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7

검색결과 28,305건 처리시간 0.045초

H7 아형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자 특성 (Genetic Characterization of H7-subtype Avian Influenza Viruses)

  • 여지인;권혁무;성환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73-183
    • /
    • 2019
  •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7 subtype에 속하는 바이러스 중 일부는 가금류에 감염할 경우 고병원성이 발휘된다. 또 H7 아형 AIV중 일부는 사람에 감염하여 사망 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야생조류로부터 분리된 H7 아형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6주(H7N7 아형 4주, H7N1 아형 2주)를 대상으로 8개 유전자 분절 전체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병원성, 사람 감염 가능성 등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계통유전학적 분석결과, 국내에서 분리된 H7 아형 분리주들은 8개 유전자(HA, NA, PB2, PB1, PA, NP, M, NS) 모두 Eurasian lineage로 분류되었으나, Eurasian lineage 내에서도 각기 다른 sublineage로 분류되어 유전적 다양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분리주 6주는 HA 단백질 분절부위 아미노산은 두 종류(PEIPKGR 및 PELPKGR)의 motif를 가지고 있었으나, 모두 저병원성 바이러스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숙주세포 결합 특이성과 관련 있는 HA 단백질 receptor-binding site를 분석한 결과, 한국 분리주 모두는 사람 세포 수용체 결합특이성보다는 조류 세포 수용체 결합 특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 감염 가능성을 높게 하는 부위에서의 아미노산 치환(PB2 단백질의 E627K 및 PB1단백질의 I368V)도 나타나지 않았고, 또한 NA stalk region에서의 결손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한국 야생조류에서 분리된 H7 아형 6주 모두는 저병원성 바이러스로 최근 중국에서 사람 감염이 나타나고 있는 H7N9 바이러스와는 유전적으로 다른 계열의 바이러스인 것으로 판단된다.

Bacillus sp. SH-8과 Bacillus sp. SH-8M의 생육 및 배양 특성에 미치는 pH의 영향 (Effect of pH on Growth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 SH-8 and Bacillus sp. SH-8M)

  • 심창환;신원철;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1-376
    • /
    • 1992
  • Bacillus sp. SH-8은 pH 9.0 이상에서 생육이 가능하였고 pH 7.7 이하에서는 배양 12시간부터 O.$D_{550}$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생균수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Bacillus sp. SH-8M은 pH7.7에서 생육이 가능하였고 pH6.9에서도 약간 생육속도가 늦었으나 정상적인 생육을 나타내었다. 고체배지의 생육 양상도 액체배지에서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균주의 형태는 pH 10.2에서 두 균주 모두 단간균위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pH7.7에서는 Bacillus sp. SH-8 균주만이 장간균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균체외 pH는 초기 10.2일 때 두 균주 모두 배양 28시간 후에는 9.0이었고 초기 pH 9.0와 9.6에서는 배양초기에 pH가 저하되었다가 12시간 후부터 상승하였다. 한편, Bacillus sp. SH-8M은 초기 pH 6.9와 7.7일때 배양시간에 따라 균체외의 pH가 8.0과 8.7로 상승하였으나 Bacillus sp. SH-8은 배양 12시간 이후에도 7.0으로 일정하였다. 포자형성능은 Bacillus sp. SH-8과 Bacillus sp. SH-8M 모두 배양 3일 후, 초기 pH 10.2일 때 각각 95%와 85%로 가장 높았다.

  • PDF

MCF-7 세포주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과발현에 의한 방사선 내성의 유도 (Inductoin of Radioresistance by Overexpress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in MCF-7 Cells)

  • 김재철;신세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81-388
    • /
    • 2001
  • 목적 : 사람의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주를 대상으로 gul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유전자의 발현 정도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한 hGSTK1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고 hGSTK1 유전자를 과발현시킴으로써 hGSTK1이 방사선 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관찰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사람의 모유두 세포 pBluescript phagemid cDNA library로부터 선별한 hGSTK1 cDNA를 pcDNA3.1/Myc-His (+) vector에 결합시킨 후, 사람의 유방암 세포인 MCF극 세포에 이입시켰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극 세포와 hGSTK1을 이입시킨 MCF-7 세포에 $2\~12\;Gy$의 엑스선을 조사하여 생존 분획을 비교하였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7 세포와 hGSTK1을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방사선량, 분할조사 여부,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hGSTK1 mRNA 발현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RT-PCR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기 전의 MCF-7 세포보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생존 분획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7 세포에서 2 Gy 생존 분획은 $0.3250{\pm}0.0319$였고,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2 Gy 생존 분획은 $0.4125{\pm}0.0325$였다 (p<0.05). 그러나 RT-PCR에 의한 hGSTK1 mRNA 분석에서는 방사선량, 분할조사 여부,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발현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 : MCF-7 세포주에서 hGSTK1의 과발현은 방사선 감수성에 영향을 미쳐서 MCF-7 세포의 생존 분획을 증가 시켰다고 볼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정확한 기전을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금속알콕시이드로부터 $\beta$-Alumina의 생성 (Formation of Beta-Alumina from Metalkoxide)

  • 공용식;문종수;이서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6-142
    • /
    • 1988
  • β-Al2O3, which is used for solid electrolyte membrances in sodium-sulfur batteries, was prepared by sol-gel process. Sodium-n-propoxide NaOC3H7 and aluminum-isopropoxide Al(OC3H7)3 were hydrolyzated in the solution at pH 3, pH 7, pH 9 and pH 11, respectively. The sol-gel processed samples were calcined at several temperature steps, respectively and analysed by thermal analyser(DT-TGA), infrared spectrum analyser and X-ray diffraction analyser. The gelling rate of solution at pH 7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solution at pH 3. Thermal exchanging behavior of the gels at pH 3 were similar to Na2O·Al2O3·6H2O and, above pH 7, were similar to Na2O·Al2O3·3H2O. When samples' composition ratio was 9.13 : 90.87 [NaOC3H7:Al(OC3H7)3] at pH 7, β-Al2O3 was formed at 1100℃.

  • PDF

pH 자극이 소 정자의 첨모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 Stimulation on Acrosome Reaction of Bovine Spermatozoa)

  • 박영식;임경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5-199
    • /
    • 199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t investigate effect of pH stimulation on acrosome reaction of bovine spermatozo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When sperm was sequentially washed with SHP solution of pH 7.4, 7.7 and 7.4 and incubated in mTALP solution of pH 7.4 for 120min, 15, 30, 60 and 120min incubations showed significantly(p<0.05) higher sperm acrosome reaction rate than 0 min. 2. When sperm was sequentially washed with SHP solution of pH 7.4, 8.0 and 7.4 and incubated in mTALP solution of pH 7.4 for 15 minutes, sperm acrosome reaction rate was significantly(p<0.01) increased until 9 min. Incubation, but not increased thereafter. 3. When sperm were separately washed with SHP solutions of pH 7.0, 7.4 and 8.0 and incubated in mTALP solution of pH 7.4 for 9min, sperm acrosome reaction rate was 74.8, 71.8 and 93.4%. pH 8.0 showed signifciantly(p<0.01) higher sperm acrosome reaction rate than pH 7.0 and 7.4. The results suggest that stimulation of sperm with high pH induces sperm crosome reaction.

  • PDF

저염 명란젓의 Shelf-Life 연장 방안 1. pH 조정에 의한 연장 효과 (The Shelf-Life Extension of Low-Salted Myungran-Jeot 1. The Effects of pH Control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 김상무;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59-465
    • /
    • 1997
  • 저염 젓갈의 shelf-life를 연장하기 위하여 pH를 조정한 침지액으로 명란젓을 제조한 다음, 숙성과정중의 여러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숙성중 pH 변화는 어느정도 일정하였으나 젖산량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은 숙성초기에 급격한 젖산생성량을 나타내었다.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인 경우, 아미노태질소량은 숙성초기에 증가하였다가 그 후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VBN 량은 어느정도 증가하였으나 그 변화폭은 대조군 및 pH 7.0에서 제조한 명란젓보다 적었으며, TMA량도 대조군 및 pH 7.0으로 조정한 명란젓보다 작았으며 숙성이 진행되는 동안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TBA 값은 전 시료에 있어 숙성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은 대조군 및 pH 7.0으로 조정한 명란젓에 비해 증가율이 낮았으며 특히, 현저한 미생물 성장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대조군 및 pH 4.7로 조정한 명란젓 사이에는 뚜렷한 미생물 변화 차이는 없었다. 대조군 및 pH 7.0으로 조정한 명란젓의 shelf-life는 각각 약 12일로 뚜렷한 차이 (p<0.1)는 없었으나 pH 4.7로 조정한 명란젓은 16일로 대조군 보다 약 4일 정도 shelf-life가 연장되었다.

  • PDF

$H_2O$$D_2O$ 에서 메트미오글로빈의 압력에 의한 변성의 비교 연구 (Comparision of the Pressure Denaturation of Metmyoglobin in $H_2O$ and $D_2O$)

  • 김건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19
    • /
    • 1984
  • 메트미오글로빈의 압력에 의한 변성의 $H_2O$$D_2O$에서의 차이를 pH 5.7과 pH 7.0에서 연구하였다. 메트미오글로빈은 $D_2O$에서 $H_2O$보다 더 작은 압력에서 변성하였다. 그 차이가 pH 5.7에서가 pH 7에서 보다 더 컸다. $H_2O$$D_2O$에서 이 안정도의 차이가 단백질에 대한 $H^+$$D^+$의 결합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며 또한, 수소가 중수소로 바뀜에 따르는 구조 변화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cherichia coli O157:H7에 감염된 마우스에 대한 정향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Flos Syzygii Aromatici Extracts against Mice Infec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 이수미;손송이;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6-340
    • /
    • 2017
  • 본 연구는 정향추출물의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와 E. coli O157:H7 감염 마우스에 대한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향 메탄올 추출물(FSAE)을 이용하여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배양 후 24시간째에, FSAE를 첨가한 모든 군들에서 E. coli O157:H7의 생존율이 무투여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0.269 mg/ml, p < 0.05; 0.538과 1.075 mg/ml, p < 0.001), FSAE가 E. coli O157:H7의 증식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E. coli O157:H7을 감염시킨 마우스에 FSAE를 경구로 투여한 결과, 투여 후 3일째에, FSAE를 1.075 (p < 0.05)와 2.15 mg/ml (p < 0.01)로 투여한 군들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분변내 E. coli O157:H7의 균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투여 7일째에는, 모든 FSAE 투여군들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E. coli O157:H7의 균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0.538 mg/ml, p < 0.05; 1.075와 2.15 mg/ml, p < 0.001).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FSAE를 E. coli O157:H7에 감염된 마우스에 경구로 투여할 경우, 감염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데아자퓨린 유도체의 합성 (Synthesis of 7-Deazapurine Derivatives)

  • 신관석;남재우;이창규;전종갑
    • 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8-234
    • /
    • 1993
  • A new series of 7-deazapurine derivatives[7,8] as purine antagonists was prepared. Diethyl 4-cyano-N-(diphenyimethylene)-3-arylglutamate[3] were synthesized by LDA-catalyzed Michael addition of N-(diphenylrnethylene)glycine ethyl ester with (E)-2-cyano-3-arylacrylate. Deprotection yields diethyl 4-cyano-3-arylglutamate, which were easily cyclized to 4-cyano-2-ethoxycarbonyl-5-oxo-3-arylpyrrolidine[4]. The compounds[4] were treated with NaBH$_{4}$ and then with (C$_{2}$H$_{5}$)$_{3}$OBF$_{4}$ to give 4-cyano-5-ethoxy-2H-2-ethoxymethyl-3-aryl-3,4-dihydropyrrole[6], which were converted to 7-aryl-6-amino-8-ethoxymethyl-7,8-dihydro-7(3H, 9H)-deazapurine-2-thione[7] and 7-aryl-2,6-diamino-8-ethoxymethyl-7,8-dihydro-7(9H)-deazapurine[8] with possible activity against neoplastic disease.

  • PDF

과산화수소와 유산ol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및 Listeria monocytogenes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by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 장재선;이미연;이제만;김용희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4호
    • /
    • pp.69-75
    • /
    • 2004
  •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food processing agent on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as performed with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and combina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The 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hydrogen peroxide in E coli O157:H7 was 100 ppm at pH 5.0, 6.0, 6.5 and 7.0, while in Listeria monocytogenes 25 ppm at PH 5.5, 6.0 and 50 ppm at PH 6.5, 75ppm at pH 7.0. MIC of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was 2500 ppm at pH 5.0, 6.0, 6.5 and 7.0. MIC of lactic acid in S. Enteritidis was 1250 ppm at pH 5.0, 2500 ppm at pH 5.5, 6.0, 5.5 and 7.0, while in L monocytogenes 625 ppm at pH 5.5 and 125 ppm at pH 6.0, 6.5 and 7.0. MIC of combined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s was 75 ppm of hydrogen peroxide with 2500 ppm of lactic acid at pH 6.5. The correlations between MICs of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 were obtained throug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R^2$ value were 0.9994, 0.9935 and 0.9283, respectively. The inhibitory effect of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s could be confirmed from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food process would increase or maintain by using lactic acid together with hydrogen perox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