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mnocalycium mihanovichii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5초

Characterization and sequence analysis of half of genome RNA of a new Tobamovirus (Cactus mild mottle virus) from cultivated cactus plants in Korea

  • B.E. Min;B.N. Chung;Park, J.Y.;K.H. Ryu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14.1-114
    • /
    • 2003
  • A new isolate of rod-shaped virus was identified from grafted cactus, Gymnocalycium mihanovichii grafted onto Hylocereus trigonus, in Korea. The virus proved to be a new Tobamovirus and called previously as Tobamovirus-Ca for which we suggest the name Cactus mild mottle virus(CMMoV), because it produced systemic mild mosaic symptoms on its original host. CMMoV is distantly related to known species of the genus Tobamovirus on the basis of host range, serological and sequence analyses.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CMMoV is serologically unrelated to Summons' Opuntia virus which is the only known species of the genus found in cactus plants. The 3'-terminal 2,910 nucleotides have been sequenced for the virus. The coat protein (CP) and movement protein (MP) genes encode 161 and 306 amino acids residues, respectively.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CP were 39.6 % to 49.2 % and 26.4 % to 40.3 % identical to other tobamoviruses, respectively. The MP and 3' noncoding region shared 16.3 % to 23.3 % and 44.6 % to 63.4 % identities, respectively, with the members of the genus. Phylogenetic tree analysis of the CP gene revealed that CMMoV clusters with members of subgroup I of Tobamovirus. CMMoV particles contained genomic RNA along with two subgenomic RNAs, and this characteristics is common in the members of the subgroup II. This is the first information of sequence and comparative analysis of a Tobamovirus that infects cactus.

  • PDF

선인장 및 다육식물 혼합식재 실태 및 광과 수분요구에 따른 식물의 분류 (Plant Grouping by Light and Watering of Cacti and Succulents Planting in a Pot and Its Current Situation)

  • 송천영;이상덕;임성희;김순재;이정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8권1호
    • /
    • pp.30-42
    • /
    • 2006
  • 합식에 주로 이용되는 선인장 종류는 용신목, 비모란, 백운각, 금황환, 소정, 방희환, 황금사, 환락, 희망환, 옹옥 및 노락 등 11개 정도 이고, 다육식물 종류로는 당인, 아악무, 성을녀, 금황성, 흑법사, 에케베리아 라우이, 파키포디움 라메리, 홍옥, 불야성 및 대봉각 등 10개 식물이었다. 선인장 비모란은 파라구아이, 용신목, 백운각, 황금사, 희망환 및 옹옥은 멕시코, 금황환과 소정은 브라질 남부, 환락과 노락은 페루가 원산지이고, 다육식물 중에서 당인, 아악무, 성을녀, 불야성 및 대봉각은 남아프리카, 금황성, 에케베리아 라우이, 홍옥 등은 멕시코, 흑법사는 그랜 캐나리아, 파키포디움 라메리는 마다가스카가 원산지였다. 대부분 선인장 및 다육식물은 무차광 또는 약간의 차광하에서도 잘 자라고, 홍옥과 아악무 등의 다육식물은 광도에 민감하지 않아서 광도에 가리지 않고 잘 자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선인장 및 다육식물은 소량 및 보통관수를 요구하였다. 이와 같이 원산지와 생육조건인 수분과 광의 양이 다른 선인장 및 다육식물을 한 화분에 심어서 관리함으로서 발생되는 문제는 일부 식물이 적응하지 못하고 고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식물의 수분 요구 및 광 등의 생리가 유사한 식물을 모아 심으면 고사율이 현저히 감소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