물학적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고 사료되며 HDF에서는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APE가 피부재생에 임상적 적용이 가능하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시계꽃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 (Availability of Passiflora Caerulea Extract as Inner Beauty Material)

  • 이재남;김영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80-1189
    • /
    • 2020
  • 본 연구는 시계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능을 확인하여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 방법으로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RAW 264.7 대식세포와 HDF 세포 내에서의 세포 독성 및 NO 생성 억제 효과, HDF 세포에서의 MMP-1의 발현 억제능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시계꽃 추출물의 폴리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 mg/mL의 농도에서 각 157 mg/g, 173.5 mg/g의 우수한 함량을 확인하였고, DPPH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와 HDF 세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에 대해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억제를 통해 100 ㎍/mL에서 69.3%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HDF 세포에서 MMP-1의 발현 억제능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시계꽃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 피부세포에 대한 낮은 독성, MMP-1의 발현 억제를 통한 항노화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다양한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라비올라잎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 (Evaluations on Antioxidant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Graviola Leaves)

  • 최종화;옥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9-135
    • /
    • 2017
  • 본 연구는 인체에 무해하고 안정성이 높은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그라비올라 잎을 열수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 소거능과 MTT assay 세포 독성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라비올라 잎 분말 300 g을 사용하여 $98^{\circ}C$ 온도에서 열수 추출물 62.3 g을 얻었으며 그라비올라잎 1 mg/mL 추출물 내에 총 폴리페놀 함량은 $291.92{\pm}2.39{\mu}g/mL$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61{\pm}7.85{\mu}g/m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1, 2.5, 5, 10 및 15 mg/mL에서 51.6%, 67.8%, 79%, 82.4% 및 83.9% 농도 의존적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의미 있는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s ; HDF)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150 mg/ml 농도에서 대조군과 같은 100%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이보다 적은 농도에서는 더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를 함유한 식품이나 화장품 성분 개발에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itexin에 의한 HDF 세포에서 UVB 유도 DRAM1-오토파지 단백질 (Regulation of UVB-induced DRAM1-Autophagy protein in HDF Cells by the Vitexin)

  • 변서정;강상모;조영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01-210
    • /
    • 2021
  • 본 연구는 메밀 추출물과 비텍신을 이용하여 UVB 손상 개선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icroarray 분석, 세포의 증식, 세포 상처 회복, 세포주기, 마이크로파지의 생성 양상, 단백질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Microarray 분석 결과는 DRAM1, Atg2a 및 Atg13 유전자에서 UVB에 의해 증가 된 양상을 메밀 에탄올추출물과 비텍신에서 감소시켰다. 세포의 증식, 상처 회복, 주기 및 마이크로파지 양상에서는 메밀 에탄올추출물과 비텍신에서 정상 세포와 유사하게 개선되었으며, 단백질 분석에서 DRAM1, Beclin-1 및 LC3 I/II 모두 비텍신 처리군에서 감소하였고, p-mTOR 및 Survivin은 모두 증가 되었다. UVB에 의한 손상에서 메밀 에탄올추출물과 비텍신은 DRAM1, Atg2a 및 Atg13을 같이 컨트롤 하고 세포 증식, 상처 회복 및 주기를 정상으로 회복하며 UVB에 의한 세포 노화 발생원인 중 하나인 오토파지를 조절하여 세포의 사멸억제 및 재생하므로 기능성 화장품 성분으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인공하천에서 유량감소로 모사한 가뭄효과가 수질 및 부착돌말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rought Simulated by Discharge Control on Water Quality and Benthic Diatom Community in the Indoor Experimental Channel)

  • 박혜진;김백호;공동수;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129-138
    • /
    • 2012
  • 본 연구는 하천에서 가뭄으로 인해 나타나는 갈수현상을 단기간의 유량의 감소로 모사하여 수질 및 부착돌말류 군집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을 인공수로에서 분석하였다. 아크릴로 제작한 실내 인공수로에 부착돌말 인공기질로는 슬라이드글라스를 설치하고, 부영양 저수지의 표층수를 유입시켜 실험수로 이용하였다. 실험기간 중 부착돌말 군체형성기 동안 모든 실험군의 유량은 6 L $min^{-1}$, 이후 유량감소기 동안 각 실험군의 유량은 NDF(No depletion of flow rate (Control): 6 L $min^{-1}$), LDF (Low depletion of flow rate: 3 L $min^{-1}$), 그리고 HDF (High depletion of flow rate: 1 L $min^{-1}$)로 설정하였다. 유량감소의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16일간의 실험기간 동안 유입수와 배출수의 수온,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pH, 탁도, 부유물질, 영양염 및 Chl-$a$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부착기질의 Chl-$a$와 AFDM(ash free dry matter), 그리고 부착돌말류의 조성과 세포밀도를 1일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광도는 처리 유량이 적어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했다(F=229.5, p=0.000). $NH_4$-N는 NDF보다 HDF에서 현저하게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유입수의 SS 농도(100%) 대비 배출수의 SS 농도는 HDF에서 88%로 감소하였으며 LDF (97%)와 NDF (99%)에 비하여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기질의 Chl-$a$는 NDF에 비하여 유량감소 처리군에서 약 2배 이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8.399, p=0.001). 또한 기질의 AFDM과 부착돌말류 총밀도는 NDF에 비하여 두 처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9.390, p=0.001; F=6.088, p=0.007). 실험기간 동안 대조군과 처리군 모두에서 $Aulacoseira$ $ambigua$, $Achnanthes$ $minutissima$, $Aulacoseira$ $granulata$ 등 총 3종의 부착규조류가 총 밀도의 10% 이상을 보인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제1 우점종인 $A.$ $ambigua$는 LDF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HDF, NDF순으로 생물량이 낮았다(F=8.551, p=0.001). 본 연구 결과, 인공 하천생태계에서 가뭄(갈수) 효과는 수질과 부착돌말류 현존량에 유의한 변화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부착돌말류 현존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실제 하천에서 가뭄에 의한 생태계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과용 Ni-Cr합금 용출배지에 의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성장도 관찰 연구 (A Study on the Viability of Human Dermal Fibroblast Cell by Media for Ni-Cr alloy elution)

  • 김갑진;최성민;김치영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26
    • /
    • 2009
  • Purpose: Standards of alloy for porcelain fused to metal crown be classified by metallic factor and biological factor. Metallic factors consist of stability of alloy composition and mechanical strength and surface characteristics for chemical bond. Biological factors be considered properties of metallic elements and problems originated by toxicity and hypersensitive reaction. Alloys considered such controversial points are the most suitable alloy for dental instrument. Method: Alloys added Be and Nb using Ni-Cr alloy which has been widely used for dental instrument be selected and classified experimental group. Non-addition Be and Nb to Ni-Cr alloy classify control group and addition Be alloy is Be-experimental group, addition Nb alloy is Nb-experimental group. Specimens for cytotoxicity analysis gave effect to washing and sterilization. and then made an experiment on elution with cell medium after disinfection. It conducted specimens within cell medium with 24hours, 48hours, 72hours, respectively. It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HDF) using cell medium for cytotoxicity test and then investigated elution rate through spectroscopic analysis by MTT-assay. Result: As results of cytotoxicity test by MTT-assay, cultured cell rate of VII measured more low numerical value within elution medium for 24hours focused on control group. Also, cultured cell rate of K3 alloys observed low value for 48hours, 72hours than value of control group. Conclusion: According to final result that synthesize above results, Ni-Cr alloy added Be and Ni has little difference in Cytotoxicity by MTT-assay.

  • PDF

자외선이 조사된 사람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흰털오가피 잎추출물의 항산화작용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Leaves in Human Dermal Fibroblast Irradiated by UVA)

  • 신애향;유수연;노빛나;김자인;김옥경;박원봉
    • 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29-234
    • /
    • 2007
  • We investigate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leave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in human dermal fibroblast (HDFs) irradiated by UVA. The irradiation of UVA did not affect the cell viability of HDFs.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 was investigated by xylenol orange,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nd antioxidant enzyme assay. Both extracts showed H202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in HDF cells irradiated by UVA. The extracts also recovered enzyme activity in the same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