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OPHYTE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3초

Constituents of the Halophyte Salicornia herbacea

  • Lee, Yeon-Sil;Lee, Hye-Seung;Shin, Kuk-Hyun;Kim, Bak-Kwang;Lee , Sang-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10호
    • /
    • pp.1034-1036
    • /
    • 2004
  • Four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Salicornia herbacea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1), stigmasterol (2), uracil (3), and isorhamnetin-3-O-${\beta}$-D-glucopyranoside (4) by spectral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the published data.

퉁퉁마디로부터 색소체 외막 단백질 유전자의 분리 및 발현분석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Outer Envelope Membrane Protein from Salicornia herbacea)

  • 네티 엘마와티;차준영;양영실;정민희;신동진;이병현;이곤호;손대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273-278
    • /
    • 2004
  • Differential display 방법으로 NaCl에 의하여 발현이 증가되는 cDNA들을 분리하였으며 그중 하나가 식물유래의 outer envelope membrane protein과 높은 유사성을 보였으므로 이를 ShOEP로 명명하였다. ShOEP는 1293 bp 길이에 35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부터 추정되는 분자량은 8.9 kDa이었다. ShOEP 단백질은 애기장대의 OEP와는 40.6%, 시금치와는 38%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Northern 분석결과, ShOEP 유전자는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생식물인 퉁퉁마디의 OEP는 PEG에 의하여 발현이 증가하는 반면 비염생식물인 애기장대의 OEP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효모 complementation 실험결과 ShOEP는 NaCl에 특이적이었으며 식물의 염분스트레스 내성 기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송나물(Salsola komarovii)의 항산화, 항염 및 미백 활성 (The Antioxidation Effect of Salsola komarovii Extract and Its Influence on Cell Bio activity)

  • 김민정;김숙희;이자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08-317
    • /
    • 2020
  • 수송나물은 동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염생식물로 바닷가와 같은 염분이 많은 토지에서도 생장이 가능한 식물이다. 전통적으로 수송나물은 식품으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약용으로도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수송나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실험 및 세포실험을 실시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을 위해 수송나물을 70% 에탄올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항산화 측정에는 DPPH와 ABTS 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각각의 실험에서 IC50값이 186.10 mg/mL과 121.89 mg/mL로 나타났다. 동시에 폴리페놀 함량과 환원능 측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22.5%의 폴리페놀 함량과 28.4%의 환원능이 나타났다. 세포실험에서는 MTT 법을 사용하여 해당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음을 나타내었으며, 100 ㎍/mL 농도에서 항염능과 미백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수송나물 추출물은 미백 및 항염능을 가진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two plasma membrane protein 3 genes (PutPMP3) from the alkali grass, Puccinellia tenuiflora, and functional comparison of the rice homologues, OsLti6a/b from rice

  • Chang-Qing, Zhang;Shunsaku, Nishiuchi;Shenkui, Liu;Tetsuo, Takano
    • BMB Reports
    • /
    • 제41권6호
    • /
    • pp.448-454
    • /
    • 2008
  • Two full-length cDNAs, PutPMP3-1 and PutPMP3-2, encoding PMP3 family proteins were isolated from Puccinellia tenuiflora, a monocotyledonous halophyte. Expression of both genes was induced by low temperature, salt stress, dehydration, ABA, and $NaHCO_3$. Transcripts of PutPMP3-2 were more strongly induced by these stresses relative to those of PutPMP3-1, particularly under low temperature and dehydration conditions. Expression of PutPMP3-1 and PutPMP3-2 in yeast mutants lacking the PMP3 gene can functionally complement the membrane hyper-polarization and salt sensitivity phenotypes resulting from PMP3 deletion. To compare the functions of PutPMP3-1 and PutPMP3-2, the orthologous genes in rice (OsLti6a and OsLti6b) were isolated. Both OsLti6a and OsLti6b could functionally complement the loss of PMP3 in yeast. PutPMP3-2 and OsLti6a were more effective in reversing membrane hyperpolarization than PutPMP3-1 and OsLti6b. However, the four yeast transformants each showed similar levels of salt toleranc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se PMP3 family members don't function identically under different stress tolerance conditions.

고창갯벌의 염생식물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from the Roots of Halophytes Growing in Go-chang Salt Marsh)

  • 유영현;윤혁준;우주리;서영교;김미애;이경민;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6-92
    • /
    • 2012
  • 염생식물인 칠면초, 갈대, 갯질경, 해홍나물을 고창갯벌로부터 채집하였으며, 39점의 내생진균을 염 습지에 자생하고 있는 염생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하였다. 내생진균들은 ITS1, 5.8s와 ITS2를 포함하는 ITS-rDNA 영역에 의해 분석되었다. 다양한 내생진균은 Eurotiales (36%), Pleosporales (26%), Hypocreales (18%), Incertae sedis (8%), Glomerellales (5%), Sordariales (2%), Xylariales (2%), Capnodiales (3%)등 8종류 목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9점의 내생진균은 속(genus)단계에서 Alternaria, Aspergillus, Chaetomium, Cladosporium, Colletotrichum, Coniothyrium, Dothideomycete, Fusarium, Gibberella, Macrophoma, Penicillium, Pestalotiopsis, Phaeosphaeria, Phoma, Pleosporales, Pseudozyma, Talaromyces, 그리고 Termitomyces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내생진균은 Eurotiales목의 Penicillium속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화 동검도 염습지 식생의 분포와 저서환경조건의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Variation in the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alt Marsh Vegetation in Donggeomdo, Incheon, Korea)

  • 이형곤;박흥식;홍재상;제종길;이재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spc1호
    • /
    • pp.180-188
    • /
    • 2006
  • We examined the effect of salt marsh vegetation on the benthic environment in macro-tidal flats at Donggeomdo, Ganghwa, on the west coast of Korea. Nine stations were established along a transect across the tidal flats, including salt marsh, and field sampling was conducted monthly from July 1997 to June 1998. During the study period, environmental parameters fluctuated as follows: salinity, 15.0 to 28.2 psu, exposure time, 613 to 702 hr/m, inundation time, 28 to 117 hr/m, sediment organic carbon, 0.71 to 1.34%, nitrogen, 0.07 to 0.16%, sulfur from 0.07 to 0.22%, mean grain size from 6.3 to $6.9{\phi}$, water content from 19.4 to 44.4%, water temperature from 4.4 to $20.4^{\circ}C$ and temperature of the surface sediments, 2.7 to $31.1^{\circ}C$, in total, seven halophyte species were sampled and found to be vertically distributed across the tidal levels. Carer scabrifolia, Suaeda maritima, Limonium tetragonum and Phragmites communis dominated the upper zone of the salt marsh, Juncus haenkei, Triglochin maritimum and P. communis dominated the middle zone, and Suaeda japonica predominated in the lower ar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hat the zonation of halophytes was related to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salinity and exposure time. The halophyte communities were likely related to the organic content of the surface sediment.

중선포천, 관곡천, 광양서천에서 염생식물과 수생식물상 분포 (Floristics of Halophytes and Hydrophytes in the Jungseonpo, Gwingok, and Gwangyangseo Rivers)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6-190
    • /
    • 2020
  • 염생식물은 해수와 염분 토양에 강한 염분 내성에 적응된 식물이다. 본 연구는 중선포천(경상남도 사천시), 관곡천(경상남도 하동군), 광양 서천(전라남도 광양시)에서 염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분포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중선포천에서는 총 6종의 염생식물과 10종의 수생식물이 수집되었다. 관곡천과 중선포천에서는 각각 5종, 11종의 염생식물이 관찰되었다. 관곡천과 중선포천에서는 각각 5과 13종, 8과 16종의 수생식물이 관찰되었다. 이 중 모새달(Phacelurus latifolius)은 한국의 서부와 남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여, 이 종은 생태 및 보존적 멸종위기종이다. 개발에 따른 분포지의 축소가 일어나고 있어 많은 염생 식물종의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다. 남해안에 있는 세하천의 본 조사 지역은 염생식물의 분포가 지역간 차이가 있었고, 염생식물이 잘 받달된 서해안과도 달랐다. 돌가시나무(Rosa wichuraiana)를 비롯한 7종이 과거 기록에 추가되었다.

미기록 외래잡초 영국갯끈풀의 국내 분포와 식물학적 특성 (Distribution and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Alien Weed Spartina anglica in Korea)

  • 김은규;길지현;주영규;정영상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65-70
    • /
    • 2015
  • 영국갯끈풀(Spartina anglica)은 영국 남부해안 원산의 다년생 염생 잡초로, 2012년 강화도 동막 해변에서 분포가 최초로 확인되었다. 이에 분포 및 확산실태를 보고하며 식별을 위한 식물학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Spartina 속은 중국을 포함한 세계 여러 나라에 도입되어 생태공학적 측면의 장점이 인정되었으나, 갯벌을 단일 초지화시키면서 염습지의 생태적 기능을 상실시키는 침입성이 강한 식물로 알려졌고, 제거가 쉽지 않아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의 서해안 갯벌에서 출현한 영국갯끈풀의 확산은 국내 갯벌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제거방안 수립과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간척지 인근 농경지에서의 비산 및 부유먼지 확산 모니터링(II): 김제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Fugitive and Suspended Dust Dispersion at the Reclaimed Land and Neighboring Farms: Monitoring in Gim-je)

  • 황현섭;이인복;신명호;홍세운;서일환;유재인;;권경석;김용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2호
    • /
    • pp.59-67
    • /
    • 2009
  • A study on fugitive dusts was conducted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located in Gim-je area. The monitoring result on the fugitive and suspended dus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arming activities (harvesting and land cultivation) and vehicles passing nearby the measuring points. The concentration of the fugitive dust generated from the reclaimed land was reduced remarkably by the effect of halophyte present on the ground and the tide embankment. Comparing the data collected in 2006 and 2007, the concentrations of TSP and PM10 decreased by 47.4% and 29.5%, respectively. After harvesting operations at paddy field, TSP increased by 22% while PM10 increased by 54%. The concentration of a Cl- which is a representative ion of sea-salt decreased to about 35% in 2007 compared with 2006. This represents that the inside area change and plant covering rate affected on the decrease of fugitive dust.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compounds of topsoil at each measuring point shows that near the coastline is more comparable. The canopy of halophyte in the source area also increased which reduced the fugitive dust remarkably. The dust distribution measured by dust spectrometer at the same point shows that most particles are $0.5{\mu}m$ to 2um size but not greater than $5{\m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