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eongmul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경포호의 옛모습 추정- 기록자료를 중심으로 - (The Past Landscapes of Gyeong-Po Lake)

  • 김태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3-93
    • /
    • 2004
  • Due to the pressures from surrounding conditions, the current Gyeong-Po Lake has been loosing its original appearance. Historically, the value of Gyeong-Po Lake has been highlighted at the Ru-Jeongs, which were once used to enjoy the various lakeside landscapes. However, the changes in physical appearance of the lake surroundings have ruined the value of the Ru-Jeongs, and even more changed the view point. As an initiating effort to reestablish and to manage the traditional visual landscapes of the lake, this study puts its emphasis on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Also,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traditional visual values that are not visible at the current time, based on historic literature such as historic documents, paintings and poems. One of the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viewing the different landscapes was more highly valued than their physical configurations in historic literatures, and that the focal points in viewing landscape were the Ru-Jeongs(누정). H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et the Ru-Jeongs, including Gyeong-Po(경포), Bang-Hye(방해), Hwan-Sun(환선), and Ho-Hae(호해), as the focal points for viewing the landscapes in order to reestablish and manage the traditional landscapes of Gyeong-Po Lake.

수기(修己)의 측면에서 본 『대학(大學)』에서 『성학집요(聖學輯要)』로의 학문적 심화 (Academic Enrichment beginning from the Great Learning(大學, Dae Hak, or Da Xue in Chinese) toward 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s(聖學輯要, Seong Hak Jibyo) in the respect of Cultivating Oneself(修己, sugi))

  • 신창호
    • 동양고전연구
    • /
    • 제34호
    • /
    • pp.63-88
    • /
    • 2009
  • 본고는 "대학"의 재해석이자 학문적 심화인 율곡 이이의 "성학집요"의 특성을 고찰하여 조선시대 "대학"의 수용 양상을 탐구한 것이다. 조선의 경우, "대학"은 성학(聖學)을 지향하는 지성 사회에서 핵심 경전의 위상을 점하고 있었다. "대학"은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제왕학(帝王學)이자 성학의 기본 교재로 탐구의 대상이 되었고, 율곡의 "성학집요"는 그것의 총집결체라고 볼 수 있다. 율곡은 "성학집요"를 편찬하면서 "대학"을 기본으로 조선 성학의 모델을 제시했다. 율곡은 "성학집요"의 체제를 크게 다섯 편으로 구성하고, "대학"의 삼강령팔조목을 적절하게 배치한다. 특히 2편의 "수기"는 삼강령 중 명명덕(明明德)을 핵심으로 하되, 팔조목 가운데 격물-치지-성의-정심-수신의 지어지선(止於至善)을 다루었다. 수기의 이치는 명명덕, 격물-치지-성의-정심의 수신의 총론을 다룬 부분과 이를 입지, 수렴, 궁리 등 열두 가지의 구체적인 학문 양식으로 확장한다. 이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을 핵심으로 하는 유교의 기본 체제를 잘 보존하면서도 각 영역별로 구체적 실천 지침을 제시하여 학문의 타당성을 논리적으로 뒷받침 한다. 그것은 중국 유교와 다른 조선 유교의 특징을 검토하는 장이다. 나아가 조선 민족이 지닌 인간과 학문의 특성을 이해하는 하나의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