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CCP system obstructive factor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서울지역 학교급식 시설 현황 및 HACCP 시스템 운영에 따른 장애요인 인지도 조사 (The School Foodservice Securement Facilities and Perceptions of Barriers to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in Seoul Area)

  • 이애랑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78-590
    • /
    • 2013
  • The subject study was targeted towards nutrition teacher (dietitia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real.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securement facilities & equipments and to analyze the obstructive factors for executing the HACCP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so that a more efficient & effective sanitary management system for school foodservise can be settled in. All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via email. A total of 305 survey papers were collected and out of these, 300 school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order of the securement facilities & equipment furnished were pre-handing equipments>washing>cooking>inspection>facilities>storage>space area>distribution equipments. The awareness of obstructive factors in executing the HACCP system was a total of 3.17 points and the order was as follows. The general obstructive factors>obstructive factors in the cooking staff executing the HACCP system>collaboration between the school/team leaders and the budget supporting department>obstructive factors in the nutrition teacher (dietitian) executing the HACCP system. School foodservice securement facilities & equipments in Seoul area must be renovated and modernized so as to improve its current situation. Furthermore, leadership programs are necessary to enhance nutritionists' understanding of the HACCP system and the cooking staff's competencies in instructing and supervising.

경북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학교급식 HACCP 시스템 수행 수준 및 장애요인 인식 (Dieticians' Perceived Performance Level and Obstructive Factors of HACCP System among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Gyeongbuk Province)

  • 양지혜;성봄이;김미화;정현숙;차명화;류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74-1784
    • /
    • 2014
  • 학교급식소의 HACCP 시스템 적용에 대한 수행 수준과 장애요인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급식 HACCP 시스템의 보다 효율적인 적용과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급식 유형과 급식 운영 형태는 농 어촌형 60.8%, 자체조리 64.3%, 식당배식이 91.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HACCP 시스템 수행 수준은 조리종사원 대상 HACCP에 근거한 교육 실시가 4.0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ACCP팀 회의 개최 및 회의록 작성 비치가 2.74로 가장 낮았다. 학교급식 CCP의 수행 수준 인식은 전체 4.20으로 비교적 잘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CP 1: 식단의 작성이 3.90으로 가장 낮았고, CCP 4: 냉장 냉동고 온도관리 4.44, CP 5: 생채소 과일 세척 및 소독은 4.44로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 일반사항에 따른 수행 수준에서는 도시형이 농 어촌형에 비해 총 급식인원수가 많을수록 수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HACCP 시스템 장애요인 인식에서 '전반적인 장애요인'과 '조리종사원의 HACCP 수행', '학교 팀장 및 예산지원부서의 협력'이 대부분 3.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교)사의 HACCP 수행'은 2.81로 가장 낮았다. 시설 설비 부족 4.00, 교육청의 예산지원 미비 3.90, 납품업체의 HACCP 시스템에 대한 이해부족 3.72 순으로 높은 장애요인으로 인식되었다. 학교급식 HACCP 시스템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영양(교)사 및 조리종사원에 대한 교육, 훈련을 통한 동기부여가 가장 중요하게 해결되어야 할 요소이며, 학교 당국의 행정적 지원과 교육청의 예산 확보를 통한 위생 전담 인력지원도 하루빨리 해결해야 할 요소이다. 또한 표준위생작업절차 등의 선행요건을 개발하여 HACCP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