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L 비율

검색결과 710건 처리시간 0.026초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참나무 겨우살이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Properties of Oak Mistletoe (Loranthus yadoriki) Extracts by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

  • 이혜진;도정룡;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2-78
    • /
    • 2011
  • 참나무 겨우살이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 작용, SOD 유사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Tyrosinase 저해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추출용매의 비율에 따라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고, 특히 60% EtOH을 추출용매로 하여 25 mL/g의 비율로 추출한 실험구가 68.88%로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p<0.05). SOD 유사활성 측정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15.24-30.84%로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 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p<0.05).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 참나무 겨우살이의 페놀 함량이 50.28-109.69 mg%로 나타났다. 추출조건에 따라 25 mL/g>50 mL/g>100 mL/g으로 농도가 높을수록 페놀함량도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추출용매에 따라 물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아질산염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H 1.2와 pH 3.0과 같은 산성조건에서 소거능이 모두 높았고, 추출용매와 상관없이 농도가 높은 추출구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반응표면 분석을 이용한 사과.당근 혼합주스의 청징공정 최적화 (Use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Optimization of Clarified Mixed Apple and Carrot Juice Production)

  • 석은주;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51-1056
    • /
    • 2006
  • 온도와 ATP 증가에 따라 사과.당근 배합비율과 상관없이 혼합주스의 투과플럭스가 비례적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온도변화에 따른 투과플럭스의 증가가 뚜렷했다. 사과와 당근비가 3:1인 실험구에서 가용성 고형분과 총당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고, 가용성 고형분의 경우 시료배합비율의 영향이, 총당의 경우 온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배합비율에 따른 비타민 C 함량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당근의 함량이 많을수록 비타민 C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고, 압력증가에 따른 비타민 C 함량 증가가 뚜렷했다. 사과의 함량이 높을수록 산도도 높았고, 온도증가에 따른 산도의 증가도 뚜렷했다. 한외여과 결과, 전 시료에 걸쳐 우수한 청징효과를 나타내었고, 사과와 당근비가 3:1인 실험구에서 그 청징효과가 두드러졌으며, 또한 점도변화도 가장 컸다. 또한 공정최적화 결과 공정온도 및 ATP가 각각 $44.97^{\circ}C$, 113.57 kPa이고 사과의 혼합비율이 28.50%인 경우 $flux=0.216\;L/m^2.h$, soluble $solids=10.39^{\circ}Brix$, total sugar=71.32 mg/mL, vitamin C=315.18 mg%, acidity=7.78 mL, turbidity=0.017, viscosity=1.44 cp인 사과.당근 혼합과채주스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과 난백의 비율을 달리한 달걀찜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amed Egg According to the Ratio of Egg Yolk and Egg White)

  • 송민경;김대현;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5-75
    • /
    • 2014
  • 본 연구는 액상달걀을 이용해 제조된 달걀찜의 수분함량, 색도, pH, 텍스쳐 특성 및 관능검사를 통해 액상난황과 액상난백의 비율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해보고 기호도를 분석함으로써 달걀찜의 제품개발가능성을 높이고 달걀관련식품 제조의 기초자료로 이용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난황과 난백의 비율을 달리한 달걀찜의 수분함량과 pH는 난백의 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색도는 난백의 양이 증가할수록 L값은 증가, a, b값은 모두 감소하였다. 텍스쳐 특성 중 결과가 유의하지 않았던 부착성을 제외한 견고성, 탄력성, 씹힘성, 검성, 응집성은 난백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1). 관능검사 결과 색의 경우, 난황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값을 나타냈고, 냄새 중 구수한 냄새는 난황 250/난백 200의 비율인 EW200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달걀의 비린 냄새는 난백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삶은 달걀 냄새는 난백의 비율이 낮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맛에서는 구수한 맛의 경우 난백의 비율이 낮을수록 감소하였고, 비린 맛은 난백의 비율이 증가하면 높게 나타났다. 달걀찜의 경도는 난백이 가장 적게 혼합된 시료에서 가장 높았고, 탄력성, 씹힘성과 부서짐성는 난백의 비율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호도 검사결과 난황과 난백의 비율을 달리한 달걀찜의 경우 난황 250/난백 200(EW200) 또는 난황 150/난백 300(EW300)의 시료군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NH4+:NO3- 비율에 따른 '녹광' 고추 플러그 묘의 생장 (Growth of 'Nokkwang' Hot Pepper Plug Seedlings as Influenced by Various Ratios of Pre-planting NH4+:NO3- in Root Substrate)

  • 오상세;박명선;김현철;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0-116
    • /
    • 2019
  • 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질소의 $NH_4{^+}:NO_3{^-}$ 비율이 '녹광' 고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코이어 더스트, 피트모스 및 펄라이트를 부피 기준 35:35:30%로 혼합한 상토를 조제하였으며, 상토원료 혼합과정에서 총 질소 농도가 $300mg{\cdot}L^{-1}$인 조건에서 $NH_4{^+}:NO_3{^-}$ 비율을 0:100, 27:73, 50:50, 73:27 및 100:0으로 조절한 5처리를 두어 실험하였다. 질소 외에 다른 필수원소를 포함한 비료는 모든 처리에서 동일한 농도로 조절하였고, 비료를 포함한 상토를 50구 플러그 트레이에 충진한 뒤 고추 종자를 파종하였다. 파종 전과 파종 후 상토의 pH, EC 및 다량원소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파종 7주 후에는 지상부 생장조사와 식물체 무기원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파종 전 상토 pH는 질소 비율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생장이 진행되면서 $NO_3{^-}$의 비율이 높은 처리의 상토 pH가 상승하였다. $NH_4{^+}$의 비율이 클수록 파종 전 상토의 EC가 높았으나 모든 처리의 EC가 파종 3주 후부터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추묘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상토의 $NH_4{^+}$-N, $NO_3{^-}$-N 그리고 다른 종류의 다량원소 농도가 EC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낮아졌다. 파종 7주 후 고추의 지상부 생장을 조사한 결과 $NH_4{^+}:NO_3{^-}$ 비율이 27:73과 50:50 처리구에서 전반적인 생장이 우수하였고, $NH_4{^+}$ 비율이 73% 이상일 경우 저조한 생장을 보였다. 또한 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던 50:50($NH_4{^+}:NO_3{^-}$) 처리구의 식물체내 T-N, K, Ca 및 Mg 등 다량 무기원소 함량이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할 때 '녹광' 고추의 플러그 묘 생장을 위해서는 상토에 기비로 혼합하는 전체 질소 중 $NH_4{^+}$의 비율을 27% 또는 50%로 조절하는 것이 묘 생장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유하부 지형 특성에 따른 토석류 퇴적 분석 (Analysis of Debris Flow Deposition based on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Path)

  • 김기홍;윤준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6_1호
    • /
    • pp.471-481
    • /
    • 2013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극한 강우 조건에서 발생하게 되는 토석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하부의 지형 특성에 따른 토석류 퇴적의 발생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먼저 토석류 발생 전후 비교적 근시기의 고해상도 LiDAR DEM을 차분하여 지형변화를 관측하고, 유하부 외부로의 퇴적이 관측되는 지점을 토석류의 관성으로 인해 토석류 이동이 진행된 지점으로 가정한 후, 이러한 퇴적이 발생하는 유하부의 지형 특성을 유로방향경사, 유하부의 이동 전환각도, 발생부로부터 해당 지점까지의 이동거리에 대한 표고차의 비율계수(L/H)로 표현되는 토석류의 순효율 계수 특성 항목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2011년 7월 발생한 우면산 토석류 재해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관성에 의한 토석류의 퇴적은 유하부의 전환각도와 큰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환각도/(L/H)'의 비율이 8 이상인 지점에서 관성에 의한 진행이 주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당농도 및 염농도가 해양미생물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의 성장 및 지질과 DHA 생성에 미치는 영향 규명 (The Effect of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Salts on both the Growth and the production of Lipid and DHA of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

  • 김원호;정영수;박천익;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271-27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당의 초기농도는 물론 NaCl과 $MgSO_4{\cdot}7H_2O$의 농도가 T. aureum ATCC 34304 균주의 성장특성, 지질의 생성특성 및 DHA의 생성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당농도 15 g/L까지는 당농도가 증가하면 균체증가량에 대한 지질증가량의 비율인 $Y_{Lipid/X}$간과 지질증가량에 대한 DHA 증가량의 비율인 $Y_{DHA/Lipid}$ 값이 모두 증가하였다. $Y_{lipid/X}$$Y_{DHA/Lipid}$의 최대값은 0.18 g/g 과 0.41 g/g을로 모두 당의 초기농도 15 g/L에서 나타났다. 반면 균체수율인 $Y_{x/s}$ 값은 당의 초기농도 변화에 관계없이 0.378 g/g으로 일정하였다. 당의 농도변화에 대한 균체의 비성장속도 역시 당농도 15 g/L까지는 최대 $0.79\;day^{-1}$까지 증가하였으나, 20 g/L에서는 $0.57\;day^{-1}$로 감소하였으며, 그 이상의 당농도에서는 증감현상을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해수배지 조성을 기본으로 하고 NaCl 농도를 0.1 g/L에서 48 g/L까지 변화시켰을 때 NaCl의 농도가 0 g/L인 경우 균체의 성장, 지질의 생성 및 DHA의 생성이 모두 정지되었으며, NaCl 24 g/L에서 균체성장, 지질생성 및 DHA의 생성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본해수배지 조성에 $MgSO_4{\cdot}7H_2O$의 농도를 0 g/L에서 24 g/L까지 변화시켰을 때, $MgSO_4{\cdot}7H_2O$ 0 g/L에서는 균체성장, 지질생성 및 DHA 생성이 정지되었으며, $MgSO_4{\cdot}7H_2O$ 18 g/L에서 균체성장, 지질생성 및 DHA의 생성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고밀도 유기식 배양에서 글루코스 공급 방법이 Serratia marcescens의 균체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ucose Feeding Strategy on Biomass of Serratia marcescens in High Density Fed-Batch Fermentation)

  • 김광;이상록;손정우;지홍석
    • KSBB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681-686
    • /
    • 1998
  • 5L 발효기에서 글루코스의 투입방법과 배지의 초기 글루코스 농도에 따른 유가식 배양에 의한 S. marcescen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발효기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준 각 유가식 배양에서의 최종란체량이 회분식배양에 비해서 훨씬 높았으며, 유기식 배양종에서도 기질인 글루코스의 공급을 달리하였을 때, 최종균체량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회분식 배양과 유가식 배양중에서 글루코스의 일정비율공급밤법, 글루코스 결핍상태에서의 일정비율공급방법 그리고 지수적 공급방법의 최종균체량은 1.40, 5.07, 6.93 및 7.60g/L 이고, 그 때의 배양시간은 40, 41. 24 및 40hr이었다. 그리고 균체 생산성은 0.035, 0.124, 0.239 및 0.1909/L.h 이었다. 최종 균체량만을 가지고 비교하였올 경우에는 유가식 배양줌에서 지수적 공급방법이 가장 효율적이지만 당위시간당 균체 생산성에서는 글루코스 결핍 상태에서의 일정비율공급방법이 1.52배 정도 높게 나타냈으므로 가장 효과적인 배양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용존산소와 글루코스 루입시가의 상관관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글루코스 결핍상태에서 일정비율로 공급한 방법과 지수적으로 공급한 방법에서 좋은 일치를 보여주었다.

  • PDF

쌀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울금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cuma Longa L. Cookies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Rice Flour)

  • 최상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5-226
    • /
    • 2012
  • 본 연구는 쌀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여 울금 쿠키를 제조한 다음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쿠키 반죽의 밀도는 대조군이 1.32로 가장 높았고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쿠키 반죽의 pH는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쿠키의 수분함량은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쌀가루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쌀가루 첨가 울금 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58.72%)보다 쌀가루 첨가군(59.26~61.41%)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쿠키의 색도에서 명도 L값은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p<0.001)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p<0.001). 쿠키의 경도(hardness)는 쌀가루 첨가군보다 대조군이 더 높았다(p<0.001). 쿠키의 외관, 향, 맛,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관능평가 점수가 쌀가루 50% 첨가군, 75% 첨가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 울금을 이용한 쌀쿠키 제조에 있어서 쌀가루 첨가비율은 50~75%가 최적의 배합비율로 사료된다.

  • PDF

빛 조사시간에 따른 형질전환된 담배세포 성장과 hGM-CSF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ght on the Production of hGM-CSF in Transgenic Plant Cell Culture)

  • 이재화;이재화;김영숙;홍신영;신윤지;서조은;권태호;양문식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568-572
    • /
    • 2001
  • 빛은 식물에서 성장과 발달을 비롯한 다양한 생리화학적인 역할은 지닌다. 본 연구는 hGM-CSF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한 담배의 callus를 현탁배양하여 hGM-CSF를 생산할 때에 빛을 조사하는 시간에 따른 hGM-CSF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24시간 명배양, 18시간 명배양과 암배양을 실시하여 세포성장과 분비된 총단백질, hGM-CSF 생산량을 비교 관찰하였다. 세포의 성장은 24시간 명배양일 때 건조중량이 14.4 g/L로 가장 높았다. 분비된 총단백질의 양은 세가지 경우에서 큰 차이를 관찰할 수가 없었지만, 단위 세포당 분비된 총단백질의 양은 암배양이 다른 것에 비해 1.5배 가량 높았다. hGM-CSF의 생산은 18시간 명배양 조건이 가장 좋았으며 최대생산량이 495.5ug/L에 이르렀다. 또한 분비된 총단백질에서 hGM-CSF가 차지하는 비율은 18시간 명배양이 24시간 명배양에 비해 최대 1.8배 높았다.

  • PDF

F급 플라이 애쉬-모르타르의 강도발현에 대한 NaOH과 Na2SiO3·9H2O 첨가의 영향 (Effects of NaOH and Na2SiO3·9H2O Addition on Strength Development of Class F Fly Ash-Mortar)

  • 박상숙;강화영;한상호;강희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261-26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칼슘 함량이 낮은 플라이 애쉬를 이용하여 포틀랜트시멘트를 대신할 수 있는 알칼리활성 플라이 애쉬-시멘트를 제조하는데 있다. 플라이 애쉬의 활성화는 다양한 수산화나트륨 농도와 온도 그리고 liquid/fly ash 혼합비율에서 수행하였다. 좀 더 높은 압축강도를 가진 경화체를 얻기 위하여 규산나트륨을 알칼리 용액에 첨가하였다. 강도발현의 관점에서 볼 때, liquid/fly ash의 혼합비율과 활성화제 농도 그리고 온도는 항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NaOH(210g)+Na_2SiO_3{\cdot}9H_2O(30g)+H_2O=1L$로 구성된 알칼리 활성용액은 $50^{\circ}C$에서 칼슘 함량이 낮은 플라이 애쉬의 알칼리활성 효과를 가장 높게 나타냈다. 알칼리활성화된 플라이 애쉬는 주로 quartz와 mullite 그리고 무정형의 aluminosilicate로 구성되었음을 SEM과 XRD 분석결과에서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