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TCHED EGG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7초

탁수조건에 따른 피라미 치자어의 생존률 비교 (Comparison of Larval Fish Survival of Pale chub (Zacco platypus) Exposed to Different Levels Turbidity)

  • 문운기;배대열;정명숙;이상돈;김재구
    • 생태와환경
    • /
    • 제45권3호
    • /
    • pp.314-32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탁수농도에 따라 생물서식지에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 지수를 활용하여 탁수에 대한 어류영향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 하천에서 우점비율이 가장 높은 피라미를 대상으로 발생단계별로 탁수에 대한 모의실험을 수행한 결과 발생 초기단계에서는 탁수에 대한 반응이 민감하게 나타났지만 성체단계에 이르면서 고탁수에 대한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어종에 대한 탁수반응은 어종별 내성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수생태 건강성평가와 연계하여 하천의 건강성상태를 결정한 후, 평가등급에 따라 탁수에 대한 농도와 배출 허용기간을 적용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동갈돗돔, Hapalogenys nitens의 자연산란과 난발생 특성 (Natural Spawning and Characteristics of Egg Development of the Indoor Cultured Grunt, Haphlogenys nitens)

  • 강희웅;김종화;이권혁;김종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0-186
    • /
    • 2004
  • 본 연구는 동갈돗돔의 대량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연산란을 유도하여 산란된 알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어미는 3년동안 실내사육한 자연산 7마리로서, 크기는 전장 34.0∼44.0 cm (38.6$\pm$4.0 cm), 체중 1.00∼2.23 kg (1.62$\pm$0.50 kg)이었다. 산란은 2000년도에는 9월 22일부터 10월 1일까지 9일간, 2001년도의 경우, 8월 22일부터 10월 3일까지 37일 동안 이루어졌다. 산란기간 중 수온은 19.8∼28.5$^{\circ}C$범위였다. 알의 ml당 수는 1,700개였고, 2년 간 총 산란량은 22,883,000개로, 이 중 부상률은 41.7% (9,539,000개)였다. 부상란에 대한 수정률은 85.0∼99.9%였으며, 부화율은 2.9∼93.0%였다. 수정란은 분리부성란으로 난경은 0.85∼0.98 mm였으며, 유구는 1∼5개가 존재하였다. 수온 26 $^{\circ}C$ 에서 수정 10분 후에 배반이 형성되었으며, 수정 후 50분에는 16세포기, 3시간 후에는 포배기, 7시간 30달 후에는 배체가 형성되었다. 부화는 수정 20시간 40달 후에 이루어졌으며,부화자어의 크기는 전장 1.81$\pm$0.18 mm이었다. 수온별 부화소요시간은 23$^{\circ}C$에서는 31∼34시간, 29$^{\circ}C$의 경우, 17∼20시간이 소요되었다.

전자빔 조사가 담배가루이,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과 점박이응애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n-beam Irradiation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Bemisia tabaci, Myzus persicae, Plutella xylostella and Tetranychus urticae)

  • 문상래;손봉기;양정오;우종석;윤창만;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9-137
    • /
    • 2010
  • 전자빔 조사(30, 50, 70, 100 Gy)가 주요 농업해충(담배가루이,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 점박이응애)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점박이응애 알의 부화는 조사량이 많아질수록 억제되었으며, 특히 담배가루이와 점박이응애 알은 10 0Gy 조사량에서 부화가 100%억제되었다. 그러나 약충/유충, 번데기,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점박이응애의 알에 조사했을 때 부화유충의 우화억제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70 Gy 조사량에서 담배가루이 우화성충은 산란을 하지 않았고, 100 Gy 조사량에서 배추좀나방 우화성충의 산란수가 감소하였다.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복숭아혹진딧물, 점박이응애 약충/유충에 조사했을 때 70과 100 Gy 조사량에서 부화유충에 미치는 영향과 비슷하였다. 배추좀나방 번데기에 조사했을 때 100 Gy에서 산란수가 감소하였고, 산란한 알이 100% 부화하지 못했다.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복숭아혹진딧물, 점박이응애의 성충에 조사했을 때 70, 100 Gy에서 산란수/산자수가 감소하였으며, 산란한 알의 부화억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담배가루이 알은 부화가 100%억제되었다. 그러나, 4종의 주요 농업해충의 모든 발육태에 조사하였을 때 성충수명에는 영향이 없었다.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mbryo, Larvae and Juvenile in Yellowtail kingfish, Seriola lalandi

  • Yang, Sang Geun;Hur, Sang Woo;Ji, Seung Cheol;Lim, Sang Gu;Kim, Bong Seok;Jeong, Minhwan;Lee, Chi Hoon;Lee, Young-D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2호
    • /
    • pp.109-118
    • /
    • 2016
  • This study monitored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mbryo, larvae and juvenile yellowtail kingfish, Seriola lalandi, for their aquaculture. The fertilized eggs obtained by natural spawning were spherical shape and buoyant. Fertilized eggs were transparent and had one oil globule in the yolk, with an egg diameter of $1.35{\pm}0.04mm$ and an oil globule diameter of $0.32{\pm}0.02mm$. The fertilized eggs hatched 67-75 h after fertilization in water at $20{\pm}0.5^{\circ}C$. The total length (TL) of the hatched larvae was $3.62{\pm}0.16mm$. During hatching, the larvae, with their mouth and anus not yet opened. The yolk was completely absorbed 3 days after hatching (DAH), while the TL of post-larvae was $4.72{\pm}0.07mm$. At 40 DAH, the juveniles had grown to $30.44{\pm}4.07mm$ in TL, body depth increased, the body color changed to a black, yellow, and light gray-blue color, and 3-4 vertical stripes appeared. At 45 DAH, the juveniles were $38.67{\pm}5.65mm$ in TL and $10.10{\pm}0.94mm$ in body depth. The fish were green with a light orange color, with 7 faint green-brown stripes on the sides of their body. At 87 DAH, the juveniles had grown to 236.11 mm in TL, 217.68 mm in fork length, and 136.5 g in weight. The fish resembled their adult form, with a light yellow-green body color, loss of the pattern on the sides of their body, and a yellow coloration at the tip of the caudal fin.

버들붕어, Macropodus chinensis의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 (Reproductive Ecology and Early Life History of Paradise Fish, Macropodus chinensis (Pisces; Belontidae) in Aquarium)

  • 송호복;최신석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82-294
    • /
    • 2000
  • 버들붕어, M. chinensis를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적으로 성숙한 수컷은 수표면에 기포소를 만들고 세력권을 형성하였으며, 암컷을 기포소 밑으로 유인한 후, 180$^{\circ}$ 회전한 자세로 산란과 방정을 하였다. 산란 행동은 1${\sim}$3시간 동안 계속되었으며, 수컷은 산란직 후부터 자어가 기포소를 벗어날 때까지 보호행동을 하였다. 다양한 수온 조건 중, 28$^{\circ}C$에서 산란 횟수와 산란수가 가장 많았으며, 난의 부화율은 26$^{\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은 투명하고 부성이었으며, 물 흡수 후 난의 크기는 0.95${\sim}$1.05 mm, 난황은 0.75${\sim}$0.80mm였다. 수온 26.0${\pm}$1$^{\circ}C$에서 난할은 약 15분 간격으로 진행되었으며, 42${\sim}$44시간만에 부화되었다 (전장 3.0${\sim}$3.2 mm). 부화 후 4${\sim}$5일 (전장 4.5${\sim}$5.4 mm)부터 먹이를 섭취하고 기포소 밖으로 흩어져 독립생활을 시작하였으며, 약 40${\sim}$45일 (전장 18.2${\sim}$23.5 mm)에는 치어기에 달하였다. 부화 후 90~110일에는 전장이 37.4${\sim}$48.2mm로 체형이 성어와 같아지고, 45.0 mm 이상의 개체들은 이차성징이 나타나 성구별이 가능하였으며, 전장 50.0 mm 전, 후에 달하는 약 120일 이후에는 산란에 이르렀다.

  • PDF

시험관내에서 돼지회충(Ascaris suum) 함자충란(L2)의 인공배양 (In vitro cultivation for development of Ascaris suum from the decoated and embryonated eggs(second-stage larva))

  • 지차호;박승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7-117
    • /
    • 1998
  • The cultivation for development of Ascaris suum from the second-stage larvae($L_2$) embryonated egg and the third-stage of rat-derived larvae($L_3$) recovered from lung of rats were performed to use the screening test of anthelmintics in vitro. The preparations of larvae for cultivation were that the artificially-hatched $L_2$ incubated the embryonated eggs of Ascaris suum in 0.1% formalin solution at $25^{\circ}C$ for 28 days and the rat-derived larvae($L_3$) recovered from the lung of rat infected with the embryonated eggs of Ascaris suum on 7 days after infection(DAI). The cultivation for development of Ascaris suum from the embryonated eggs($L_2$) and the rat-derived larvae($L_3$) for 14 days in RPMI medium 1640(with 5% bovine calf serum) were as follows : 1. The sizes of the liberated larvae($L_2$) which were artificially hatched from embryonated eggs with glass beads(diameter 5mm) were $190{\sim}250{\mu}m$ on 1 days in culture(DIC). The second-stage larvae were molted into third-stage larvae(early $L_3$; $250{\sim}300{\mu}m$) and the features of these larvae were first observed such as cephalic cuticle, esophageal lumen and anus etc. on 5 DIC and the sizes of late third-stage larvae were $250{\sim}450{\mu}m$ on 10 DIC. The sizes of early fourth-stage larvae($L_4$) were $500{\sim}700{\mu}m$ and the features of these larvae were more pronounced in internal organs on 15 DIC. 2. The sizes of third-stage larvae($L_3$) recovered from the lung of rats were $1,340{\sim}1,370{\mu}m$ and the feartures of cephalic cuticle, esophageal lumen, intestine, rectum, anus were visualized by inverted microscope on 1 DIC. The fourth-stage larva($L_4$) completed by third ecdysis were recognizable and sizes of early fourth-stage larvae were developed as $1,400{\sim}2,200{\mu}m$ on 5 DIC. The sizes of middle fourth-stage of larva were $1,900{\sim}2,300{\mu}m$ and the thickened epithelial rectum was observed on 10 DIC. The rectum and anus of late fourth-stage larva($L_4$ $2,500{\sim}3,200{\mu}m$) had developed completely in RPMI medium 1640 on 15 DIC.

  • PDF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Goby Minnow, Pseudogobio esocinus)

  • 이성훈;오광남;김관석;오용석;강경완;황재호;이배익;이원교;한경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3호
    • /
    • pp.283-288
    • /
    • 2008
  • 이 연구는 2003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라남도 보성군 겸백면 율어리 소재의 보성강 중류에서 투망과 족대를 이용하여 채집된 모래무지 어미들을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자원생물실험실로 운반하여 실내 사육하면서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관찰하였다. 모래무지의 수정란은 구형의 침성부착란으로 난경은 $1.98{\pm}0.19mm$(n=50)였고, 반투명하였다.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정 후 164시간부터였고, 이 때 근절수가 31$\sim$32개였으며, 배체의 움직임이 활발하였으며, 머리부터 난막을 뚫고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4.61{\pm}0.83mm$(n=10)로 난황은 아직 흡수하지 않은 상태였으며,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다. 등쪽과 배쪽, 꼬리쪽에 별모양과 점모양의 흑색소포가 산재하였으며, 눈에는 색소포가 진하게 착색되어 있었다. 부화 후 42일째는 전장 $16.22{\pm}0.65mm$(n=10)로 흑색소포가 두부와 등쪽과 체측면에 따라 짙게 산재하였고, 주둥이 양쪽에 수염이 나타났으며, 체형이나 반문이 성어와 완전히 닮아 있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 PDF

뽕밭에서 월동하는 뽕나무하늘소(Apriona germari Hope)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Longicorn Beetle, Apriona germari Hope, at the Hibernation Stage in Mulberry Fields)

  • 윤형주;박인균;마영일;이상범;양성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7-72
    • /
    • 1997
  • 우리나라에서 뽕나무 및 과수의 주요 천공성해충으로 알려진 뽕나무하늘소의 지역별 분포, 알 과 부화유충의 크기 및 월동중 생존률, 그리고 월동태 등 생태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7개도의 뽕밭에서 뽕나무하늘소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경기지역이 3.05%로 가장 높았고 경남지역은 0.28%로 가장 낮았다. 가지당 산란흔 수는 1가지에 1개가 87.7%로 가장 많았고, 산란흔의 크기는 평균 $2.38\times1.45\times0.34$ cm 였으며, 산란흔을 가지고 있는 가지의 지경은 평균 1.7cm 였다. 알의 크기는 단경 $2.32\pm0.33$ mm, 장경 $6.60\pm0.55$ mm로 긴 타원형이었으며, 무게는 $16.6\pm2.94$ mg 이었다. 부화유충은 체중이 $16.6\pm2.4$ mg, 체장은 $6.36\pm0.66$ mm로 유백색이었다. 유충의 가지내 이동방향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야외사육의 경우 94.2%, 실내가지육에서는 87.9%로 대부분 아래쪽으로 이동하였다. 수집한 가지의 산란흔을 가지고 월동태를 조사한 결과 경기.경북지역에서 알의 비율이 유충비율보다 2~3배 많았으며 전북, 전남, 경남지역에서는 유충비율이 높았다. 월동후 유충의 생존율은 91.2%로 매우 높은 반면 알의 생존율은 6.6%로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비록 낮은 비율이지만 뽕나무하늘소의 경우 알로도 월동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산 미꾸리에 관한 육종 번식학적 연구 III. 초기 난발생 (Breeding and Reproductive Studies on Korean Native Loach III. Early Embryonic Development)

  • 이종영;윤종만;이재현;신재구;박홍양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3-76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time of the second polar body for producing Gynogenesis or Triploid which could be obtained by arresting the second polar body by cold shock, and then blastoderm was used to measure fertility that revealed the nature of oogenesis,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on fertility, hatchability, abnormality, viability and growth rate, and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breeding methods to prevent early death of larvae in Korean loach(Misgurnus anguillicaudatus) ;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cond polar body was observed ont he surface of plasma disc close to micropyle within 10~40 min after fertilization at 29$^{\circ}C$. Artificial inseminatin had to be done immediately after the egg spawning because the spermatozoa of loach their mobility within 2 minutes when they were exposed to water. The amount of time needed to reach at blastoderm stage was 12 hours if fertilized eggs were incubated at 16$^{\circ}C$, 8 hours at 19$^{\circ}C$, 6 hours at 21$^{\circ}C$, 5 hours at 23$^{\circ}C$, 4 hours at 26$^{\circ}C$ and 3 hours 30 min at 29$^{\circ}C$ showing the shorter time for development of eggs at higher temperature. Fertilization rates in water temperatures of 19$^{\circ}C$, 21$^{\circ}C$, 23$^{\circ}C$, and 26$^{\circ}C$ were higher than those of water temperatures, 16$^{\circ}C$ and 29$^{\circ}C$. Water temperatures at 19$^{\circ}C$, 21$^{\circ}C$, and 23$^{\circ}C$ showed higher hatching rates that those of 16$^{\circ}C$, 26$^{\circ}C$, and 29$^{\circ}C$, while abnormal rates in 16$^{\circ}C$, 19$^{\circ}C$, 21$^{\circ}C$ and 23$^{\circ}C$ were lower than that of 26$^{\circ}C$ and 29$^{\circ}C$. Water temperatures at 16$^{\circ}C$, 19$^{\circ}C$, 21$^{\circ}C$, 23$^{\circ}C$ and 26$^{\circ}C$ respectively, were more different than 29$^{\circ}C$ in survival rates. The embryos were hatched at 72 hours after fertilization in 16$^{\circ}C$ water temperature, 48 hours in 19$^{\circ}C$, 40 hours in 21$^{\circ}C$, 32 hours in 23$^{\circ}C$, 25 hours in 26$^{\circ}C$, and 16 hours in 29$^{\circ}C$. Within three days after hatched out, the larvage grew 3mm in total length, the yolk granules were entirely consumed and the head and the trunk became thicker. Within 45 days after hatched out, the larva grew 25mm at 29$^{\circ}C$, 21mm at 26$^{\circ}C$, 16mm at 23$^{\circ}C$, 15mm at 21$^{\circ}C$, 12mm at 16$^{\circ}C$ in a 30 litreglass aquarium.

  • PDF

강담돔 (Oplegnathus punctatus)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e and Juveniles of Spotted Knifejaw, Oplegnathus punctatus)

  • 박재민;이성훈;윤성민;나해춘;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1-77
    • /
    • 2015
  • 강담돔의 수정난을 부화시켜 사육하면서 난 발생 과정과 자치어 발달과정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구형의 무색 투명한 분리 부성란이었고, 1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난의 크기는 1.01~1.15 mm 범위였다 (평균 $1.08{\pm}0.10mm$, n=20). 사육수온은 $22.5{\sim}24.5^{\circ}C$ (평균 $23.0{\pm}0.05^{\circ}C$), 염분농도는 33.5~34.5‰ (평균 $34.0{\pm}0.05$‰)의 범위를 유지시켜 주었다. 난 발생 과정은 수정 25분 후에 난막과 난황이 분리되면서 배반이 형성되었다. 수정 후 55분에는 난할이 2개로 분리되어 2세포기에 달하였다. 수정 후 20시간 50분에는 배체가 머리 부분부터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의 난황자어는 전장 2.10~2.20 mm (평균 $2.15{\pm}0.07mm$, n=10)로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고, 난황과 유구는 부화 2일 후 흡수되었다. 부화 후 12일째 중기자어는 전장 4.43~4.80 mm(평균 $4.62{\pm}0.26mm$)로 꼬리지느러미는 부채꼴 모양으로 발달하였고, 흑색소포는 소화관 위쪽으로 침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