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CoC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7초

포항지역 지열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 고동찬;염병우;하규철;송윤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453-454
    • /
    • 2004
  • Hydrogeochemical and isotop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groundwater of Tertiary basin in southeastern part of Korea where deep drilling is in progress for geothermal investigation. According to geology, aquifer was distinguished as alluvial, tertiary sedimentary bedrock (bedrock groundwater), and fractured volcanic rock (deep groundwater). Groundwater of each aquifer is distinctively separated in Eh-pH conditions and concentrations of Cl, F, B and HCO$_3$. Deep groundwater has very low level 3H and 14C whereas alluvial groundwater has those of recent precipitation level. However one of deep groundwater show mixe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hydrochemistry which indicates effect of pumping. Deep groundwater have temperature of 38 to 43$^{\circ}C$ whereas bedrock and alluvial groundwater have temperature less than 2$0^{\circ}C$. Fractured basement rock aquifer has different hydrogeologicalsetting from bedrock and alluvial aquifer considering hydrogeochemical and isotopic characteristics, and temperature.

  • PDF

제주도 서귀포지역 천연탄산수의 기원과 수리화학특성 (Origin and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Carbonated Water at Seoqwipo, Jeju Island)

  • 정찬호;이용천;이유진;최현영;고기원;문덕철;정차연;조시범
    • 지질공학
    • /
    • 제26권4호
    • /
    • pp.515-52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서귀포지역에서 산출되는 온천수 2지점과 탄산수 2지점에 대한 화학성분, CFCs (Chlorofluorocarbons) 동위원소, ${\delta}^{18}O$, ${\delta}D$, ${\delta}^{13}C$ 동위원소, 영족기체(He, Ne) 동위원소 분석을 통하여 탄산온천수와 탄산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생성연령, 영족기체의 기원과 $CO_2$ 가스의 기원을 해석하였다. 연구지역의 탄산수의 pH는 6.21~6.84의 범위의 약산성과 매우 높은 전기전도도 값($1,928{\sim}4,720{\mu}S/cm$)의 특성을 보인다. 화학적 유형은 $Mg(Ca,Na)-HCO_3$ 내지는 $Na(Ca,Mg)-HCO_3$ 유형을 보인다. 환경추적자인 CFCs 농도를 이용하여 지하수 연령측정결과, 탄산수는 약 47.5~57.2년, 지하수는 약 30.3~49.5년으로 추정되었다. 탄산수의 ${\delta}^{13}C$값은 -1.77~-7.27‰의 범위를 보여 $CO_2$ 가스의 기원은 심부기원과 일부 심부-무기기원의 혼합 기원으로 도시되었지만, 영족기체 조성비($^3He/^4He$, $^4He/^{20}Ne$)에서 헬륨가스가 심부기원의 농도가 절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 화산활동과 관련한 심부 마그마 기원임을 보여준다.

장염비브리오 항균활성을 위한 탱자와 매실의 추출조건 최적화 (Extraction Process Optimization of Poncirus trifoliata and Prunus mume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 이영근;최영환;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40-646
    • /
    • 2006
  • 비브리오식중독의 피해를 저감시키는 기능성 식품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비실험에서 V. parahaemolyticus균에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밝혀진 탱자와 매실의 최적 추출조건을 조사하였다. 먼저, 열수로 추출한 실험에서 탱자의 최적 조건은 $80{\sim}100^{\circ}C$에서 30분간, 매실의 경우 $100^{\circ}C$에서 30분간 가열 추출한 시험액의 저지환이 각각 14.8 및 16.6 mm로써, 최대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NaOH, $K_2CO_3$$NaHCO_3$의 알칼리 식품첨가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실험에서, NaOH를 첨가한 경우 탱자의 항균활성은 증진되지 않았으나 매실의 항균활성은 다소 증진되었으며, NaOH 이외 알칼리들은 공시 식물체들의 항균활성을 감소시켰다. NaOH의 첨가농도를 단계적으로 달리하고 80, 100 및 $120^{\circ}C$에서 추출한 결과, 탱자의 경우 앞서의 열수추출 결과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매실은 NaOH를 0.05N 농도로 첨가하고 $120^{\circ}C$ 에서 추출한 조건에서 저지환 직경 19.9 mm의 최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탱자와 매실을 주정으로 진탕추출하고 주정을 제거하여 주정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에 NaOH를 단계적으로 첨가하고 $100^{\circ}C$에서 30분간 물로 재추출한 결과, 주정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전반적으로 물추출한 결과보다 낮고 NaOH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활성의 감소를 나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탱자의 최적추출조건은 $80{\sim}100^{\circ}C$의 열수로 30분간, 매실은 NaOH를 0.05N 농도로 첨가한 $120^{\circ}C$의 열수로 30분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전통직물의 손상 특성 (Damag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s by Formaldehyde)

  • 김명남;임보아;이선명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3-364
    • /
    • 2014
  • 포름알데히드는 전시 수장 공간에서 농도와 발생빈도가 높아 전통직물(천연염색)에 대한 손상 개연성이 있다. 본 연구는 견, 면, 모시, 삼베의 무염색, 천연염색(적색, 황색, 청색, 흑색) 시편을 대상으로 포름알데히드 0.5, 1, 10, 100, 500ppm 농도에서의 손상, 손상농도 500ppm에서 온습도 조건에 따른 손상과 열화상태에서의 손상을 광학적, 화학적, 물리적 측정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 결과, 포름알데히드 농도 500ppm에서 일부 직물의 색차, 변퇴색등급, 포름산이온 농도, pH가 변화하였으며, 고온 고습조건($30^{\circ}C$, 80%), 고습조건($25^{\circ}C$, 80%)에서는 색차, 변퇴색등급, 포름산이온 농도가 2배 가중되었다. 그러나, 열화직물은 열화정도, 열화 생성물질로 인해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손상변화가 미미하였다. 이를 통해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전통직물의 손상, 손상농도, 손상가중 조건, 열화상태에서의 손상을 확인하였으며, 포름알데히드는 적색직물의 황변, 열화직물의 황변 탈색, 포름산은 전체직물의 탈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Ganoderma lucidum IY 009로 부터 분리된 항암성 다당류의 정제 및 구조분석 (Purific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f Antitumor Polysaccharides Obtained from Ganoderma lucidum IY 009)

  • 이권행;정훈;이준우;한만덕;최경숙;오두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0-196
    • /
    • 1994
  • Alkali soluble(AS) fraction, revealed the highest antitumor activity of the alkali extracted fractions of G. lucidum IY 009, was loaded on DEAE cellulose(OH$^{-}$ form) column. AS-1, AS-2, AS-3, AS-4 and AS-5 were obtained by stepwise elution with H$_{2}$O, 0.1 M NaHCO$_{3}$, 0.3 M NaHCO$_{3}$, 0.5 M NaHCO$_{3}$ and 0.5 N NaOH respectively, and their antitumor activities(I.R. %) against the sarcoma 180 were 97.5%, 68.0%, 73.0%, 81.0% and 66.0% respectively. AS-1 observed highest antitumor activity was appeared as single peak on the Sepharose CL-4B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ir molecular weight was about 580,000 dalton. The carbohydrate content of AS-1 was 98.9%, their monosaccharide consisted of 67.5% of mannose, 22.5% of xylose, 5.8% of glucose, 1.8% of galactose and 2.0% of ribose. AS-1 was assumed $\alpha $linkaged xylomannan having infrared absorption at 864.3 cm$^{-1}$. The main alditol acetates of AS-1 were identified as 1,5-Di-O-acetyl1-2,3,4-Tri-O-methylxylitol, 1,4,5-Tro-O-acety1-2,3,6-Tri-O-methylmannitol and 1,3,4,5-Tetra-O-acety1-2,6-Di-O-methylmannitol by methylation analysis, and their molar ratio was 1 : 2 : 1. The core portion of AS-1 might be $\alpha $-(1$\longrightarrow $ 4)mannopyranosyl unit branched with side chain, C1 of xylopyranosyl residue linked to C3 of every 3 mannopyranosyl units, an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structural unit in AS-1 was about 835.

  • PDF

전라북도 온천수의 수질 화학적 특성과 연대 측정 (Water Chemistry and Age Dating of Thermal Spring in Chullabukdo Region)

  • 김종훈;최용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1-108
    • /
    • 1996
  • 전라북도 내에 최근 새로이 개발된 온천수와 그곳 지하수의 수질 화학적 특성과 연대(나이)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수질 화학적 특성중 온도는 27-29$^{\circ}C$의 미온천이며, $F^-$이온은 평균 2-13ppm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NO_3^-$이온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SO_4^{2-}$는0.02-23ppm이었으나 이중 유황천으로 알려진 $Y_3$$SO_4^{2-}$함량은 다른 지역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4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Diagram에 의한 분류에서 $Y_1,\;Y_3,\;Y_5,\;Y_2,\;Y_4,\;Y_8$$HCO_3^-$형, $Y_6$$CI^-$형, $Y_7$은 특징없는 물로 분류되었다. 강수(precipitation)와 온천수의 삼중수소 준위를 기초로 한 연대측정에서 piston flow model에 의해 $Y_1$은 -89년으로 가장 오래된 온천수며, $Y_7$은 -2년으로 가장 최근의 물로 계산되었다. 또한 dispersive model에 의한 값도 $Y_1$은 89년, $Y_7$은 2년된 물로 계산되어 piston flow model값과 거의 같은 결과를 얻었다.

  • PDF

충청지역 탄산수의 산출양상, 지화학적 특성 및 생성기원 (Occurrence, Geochemistry and Origin of $Co_2$-rich Water from the Chungcheong Area, Korea)

  • 정찬호;김종근;이재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2호
    • /
    • pp.227-241
    • /
    • 2001
  • 앙성지역, 초정리지역, 명암지역, 부강지역 그리고 대평리지역 등 충청지역 몇 곳에서 탄산수가 산출된다. 이들 탄산수는 독특한 수질화학적 특성 때문에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탄산수의 산출은 중생대 화강암과 편마암의 지질경계부, 단층대, 화강암내 암맥군과 같은 지질구조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충청지역 탄산수의 수질화학적 특성은 높은 $Co_2$의 함량 ($P_{co2}$/=0.25~0.99 atm), 약산성의 pH, 101~2,950 $\mu$S/cm 범위의 전기전도도, Ca-HCO$_{3}$형 내지 Ca(Na)-$HCO_3$형의 화학조성으로 요약된다. 탄산수에 대한 $^2H$/$^1H$, $^{18}O$/$^{16}O$ 동위원소 조성비를 분석한 결과 모두가 순환수 기원임을 지시한다. 그리고 탄산수의 탄산염 침전물에 대한 탄소동위원소 분석결과 $\delta$$^{13}C$ 값이 -3.1~-6.8$\textperthousand$ PDB 범위를 보여 탄산수내 $Co_2$는 심부기원임을 지시하며, 탄산수내 높은 중탄산이온의 일부는 탄산염암의 영향을 받았음을 지시한다. 탄산수의 화학성분을 결정한 주요 근원광물은 화강암과 편마암내 사장석과 암맥이나 이차광물로 산출되는 탄산염광물로 해석된다.

  • PDF

Spirulina platensis NIES 39의 성장을 위한 최적배양조건 (Optimum Culture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Spirulina platensis NIES 39)

  • 김영민;김미령;권태호;하종명;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0권3호
    • /
    • pp.285-289
    • /
    • 2009
  • 최근 지구온난화 및 식량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그 해결책으로 미세조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광합성 미세조류 Spirulina platensis는 이산화탄소를 고정할 수 있으며, 영양적 가치가 우수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irulina platensis NIES 39의 대량 배양을 위한, 배양온도, 초기 pH, 조도, 탄소와 질소원의 농도 등의 요인에 대한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배양 온도 $35^{\circ}C$에서 초기 pH 9.5, 조도 4500 lux에서 건조균체중량 2.10 g/L, 클로로필 함량 29.53 mg/L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때의 탄소원과 질소원의 농도는 각각 16.8 g/L $NaHCO_3$, 2.5 g/L $NaNO_3$이었다.

Chemical properties of cores in different environments; the Orion A, B and λ Orionis clouds

  • Yi, Hee-Weon;Lee, Jeong-Eun;Tie, Liu;Kim, Kee-Tae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80.1-80.1
    • /
    • 2017
  • We present preliminary results of KVN single dish telescope observations of 80 dense cores in the Orion molecular cloud complex which contains the Orion A, B, and ${\lambda}$ Orionis cloud. We investigate the behavior of the different molecular tracers and look for chemical variations of cores in the three clouds in order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llar feedback. The most commonly detected molecular lines (with the detection rates higher than 50%) are N2H+, HCO+, H13CO+, C2H, HCN, and H2CO. The detection rates of dense gas tracers, N2H+, HCO+, H13CO+, and C2H show the lowest values in the ${\lambda}$ Orionis cloud. We find difference between molecular D/H ratios and N2H+/H13CO+ abundance ratios towards different clouds, and between protostellar cores and starless cores. Eight starless cores in the Orion A and B clouds exhibit high deuterium fractionations, larger than 0.10, while in the ${\lambda}$ Orionis cloud, no cores reveal the high ratio. These chemical properties could support that cores in the ${\lambda}$ Orionis cloud are affected by the photo-dissociation and external heating from the nearby H II region, which is a hint of negative stellar feedback on core formation. The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N2H+]/[H13CO+] ratios leads us to suggest that there are significant evolutionary differences between the Orion A/B and ${\lambda}$ Orionis clouds. In order to examine whether starless cores can be candidates of pre-stellar cores, we compared the core masses estimated from the 850 um emission to their Virial masses calculated from the N2H+ line data and find that most of them are not gravitationally bound in the three clouds.

  • PDF

수액가온요법과 피부가온요법이 개복술 환자의 저체온 예방에 미치는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Intravenous Fluid Warming and Skin Surface Warming on Peri-operative Body Temperature and Acid Base Balance of Elderly Patients with Abdominal Surgery)

  • 박효선;윤혜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1061-107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intravenous fluid warming and skin surface warming on peri-operative body temperature and acid base balance of abdominal surgical patients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anuary 4th, to May 31, 2004. The intravenous fluid warming(IFW) group(30 elderly patients) was warmed through an IV line by an Animec set to $37^{\circ}C$. The skin surface warming(SSW) group(30 elderly patients) was warmed by a circulating-water blanket set to $38^{\circ}C$ under the back and a 60W heating lamp 40 cm above the chest. The warming continued from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to two hours after completion of surger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nd Bonferroni methods. Results: SSW was more effective than IFW in preventing hypothermia(p= .043), preventing a decrease of $HCO_3{^-}$(p= .000) and preventing base excess(p= .000)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 between the SSW and IFW(p= .401) group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skin surface warming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hypothermia, and $HCO_3{^-}$ and base excess during general anesthesia, and returning to normal body temperature after surgery than intravenous fluid warming; however, skin surface warming wasn't able to sustain a normal body temperature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