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wi-po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3초

중국 당대~금대 목조 건축의 귀포 변천에 관한 연구 - 좌우대의 결구 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Gwi-po from Tang to Jin Dynasty in China - Focusing on the connection type of Jwau-dae(左右隊) -)

  • 이병춘;이호열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3호
    • /
    • pp.96-119
    • /
    • 2015
  • 이 연구는 중국의 중세 목조건축을 대상으로 귀포(轉角鋪作)의 변천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당대(唐代)부터 금대(金代)에 건축된 목조건축 중 중국정부가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國保)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71동의 건물을 대상으로 귀포의 시기별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변화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귀포를 구성하는 좌우대(左右隊)의 다양한 결구유형에 주목하여 귀포의 변천과 전개과정을 고찰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귀포의 형식 변화는 건축을 주도했던 장인들의 좌우대에 대한 인식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초기의 귀포에서는 소첨과 대첨으로 구성되는 중공조(重?造) 구성과 일두삼승(一斗三升)의 첨차 구성 원칙이 잘 유지되었으나 건축기술의 발달로 귀포의 출목부(出目部)에 귀잡이한대(말각공)와 좌우대가 결구되면서 다양한 형식이 나타났다. 초기의 귀포에서 진일보한 과도기형 귀포는 홀수 단에 놓인 좌우대의 모양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즉 귀한대에 면해 좌우대의 뺄목이 형성되지 않은 '무(無)뺄목형'(요, 북송)을 비롯한 좌우대의 뺄목이 사두(?頭)와 같은 모양인 '사두뺄목형'(북송, 금)과 좌우대의 뺄목이 소공두(小?頭)와 같은 '소공두형'(남송, 금)이 그것이다. 귀포의 후기형인 정형은 각 출목에 사두가 결구되는 유형으로 비록 요대에 형성되었지만 폭넓게 적용된 시기는 원대이후로 추정된다. 요대(遼代)에 이르러 건물의 지붕이 대형화되고 처마가 길게 돌출되는 변화가 나타나면서 하중이 집중되는 귀포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필요가 생겼다. 이 시기에 처음 사용된 귀잡이한대는 귀포의 구조 보강을 위해 사용되었지만 이후 귀포의 형식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요대(遼代)에 발달한 공포재인 익형공(翼型?)은 귀포를 비롯한 건물의 공포형식이 투심조(偸心造)에서 계심조(計心造)로 변화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와 같은 변화는 무앙계 건축을 중심으로 귀포의 정형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동시기 하앙계 건축에서는 무앙계에 비해 귀포가 '사두(?頭)뺄목형'에서 '소공두형'으로 바뀌는 변화가 서서히 일어났다. 무엇보다 귀포의 변화에 요대의 건축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이 주목된다.

Thermodynamics for Formation of Each Stable Single Phase in BSCCO Thin Films

  • Yang, Sung-Ho;Park, Yong-Pil;Kim, Gwi-Yeol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4-105
    • /
    • 2000
  • High quality BSCCO thin films have been fabricated by means of an ion beam sputtering at various substrate temperatures, T$_{sub}$, and ozone gas pressures, PO$_3$. The correlation diagrams of the BSCCO phases appeared against T$_{sub}$ and PO$_3$are established in the 2212 and 2223 compositional films. In spite of 2212 compositional sputtering, Bi2201 and Bi2223 phases as well as Bi2212 one come out as stable phases depending on T$_{sub}$ and PO$_3$. From these results, the thermodynamic evaluations of ΔH and ΔS which are related with Gibbs'free energy change for single Bi2212 or Bi2223 phase are performed.ormed.i2212 or Bi2223 phase are performed.

  • PDF

Thermodynamics for Formation of Each Stable Single Phase in Bi-superconductor Thin Films

  • Park, Yong-Pil;Kim, Gwi-Yeol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64-68
    • /
    • 2001
  • High quality BSCCO thin films have been fabricated by means of an ion beam sputtering at various substrate temperatures, T$\_$sub/, and ozone gas pressures, PO$_3$. The correlation diagrams of the BSCCO phases appeared against T$\_$sub/ and PO$_3$ are established in the 2212 and 2223 compositional films. In spite of 2212 compositional sputtering, Bi2201 and Bi2223 phases as well as Bi2212 one come out as stable phases depending on T$\_$sub/ and PO$_3$. From these results, the thermodynamic evaluations of ΔH and ΔS, which are related with Gibbs' free energy change for single Bi2212 or Bi2223 phase are performed.

  • PDF

Thermodynamics for Formation of Each Stable Single Phase in BSCCO Thin Films

  • Yang, Sung-Ho;Park, Yong-Pil;Kim, Gwi-Yeol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4-107
    • /
    • 2000
  • High quality BSCCO thin films have been fabricated by means of an ion beam sputtering at various substrate temperatures, T$\_$sub/, and ozone gas pressures, PO$_3$. The correlation diagrams of the BSCCO Phases appeared against T$\_$sub/ and PO$_3$ are established in the 2212 and 2223 compositional films. In spite of 2212 compositional sputtering, Bi2201 and Bi2223 phases as well as Bi2212 one come out as stable phases depending on T$\_$sub/ and PO$_3$. From these results, the thermodynamic evaluations of ΔH and ΔS which are related with Gibbs' free energy change for single Bi2212 or Bi2223 phase are performed.

  • PDF

Carbogen 흡입하에서 Fluosol-DA 20%의 투여가 이식동물 종양의 산소분압에 미치는 영향 (Improving Oxygenation in the Murine Tumors by a perfluorochemical Emulsion (Fluosl-DA $20\%$)

  • 이인태;김귀언;송창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1-6
    • /
    • 1990
  • SCK 종양세포를 이식받은 mice에 Fluosol-DA $20\%$를 정맥주사한 후 이 종양세포를 추출하여 in vitro 실험으로 측정해 본 방사선 체포생존곡선의 Do와 Dq의 값은 Fluosol-DA $20\%$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대동소이하여 Fluosol-DA $20\%$가 방사선 감수성 자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해석되었다. 또한 Fluosol-DA $20\%$만을 투여한 종양의 산소분압($PO_2$)에는 별 변화가 없었으나 Fluosol-DA $20\%$를 Carbogen 흡입하에 투여시킨 종양에선 대조군의 산소분압 중앙값 4 mmHg가 62mmHg로 10배이상 증가되어 reoxygenation effect를 직접 증명할 수 있었고 hypoxic cell fraction도 약 8배정도 감소됨을 규명하였다. 한편 Carbogen만을 단독으로 흡입시킨 종양의 경우에도 산소분압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Fluosol-DA $20\%$ 병용군보다는 산소분압상승 효과가 미약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Fluosol-DA $20\%$에 의한 방사선 반응의 향상은 방사선 감수성의 증가보다는 reoxygenation의 결과이며 reoxygenation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Fluosol-DA의 단독투여보다는 Car-bogen 흡입하에서 Fluosol-OA $20\%$의 투여가 이상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분무 및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서브마이크론 입자의 대전량 분포 (Charge Distribution of Submicron Particles Charged by Spray Electrification or Corona Discharge)

  • 이재복;배귀남;황정호;이규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1호
    • /
    • pp.124-132
    • /
    • 2001
  • This paper reports on the charge distribution measurements of submicron particles for three different charging mechanisms, which are spray electrification, bipolar ionization and corona discharge process, respectively. The number of elementary charges per particle was investigated by classifying and counting of a discrete mobility class. Charge distribution measurements were performed with NaCl particles generated from a collision atomizer for 0.01, 0.1, 1% NaCl solution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n charge level of atomized NaCl particles is high and decreases with increasing the dissolved ion concentration. The charge level of the atomized NaCl particles can be reduced to that o Boltzmann equilibrium conditions by the bipolar ionization(Po(sup)210 bipolar ionizer). The charge level on NaCl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corona discharge reactor is much higher than those of atomized or bipolar ionized NaCl particles. The evaluation of these measurements results in charge distribution of the submicron particles.

새로운 스위칭 함수를 이용한 브러시리스 직류 전등기의 가변 구조 위치 제어기 설계 (The Design of Variable Structure Position Controller for Bushless DC Motor Using New Switching Function)

  • 천희영;박귀태;고보형;이상락;송명현;여형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6-339
    • /
    • 1990
  • This paper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VSCS(Variable Structure Control System) to position control of a trapezoidal type brushless DC motor. In order to simplify the overall control system and to improve the robustness, a new switching function which is composed of linear combination of only measurable state variables Sr(x) and Sr(x) is defined. The proposed new switching function is implemented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DSP). A general PWM amplifier is replaced by an ON-OFF pattern generator for the hardware simplification and digitalization. Experimental results are given to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ontrol method.

  • PDF

A New Record of a Spot-fin Porcupinefish, Diodon hystrix (Diodontidae, Pisces) off Jeju Island, Korea

  • Kang, Jung-Ha;Kim, Yi-Kyung;Park, Jung-Youn;Yu, Hyo Jae;Ryu, Jung-Hwa;Kim, Jin-K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381-384
    • /
    • 2014
  • A single specimen belonging to the family Diodontidae was collected from Seo-gwi-po, Jeju Island, Korea in July 2013 and was identified as Diodon hystrix Linnaeus, 1758, a species new to the Korean fish fauna.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14 dorsal fin rays, 14 anal fin rays, spines on the dorsal and ventral surfaces of the caudal peduncle, and many small black spots on all fins except the anal fin. The most similar species, Diodon holocanthus, is well distinguished from D. hystrix by the absence of black spots on the dorsal and caudal fins, and the lack of a spine on the dorsal surface of the caudal peduncle. Accordingly, we describe herein the morphological traits of D. hystrix and suggest its new Korean name, "Jan-jeom-bak-i-ga-si-bok".

Trichoderma harzianum 유래 ${\beta}$-mannanase에 의한 Locust Bean Gum 가수분해 올리고당의 동정 및 Bifidobacterium spp.에 대한 생육활성 (Identification and Growth Activity to Bifidobacterium spp. of Locust Bean Gum Hydrolysates by Trichoderma harzianum ${\beta}$-mannanase)

  • 김유진;박귀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364-369
    • /
    • 2005
  • Trichoderma harzianum이 생산하는 ${\beta}-mannanase$의 최적 사면배지조성은 2.0% malt extract, 2.0% glucose, 0.1% peptone, 2.0% agar로, 효소생산 배지조성은 3.0% cellulose, 3.0% C.S.L, 1% $KH_2PO_4$, 0.2% $(NH_4){_2}SO_4$로 결정되어 $28^{\circ}C$, 130 rpm, 진탕배양법으로 조효소액을 생산하였다. ${\beta}-mannanase$의 최적 pH와 최적온도는 pH 4.5, $60^{\circ}C$에서 최대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Locust bean gum에 대한 효소적 가수분해 pattern을 TLC에 의해 검토한 결과 반응초기부터 반응말기까지 주요 생성물은 단당류, 중합도 4와 7의 올리고당으로 확인되었다. 중합도별 올리고당을 조제하기 위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250 ml/hr유속으로 tube당 20 ml씩 ethanol $0{\sim}50%$의 gradient법으로 분리 회수하였고, 분리된 각각의 올리고당 중 중합도4는 TLC $R_f$ value상으로 ${\beta}-1,4-mannotetraose$로, 중합도 7은 Methylation method에 의해 M-M-M-M-M 구조로 //G-G 동정되었다. (G-와 M-은 각각 ${\alpha}-1,6-D-galactosidic,\;{\beta}-1,4-mannosidic$ 결합을 나타냄). Bifidobacterium longum에 대한 생육활성을 기존의 MRS media와 탄소원으로 중합도 4와 7의 올리고당으로 대체하였을때 3.4배, 4.3배의 생육활성이 증가하였고, Bifidobacterium bifidum에 대해서는 1.2배, 1.1배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탈북학생과 지도교사의 수학 교수·학습 인식 조사 (Examining SENKs' and Teachers' Recognition about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나귀수;박경미;박영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63-77
    • /
    • 2016
  • 탈북학생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수학포기자'의 유발 요인에 노출되어 있을 뿐 아니라 탈북학생 고유의 어려움까지 가중되어 수학학습과 관련된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인 탈북학생들과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여 남한과 북한의 수학 학습 비교, 수학 학습의 어려움, 수학 내용 이해를 위한 노력, 수학 지도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학 학습에 있어서의 탈북학생들의 어려움은 수학 용어의 차이, 수업 시간에 사용하는 문제 상황의 생소함, 빠른 수업 진행과 충분한 연습 시간의 부족, 선수 학습 결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이해가 어려운 단원으로는 분수의 연산, 그리고 원기둥의 겉넓이와 부피 단원을 꼽았다. 지도교사들은 탈북학생 지도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기초 지식 부족으로 처음부터 세세하게 가르쳐야 할 것이 많다는 점, 문화적 경험의 차이로 인한 문제 상황이해의 어려움, 전체적으로 학습 의지가 낮은 점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탈북학생 지원방안으로는 남북한의 상이한 교육과정 고려, 동료 교수법, 개별 지도, 탈북학생 맞춤형 언어적 표현, 반복 연습 기회 제공과 철저한 과제 점검, 구체화된 경험의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