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235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27초

엘크 녹용의 물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About Velvet Antler of the Elk(Cerus canadensis))

  • 성시흥;한진희;김영민;김병국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1-21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녹용의 상품성 향상을 위한 건조 및 포장방법의 개발, 녹용의 유통체계 확립 및 녹용 수요의 다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엘크녹용의 물성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압축응력은 생녹용 중심부의 경우 상대 $60.73\;g/mm^2$, 중대 $145.65\;g/mm^2$, 하대 $260.97\;g/mm^2$, 벨벳층은 상대 $70.67\;g/mm^2$, 중대 $811.90\;g/mm^2$, 하대 $3,235.52\;g/mm^2$ 건녹용 중심부의 경우 상대 $190.43\;g/mm^2$, 중대 $445.81\;g/mm^2$, 하대 $705.86\;g/mm^2$, 벨벳층은 상대 $734.01\;g/mm^2$, 중대 $1,238.40\;g/mm^2$, 하대$ 4,134.03\;g/mm^2$ 였다. 2. 전단응력은 생녹용의 경우 상대 $50.24\;g/mm^2$, 중대 $294.44\;g/mm^2$, 하대 $423.47\;g/mm^2$, 건녹용은 상대 $124.14\;g/mm^2$, 중대 $367.69\;g/mm^2$, 하대 $425.86\;g/mm^2$ 였다. 3. 인장응력은 생녹용의 경우 상대 $13.59\;g/mm^2$, 중대 $62.85\;g/mm^2$, 하대 $112.07\;g/mm^2$, 건녹용은 상대 $77.24\;g/mm^2$, 중대 $175.87\;g/mm^2$, 하대 $184.06\;g/mm^2$ 였다. 4. 녹용을 건조할 경우 수분증발과 수축, 표면경화 등의 조직 변화에 의해 물리적 성질이 변화하며 중심부는 상대에서 하대로 갈수록, 벨벳층부는 하대에서 상대로 갈수록 물리적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5. 엘크(Elk(Cervus canadensis))녹용은 생물체의 뿔이라는 특성상 생장점의 위치에 따른 응력의 크기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 PDF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Kasugamycin 시험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Kasugamycin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LC-MS/MS)

  • 이한솔;도정아;박지수;조성민;신혜선;장동은;정용현;이강봉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5-241
    • /
    • 2019
  • 본 연구는 농산물 중 잔류허용기준 신설 예정 농약인 가스가마이신의 안전 관리를 위한 공정 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가스가마이신은 단백질 합성과정 중 번역 개시 단계를 저해하여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사상균인 Piricularia oryzae에 의해 발병하는 도열병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농산물 중 가스가마이신의 잔류물의 정의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모화합물 만을 잔류물의 정의로 예정하고 있다. 또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농산물이 없기 때문에 모든 국내 재배 농산물 또는 수입 농산물 유통 시 실시하는 잔류농약 검사에서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에 의하여 잔류량이 0.01 mg/kg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에 농산물 중 잔류농약 분석 및 검사를 위한 공정 시험법 마련이 시급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표농산물 5종(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을 대상으로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수용성 유기용매인 메탄올의 적용과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pH 조절을 통한 추출법 및 HLB 카트리지를 이용한 정제법을 최적화하여 LC-MS/MS에 의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가스가 마이신의 시험법 정량한계는 0.01 mg/kg이며 5종의 농산물에 0.01, 0.1 및 0.5 mg/kg의 처리농도로 회수율 실험을 한 결과 평균 회수율은 71.2~95.4%이었고, 상대표준 편차는 12.1% 이하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검증 결과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AC/GL 40-1993, 2003)의 잔류농약 분석 기준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국내 및 수입 농산물 중 가스가마이신의 안전 관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잔류물의 정의 및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는 데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다.

지하수의 수질화학적 특징과 붕소, 브롬, 스트론튬 성인에 대한 고찰 (Origin of B, Br and Sr in Groundwater from Bukahn-myeon, Yeongcheon, Gyeongbuk Province, with Emphasis on Hydrochemistry)

  • 추창오;이진국;이창주;박기호;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9권2호
    • /
    • pp.235-250
    • /
    • 2009
  • 경북 영천 북안면 일대 지하수의 수질화학적 특정과 붕소, 브롬, 스트론튬 성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H는 7.37${\sim}$8.39 범위로서 중성 내지 약알칼리성이다. B는 0.41${\sim}$4.62mg/L범위로 평균 1.74mg/L 함유된다. Br은 0${\sim}$3.24mg/L 범위, 평균 2.22mg/L 함유되어 있다. Sr은 0.93${\sim}$8.64mg/L 범위, 평균 2.76mg/L 함유되어 있다. 지하수의 수질유형은 $Ca-HCO_3$가 가장 흔하다. EC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주요 성분들은 Na, $SO_4$, Cl 등인데, 이들의 결정계수는 각각 0.85, 0.70, 0.90이다. 염소이온에 대한 Na, K, $SO_4$는 결정계수가 각각 0.54, 0.68, 0.53으로서 서로 비례함을 나타낸다. 특히 B-Sr와 $Sr-SO_4$간의 결정계수는 각각 0.65, 0.64로 상관성이 높다. 지하수의 경우 Cl/Br 비는 5.21${\sim}$30.70 범위인데 이는 염소가 상당히 결핍되어 있음을 지시한다. $SO_4/Cl$의 비는 1.32${\sim}$27.24 평균 5.92범위인데, 이는 지하수에 다량의 $SO_4$ 이온이 유입되거나, 염소결핍 현상으로 해석된다. 화학종의 존재형태를 계산결과 B는 대부분 $H_3BO_3$형을 가지며, 일부는 $H_2BO_3$로서 존재한다. Br은 $Br^-$ 이온으로서만 존재한다. Sr은 대부분 $Sr^{2+}$로서 존재하며, 일부는 $SrSO_4$로 존재한다. 포화지수를 계산한 결과 중정석, 카올리나이트, 일라이트, K-운모, 스멕타이트와 같은 점토광물군은 과포화상태이며, 실리카 광물, 석고, 경석고, 활석, 녹니석, 크리소타일, 장석 등은 거의 포화상태에 근접한다. 셀레스타이트의 포화지수는 -2.23${\sim}$-0.13 범위로서 여전히 불포화상태이다. halite의 경우 상당한 불포화상태에 있다. B, Sr의 경우 본 역에 널리 분포하는 백악기말-신생대초의 유천층군 화산활동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본 지역에서의 Br은 주로 지질과 관련되나 외부 오염물의 유입에 의한 특징도 있다고 볼 수 있다.

제주 차귀도 연안역 저서 무척추동물의 출현과 계절별 변동 (Species Appearance and Seasonal Variatio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 in the Coastal Water of Chagwi-do, Jeju-Island)

  • 양문호;문태석;유준택;고준철;장대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5-243
    • /
    • 2007
  • 제주 바다목장조성지인 차귀도 주변해역의 저서 무척추동물에 대한 출현 및 계절적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고산, 용수, 용당, 신창의 4개 해역을 설정하여 2004년 9월과 11월 및 2005년 2월, 4월, 6월, 8월 등 모두 6 차례에 걸쳐 조사 분석을 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201 종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다. 연체동물이 74 종 (37.2%)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중 복족류가 28.4%로 가장 우점 하였고, 절지동물 43 종 (19.2%), 자포동물 34 종 (16.7%) 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의 평균 개체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455 개체/$m^2$ (53.9%), 15,565.0g/$m^2$ (64.4%) 로 종류와 마찬가지로 연체동물이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가장 높게 출현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Trochus sacellus, Batillus cornutus, Pagurus gracilipes, Cantharus cecillei의 복족류에서 높은 우점률을 보였다. 계절별 출현양상은 하계에 개체수 및 생체량이 증가하다 동계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종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의 해역별 변동을 보면 조사해역의 남쪽에 위치해 있는 고산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북쪽에 위치한 신창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N,N'-bis(4-methoxysalicylidene)phenylendiamine를 이용한 Cu(II) 이온의 분광학적 분석 (Spectrophotometric Quantitative Analysis of Cu(II) Ion Using N,N'-bis(4-methoxysalicylidene)phenylendiamine)

  • 김선덕;설종민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28-235
    • /
    • 2012
  • $N_2O_2$계 시프염기 리간드인 N,N'-bis(4-methoxysalicylidene)phenylendiamine(4-$CH_3O$-salphen)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4-$CH_3O$-salphen을 이용하여 분광광도법으로 수용액 중의 Cu(II)이온 정량실험을 시도하였다. Cu(II)이온 정량을 위한 최적 실험조건을 구한 결과, 4-$CH_3O$-salphen 농도는 $2.0{\times}10^{-4}\;mol/L$, 용매 DMSO와 물의 비율은 50/50(v/v), pH는 5.5에서, 온도는 $55^{\circ}C$에서 한 시간정도를 물중탕하고, 시료의 흡광도는 388 nm였고, 그 조건에서 검량곡선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검량곡선(${\varepsilon}=3.6{\times}10^4\;mol^{-1}cm^{-1}$)은 $R^2$=0.9963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최적화된 실험조건을 이용하여 온천수, 반도체 공장폐수 및 하수 처리장의 처리수를 채취하여 Cu(II)이온을 각각 정량 분석한 결과는 측정 평균값이 기준 값에 대하여 0.6~5.4% 범위에서 잘 일치 하였고, 정량한계는 31.77 ng/mL($5.0{\times}10^{-7}\;mol/L$)이었다.

수출용 가지의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물성 및 성분의 변화 (Chang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omponents of Export Eggplants According to Cultivar and Harvesting Season)

  • 남학식;김남우;최유원;윤광섭;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87-291
    • /
    • 2002
  • 본 연구는 일본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가지의 품질의 향상과 규격화를 위한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물성 및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품종에 따른 크기와 중량는 시키부 품종에 비해 축양 품종에서 높았고, 하절기에 비해 동절기 수확한 가지의 크기와 중량이 낮았다. 가지의 과육의 pH와 당도는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가지의glucose와 fructose의 함량은 각각 115.4~155.4, 64.2~102.1mg/100g-fr.wt.이었고, sucrose, mannose 순으로 많았다. 총 유리당의 함량은 215.2~351.1mg/100g-fr.wt.이었고, 시키부 품종에 비해 축양품종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시키부 품종의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76.1, 73.4mg/100g-fr.wt.이었고, 축양의 경우에는 각각 111.8, 108.4mg/100g-fr.wt. 이었다. 시키부와 축양의 품종의 환원형 비타민 C의 함량은 하절기에 수확한 것은 각각 11.83, 9.07mg/100g-fr.wt.이었고, 동절기에는 각각 9.45, 7.17mg/100g-fr.wt 이었다. 산화형 비타민 C는 수확시기와 품종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없이 2.54~3.25mg/100g-fr.wt.이었다. 총 비타민 C의 함량은 하절기에 수확한 시키부와 축양 품종에서 각각 14.94, 12.32mg/100g-fr.wt.이었으며, 동절기에 비해 하절기에 수확한 것에서 높았다. 칼륨과 나트륨의 함량은 각각 229.87~235.95, 135.98~156.28mg/100g-fr.wt.로서 그 함량이 가장 많았고, 총 무기질의 함량은 389.35~420.02mg/100g-fr.wt.이었고, 축양 품종의무기질의 함량이 시키부 품종에 비해 높았다.

Optimal environmental range for Juncus effusus, an important plant species in an endangered insect species (Nannopya pygmaea) habitat in Korea

  • Yoon, Ji-Hyun;Kim, Heung-Tae;Nam, Jong-Min;Kim, Jae-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2호
    • /
    • pp.223-235
    • /
    • 2011
  • Juncus effusus is mostly found in freshwater wetlands and is widely used for landscaping and creating artificial wetlands due to its high ecological value. J. effusus tends to dominate during the early stage (3-10 years) of the second succession in abandoned paddy fields. This study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J. effusus to create habitat for an endangered species, Nannopya pygmaea, which lives in wetlands dominated by J. effusus.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J. effusus and N. pygmaea, 63 quadrats at eight wetlands were investigated between May and June 2006 during the critically dry period. Fifty-three species from 28 families co-occurred with J. effusus, and Persicaria thunbergii was the most abundant (63.5%). The optimal ranges of distribution (ORD) for the water variables were water depth, -2 to 10 cm; dissolved oxygen, 0.99-3.55 mg/kg, conductivity (CON), 23.40-115.40 ${\mu}s/cm$, total dissolved solid, 12.53-57.60 mg/L; pH, 5.00-6.87; $K^+$, 0.11-1.46 mg/L; $Ca^{2+}$, 1.53-5.85 mg/L; $Na^+$, 3.16-7.47 mg/L; $Mg^{2+}$, 0.11-1.96 mg/L; $NO_3$-N, < 0.001-0.072 mg/L; $NH_4$-N, 0.005-0.097 mg/L; and $PO_4$-P, 0.006-0.047 mg/L. ORDs for the soil variables were water content, 1.05-2.96%; loss-on ignition method (LOI), 5.07-7.81%; CON, 23.70-59.70 ${\mu}s/cm$; pH, 4.40-5.16; extracted (e) $K^+$, 4.34-15.73 cmol/kg; $eCa^{2+}$, 31.56-191.56 cmol/kg; $eNa^+$, < 0.01-2.61 cmol/kg; eMg, 0.04-19.82 cmol/kg; $eNO_3$-N, 0.514-1.175 mg/kg; $eNH_4$-N, 0.033-0.974 mg/kg, $ePO_4$-P, 0.491-11.552 mg/kg; total nitrogen, 0.016-0.200%; and total carbon, 1.06-2.37%. The appearance of rush during early succession indicated relatively lower levels of these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that ORDs should be maintained for the J. effusus community.

Estrogen activity of Silkworm (Bombyx mori) Pupa water extract and its fractions

  • Ryu, Jae-Sung;Jo, Gyeong-Jong;Jin, Jung-Woo;Yang, Hyo-Jung;Park, Yong-Il;Na, Ye-Seul;Nam, Kyung-Su;Keum, Kyung-Soo;Choo, Young-Ku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8권3호
    • /
    • pp.228-235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strogen activity of silkworm (Bombyx mori) pupa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Powdered samples of freeze-dried silkworm pupa were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RT), $40^{\circ}C$, $60^{\circ}C$, $80^{\circ}C$, and $100^{\circ}C$ in water (D.W),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methanol for 6h and then filtered (0.45 um). The extracts were then freeze-dried. The estrogenic activity of these extracts was then investigated by competition binding assays using estrogen receptor ${\alpha}\;(ER{\alpha})$ and $ER{\beta}$, and by evaluating their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of th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Among the extracts evaluated, water extracts prepared at RT showed the highest binding affinity to $ER{\alpha}$ ($IC_{50}$, 1.76 ug/ml) and $ER{\beta}$ ($IC_{50}$, 0.07 ug/ml). In addition, MCF-7 cells that were treated with 62.5 ug/ml of the RT extract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in proliferation (2-fold; 1291.79%) when compared to control cells (659.82%). Next, the water extract that was prepared at RT (sample 1) was dissolved in D.W. and further fractionated using a Dowex 50W - 8X ($H^+$) column. The flow-through and wash were then pooled together and freeze-dried (sample 2). The bound materials were then eluted with 20 mM NaCl, after which they were applied to a Dowex 1X2 - 200 ($Cl^-$) column and washed with D.W. to remove the sodium ions. The eluants were then freeze-dried (sample 3). Of these fractions, sample 2 showed the highest binding affinity to ER{\alpha} ($IC_{50}$, 1.44 ug/ml) and $ER{\beta}$ ($IC_{50}$, 1.18 ug/ml). In addition, MCF-7 cells that were treated with sample 2 (15.6 ug/ml) showed the largest increase in growth (1159.39%) when compared to control cells (525.26%).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raction of the RT water extract of silkworm pupa referred to as sample 2 may be useful as a phytoestrogen.

국내산 사과주스 농축품의 장기 저장 중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of Domestic Apple Juice Concentrates during Long-term Storage)

  • 김성수;깅경탁;최희돈;홍희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35-239
    • /
    • 1999
  • 국내산 사과주스 혼탁 및 청징 농축품 3종류를 18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과 이화학적 특성 등의 품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초기에 $45^{\circ}Bx$ 혼탁 농축품에서는 효모나 곰팡이류가 일부 검출되었으나 이후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50^{\circ}Bx$$72^{\circ}Bx$ 청징 농축품에서는 미생물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세 종류의 농축품 모두 저장 중 적정산도와 pH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색의 경우 대체로 L값이 감소하고 a값과 b값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72^{\circ}Bx$ 청징 농축품의 경우 그 정도가 가장 컸다. 갈변정도를 나타내는 알콜가용성색깔의 경우 $45^{\circ}Bx$ 혼탁과 $50^{\circ}Bx$ 청징 농축품은 18개월 동안 저장시에 약 2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72^{\circ}Bx$ 청징 농축품은 약 3배 정도 증가하였다. 비타민C 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45^{\circ}Bx$ 농축품은 198 mg%에서 140 mg%로, $50^{\circ}Bx$$72^{\circ}Bx$ 청징 농축품의 경우 각각 150 mg%와 104 mg%에서 102.4 mg%와 50.5 mg% 정도로 크게 감소하였으나 유리당 조성에는 대체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강원도 괘병산과 갈미봉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Mt. Gwaebyung and Galmi-bong, Gangwon Province, Korea)

  • 김유신;김남영;김영설;이학봉;김세창;김지홍;박완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26-235
    • /
    • 2012
  • 본 연구는 백두대간 괘병산 및 갈미봉의 관속식물상과 식생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괘병산 및 갈미봉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93과 279속 408종 4아종 56변종 9품종 등 총 477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양치식물계수는 1.00이었다. 조사된 477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총 8과 11속 11종으로 총 11분류군이 나타났고, 환경부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2과 2속 2종으로 총 2분류군 및 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은 13과 14속 15종 1변종으로 총 16분류군이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6과 17속 17종으로 총 17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율은 약 3.6%이고, 도시화지수는 약 5.3%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의 생활형을 종합한 Biological Type은 $H-D_4-R_5-e$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7가지의 용도 중 약용자원이 7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식용자원이 50.7%를 나타냈다. 괘병산과 갈미봉 일대의 산림식생에 대하여 식물사회학적 조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1군목 1군단 4군락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철쭉군목(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aceae Kim 1990),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신갈나무 전형하위 군락(Quercus mongolica Typical Community), B. 소나무-신갈나무 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 일본잎갈나무 군락(Larix kaempferi Community), D. 조릿대-신갈나무 군락(Sasa borealis-Quercus mongolica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