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eon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3초

「주서관견(籌書管見)」과 「구장산술(九章算術)」의 내용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Contents between Ju-Seo-Gwan-Gyeon and Gu-Jang-San-Sul)

  • 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419-434
    • /
    • 2016
  •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산학서인 "주서관견(籌書管見)"의 내용 구성 체계와 구장(九章)의 내용을 동양의 대표적 산학서인 "구장산술(九章算術)"과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주서관견"의 내용체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당시의 산학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서관견"의 구장(九章)과 "구장산술"의 내용 및 형식을 비교한 결과 "주서관견"의 문제는 "구장산술"의 문제와 대부분 그 구성 및 형식이 유사하고 주어진 조건의 수치까지는 일치하지 않으나 동일한 유형의 문제가 많다. 또한 "주서관견"의 문제가 심화 되어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서술 형식에 있어서도 특징적인 차이점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주서관견"은 "구장산술"과 다른 산학서들의 영향을 받아 저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 분석에 기초하여 "주서관견"에서 다루어지는 여러 문제들이 우리나라 수학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서관견(籌書管見)>의 구장문답(九章問答)에서의 구장(九章)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Gujang in the Gujang-Mundab of Ju-Seo-Gwan-Gyeon)

  • 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4호
    • /
    • pp.427-441
    • /
    • 2021
  • Ju-Seo-Gwan-Gyeon is a mathematical book of Chosun dynasty by Jo Tae Gu. This study is to analyze his understanding for the 'Gujang' in the 'Gujang-Mundab'. From this study, we were able to see the contents of 'Gujang-Mundab' that has been unknown in detail so fa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acts are found. Most parts of 'Gujang' in 'Gujang-Mundab' was explained the same as Gu-Jang-San-Sul. This indicates that Ju-Seo-Gwan-Gyeon was influenced by Gu-Jang-San-Sul. However, Ju-Seo-Gwan-Gyeon also contains what he wrote with his own understanding. We expect that th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athematics history in Korea.

"탁지준절"에 기록된 조선 말기 평견직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in Weaved Silks at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Shown in Takjijunjeol)

  • 조효숙;이은진
    • 복식
    • /
    • 제53권5호
    • /
    • pp.125-139
    • /
    • 2003
  • The character of Plain Weaved Silks at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from Takjijunjeol(탁지준절) are as follows. 1. Plain Weaved Silks recorded in Takjijunjeol(탁지준절) are Ju(주) 22 types, Cho(초) 13 types and Gyeon(견) 3 types. This is same as previous research where Ju(주) and Cho(초) were subdivided and diversified at the end of Joseon Period, but Gyeon(견) gradually disappeared, leaving only Ju(주) and Cho(초) 2. Plain weaved silks whose character have been examined are Gajiju(개지주), Nujuju(노주주), Nobangju(노방주), Bangsaju(방사주), Simnyangju(십량주), Hapsaju(합사주), Suju(수주), Toju(토주), Sukcho(숙초), Ryeoncho(연초), Gungcho(궁초), Byeol$$\mu$goyeongcho(별문고영초), Hujigyeon(후지견), 3.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values and value scales written in Takjijunjeol(탁지준절), Ju(주) had various kinds of silks and Ju(주) are classified by qualities into two groups, the higher qualified group A or the lower qualified group B. On the contrary, Cho(초) and Gyeon(견) had only a few kinds, not as many as Ju(주), but all were high quality. Among them the most valuable plain weaved silks were Seoyang$$\mu$ju(서양문주), Hapsaju(합사주), Byeol$$\mu$goyeongcho(별문고영초). 4. According to Pobaekcheok(포백척) of Takjijunjeol(탁지준절) which shows real sizes, Ju(주) had various length and widths, but Cho(초) had one unified length and width.

근막추나와 한방치료 및 그라스톤테크닉을 병행하여 호전된 아킬레스건염 증례보고 1례 (A Case Report on a Patient of Achilles Tendinitis Treated with Gyeon-mak Chuna, Korean Medicine and Graston Technique)

  • 박재홍;오은영;이흔주;김영준;신유빈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3-110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improved case of Achilles tendiniti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Gyeon-mak chuna and Graston Technique. The patient diagnosed with Achilles tendinitis is hospitalized at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Samse Hospital of Korean Medicine. The subject is treated by herbal medicine, acupuncture, Gyeon-mak chuna and Graston technique. This study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walking time without pain per 6 minutes (6MWT)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Hind foot scale (AOFAS). The patient showed decreased VAS, AOFAS and improved 6MWT after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Gyeon-mak chuna and Graston Technique. The patient showed reduced pain and positive effec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유길준의 『서유견문』에서 보이는 지구에 대한 과학적인 서술 (A Scientific Description of the Earth as Seen in Yu Giljun's SeoYuGyeonMun)

  • 이면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1-140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유길준이 저술한 서유견문(1895) 중 제1편의 일부인 '1. 지구 세계의 개론' 항목을 대상으로 지구에 대한 과학적인 서술을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서유견문 전체의 서론 역할을 한다. 전통적인 관념에서의 땅이 아니라 천체로서 지구를 언급한 우리나라 초창기의 문헌 중 하나이다. 과학용어가 확정되기 전에 활동했던 유길준은 지구의 자전 현상을 '자신전'으로, 해왕성을 '해룡성'으로 번역하는 나름의 노력을 보였다. 그는 지진파의 종류에 서양학자의 이론, 본초 자오선 설정과 관련한 국제적인 회의 내용 등, 같은 당시로서는 최신의 과학적 논쟁과 사실을 서유견문에 포함시켰다. 과학 전공이 아닌 유길준은 과학 내용을 서술하는데 후쿠자와(福澤諭吉)의 훈몽궁리도해(訓蒙窮理圖解)(1868)와 마쓰모토(松本駒次郎)의 격물지지(格物地誌)(1876)가 참고 자료로 이용되었을 것이다. '지구 세계의 개론'에 서술된 내용은 오늘날의 지구과학 교과서에 해당하는 기본적인 구성과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