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wangyang Bay reg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The Effects of Female Shell Size on Reproductive Potential of the Egg Capsule in Rapa Whelk Rapana venosa in Three Regions of Different Salinities

  • Chung, Ee-Yung;Park, Kwan Ha;Lee, Chang-Hoon;Park, Young Jae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1호
    • /
    • pp.25-35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hell height on reproductive potential of the female Rapana venosa in three regions of different salinities (the coastal zone of the Gwangyang Bay (S-1); the upper reaches (S-3); lower reaches (S-2) of the Seomjin River). The number of egg capsules, egg capsule height, and fecundity associated with reproductive potential of larger female rapa whelks were higher than those of smaller individuals in all three regions.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g capsule and female shell height. Mean of shell heights, egg capsule heights, the number of egg capsules in an egg mass, and fecundity in an egg capsule produced from female individuals inhabiting S-1 region were markedly higher than those inhabiting S-2 and S-3 regions. In particular, the fecundity of the rapa whelk increased with the salinity and shell height. Although large rapa whelks produced a large number of egg capsules at S-1 region, those at S-3 habitat laid less egg capsules with smaller size. If these rapa whelks were put into S-2 region, the number of egg capsules produced by a female at S-2 region was slightly larger than those produced by a female at S-3 region. This provides a clear evidence that the number of the egg capsules can be controlled by the salinity. In the coastal zone of the Gwangyang Bay and the upper reaches of Seomjin River, the fecundity of this species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82,000-1,302,000 eggs/ind./yr.

광양만권역에서의 자료동화된 대기 유동장이 대기 오염 물질의 확산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Effects of Atmospheric Flow Fields Using SurFace Observational Data on Dispersion Fields of Air Pollutants in Gwangyang Bay)

  • 이화운;원혜영;최현정;김현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9-178
    • /
    • 2005
  • A critical component of air pollution modeling is the representation of atmospheric flow fields within a model domain, since an accurate air quality simulation requires an accurate portrayal of the three-dimensional wind field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data assimilation using surface observational data in the complex coastal regions to simulate a realistic atmospheric flow fields. Surface observational data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Near coastal region, Far coastal region 1, Far costal region 2) by the locations where the sites are. Experiments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observational stations and MM5/CALPUFF was used. The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 of atmospheric flow fields are used as input data for CALPUFF which predicts dispersion fields of air polluta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ata assimilation using data in the far coastal region 2 provided an attractive method for generating realistic meteorological fields and dispersion fields of air pollutants in Gwangyang area because data in the near coastal region are variable and narrow representation.

광양만 해양바이러스 개체수와 물리화학적 요인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Fluctuations of Marine Viral Abundance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 Gwangyang Bay)

  • 최은석;이건섭;김동균;오정균;박종범;정영재;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615-5622
    • /
    • 2012
  • 광양만의 3개의 다른 지역에서 바이러스 개체수와 물리화학적 요인의 계절적 분포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바이러스의 형태적 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부분의 해양바이러스는 박테리오파지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었으나, 일부는 진핵 미세조류 바이러스인 Ectocarpus siliculosus virus (EsV)와 유사하였다. 그룹 1 (폐쇄된 부영양 지역)에서의 바이러스 개체수는 그룹 2 (폐쇄된 빈영양 지역) 및 그룹 3 (개방된 빈영양 지역)에서의 바이러스 개체수보다 높았다. 그룹 1 바이러스의 계절적 개체수는 크게 변화하였다. 바이러스 개체수는 8월에 가장 높은 $7.33{\times}10^8ml^{-1}$에서 12월에 가장 낮은 $0.3{\times}10^8ml^{-1}$로 변화하였고, 봄과 가을에는 중간값을 유지하였다. 질소원 및 인산원의 농도는 바이러스 개체수에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용존산소의 계절적 변화는 바이러스 개체수와 반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광양만에서의 해양바이러스 개체수가 물리화학적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해양환경 공간분포 패턴 분석을 위한 공간자기상관 적용 연구 - 광양만을 사례 지역으로 - (Application of Spatial Autocorrelation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alysis of Marine Environment - Case of Gwangyang Bay -)

  • 최현우;김계현;이철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60-74
    • /
    • 2007
  • 해양환경의 시공간적 분포 패턴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남해 광양만 해양환경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글로벌 및 국지적 공간자기상관 통계를 적용하였다. 연구지역 전체의 해양환경 분포 패턴을 이해하기 위해 Moran's I, General G와 같은 글로벌 공간자기상관 지수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피쳐(feature)와 이웃 피쳐들과의 유사성 정도를 측정하고 hot spot 및 cold spot을 탐지하기 위해 국지적 Moran's I ($I_i$), $G_i{^*}$와 같은 LISA(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를 사용하였고, 공간 군집 패턴의 신뢰성은 Z-score를 통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공간 통계 결과를 통해 년 중 해양환경 공간분포 패턴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알 수 있었는데, 일반 해양수질, 영양염, 클로로필 및 식물플랑크톤은 여름철에 강한 군집 패턴을 보였다. 글로벌 지수에서 강한 군집 패턴을 보였을 때 속성 값의 공간적인 변화가 심한 음적 $I_i$ 값을 가지는 전선지역이 탐지되었다. 또한, 글로벌 지수에서 임의적 패턴을 보였을 때 국지적 지수인 $G_i{^*}$에서는 좁은 지역에서 hot spot과(또는) cold spot이 탐지되었다. 따라서 글로벌 지수는 연구 지역 전체 군집 패턴의 강도와 시계열적 변화 과정 탐지에, 국지적 지수를 통해서는 hot spot과 cold spot 위치 추적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해양환경 공간분포 패턴과 군집 특성을 정량화는 것은 해양환경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패턴의 원인을 찾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항공기를 이용한 남해안 지역의 오존 공간분포 조사 (2009년, 여름철) (The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of Ozone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using the Aircraft (2009, Summer))

  • 서석준;김소영;이민도;최진수;김수연;이석조;김정수;이강웅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2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stribution of ozone concentration in the south coastal region of Korea by evaluating ozone spatial distribution in the upper air using aircraft. Sampling was carried out from May to August in 2009.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ozone in the upper air was ranged from 32.3~90.8 ppb with its maximum concentration of 132 ppb. When it comes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zone, ambient concentration was high in the air, 1,000 m and 500 m above the southern sea near the Gwangyang Bay area and emission sources, respectively. Daily mean concentration of NOy was 6.7~24.2 ppb and that of CO was 0.152~0.487 ppm.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was appeared to be relatively high in the upper air of industrial regions and the southern seas. Meanwhile, the concentration of both $NO_y$ and CO was high in the upper air of the emission sources regardless of latitude. As for PAN, its daily mean concentration ranged between 0.1 and 0.6 ppb with overall mean concentration of 0.2 ppb.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VOCs was 48 ppb, and the concentration of toluene and m,p-Xylene were higher than other components.

광양만 권역의 영역 설정에 따른 입자확산 및 대기질 수치모의 비교 (Numerical Simulation and Comparison of Particle Dispersion and Air Quality with Domain Setting of Gwangyang Bay Area)

  • 이현미;이화운;이순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91-605
    • /
    • 2010
  • Recirculation of airmass in coastal region occurs because of the change from land to sea breeze and was shown to produce a contrary result on air quality. This study examines the numerical simulation to analyze the effect of recirculation flow in Gwangyang Bay, Korea. For this purpose two case studies are performed by the WRF-FLEXPART-CMAQ modeling system, each for a different Meso-Synoptic Index. Additionally this research make a comparative study of large domain (Domain L) and small domain (Domain S). The horizontal wind fields are simulated from WRF. Changes in the land-sea breeze have an effect on the particle dispersion modeling. The numerical simulation of air qualit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circulation of ozone. Ozone is transported to eastward under strong synoptic condition (Case_strong) because of westerly synoptic flow and this pattern can confirm in all domain. However ozone swept off by the land breeze and then transported to northward along sea breeze under conditions of clear sky and weak winds (Case_weak). In this case re-advected ozone isn't simulate in Domain S. The study found that recirculation of airmass must be concerned when numerical simulation of air quality is performed in coastal region, especially on a sunny day.

광양지역의 물류도시 발전 전략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Strategies for Activating the Gwangyang Region as a Logistics City)

  • 김명규;김현덕;박두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27-732
    • /
    • 2013
  • 광양항은 '98년 개장 이후 현재 16개 선석(5만 톤급 12선석, 2만 톤급 4선석)을 운영 중에 있다. 특히 광양지역은 광양만권의 핵심역할을 하는 광양항이 위치하고 있다. 본 논문은 광양지역의 물류도시 발전 전략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SWOT/AHP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수익 창출형 물류 비즈니스 모델 창출, 항만기능과 연계된 국제적인 배후물류단지 개발, 공동물류창고 운영 등의 비용절감형 물류 비즈니스 모델 창출, 자유무역지역의 고부가가치화 전략 그리고 광역항만클러스터 조성 등에 우선순위를 두고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도출된 우선순위에 대한 논리적 타당성 검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주기로 동일한 설문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회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보다 심도 있는 심층면접이나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통해 전략이 보완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고 보완할 수 있는 보다 심층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 남해 연안 광양만 표층 퇴적물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과의 비교 (Relationship Between Dinoflagellate Cyst Distribution in Surface Sediments and Phytoplankton Assemblages from Gwangyang Bay, a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 김소영;문창호;조현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111-120
    • /
    • 2003
  • 광양만의 와편모조류 시스트를 연구하기 위하여 2001년 8월 24일 광양만의 20개 정점에서 TFO 채니기를 이용하여 표층 퇴적물과 식물플랑크톤 조사를 위한 표층 해수를 채수하였다. 퇴적물을 분석한 결과,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gonyaulacoid 그룹 11종, protoperidinioid 그룹 13종, diplopsalid그룹 2종, gymnodinioid 그룹 2종, 그리고 tuberculodinioid그룹 1종, calciodinellid 그룹 1종으로 총 IT속 30종이 동정되었다.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115∼2,188cysts/g의 농도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 전반적으로 조사해역의 서쪽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시스트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북서쪽에 위치한 정점 11로서, 11속 18종(2,188 cysts/g)의 시스트가 발견되었으며, 반면에 가장 낮게 나타난 지역은 조사해역의 중앙부에 위치한 정점 3으로, 6속 9종(115 cysts/g)의 시스트가 발견되었다. 가장 많이 발견된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SPiniferites bulloideus였으며, Alexandrium sp., Brigantedinium simplex, S. delicatus 등이 우점하였다. 퇴적물 시료에 기록된 8종의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유영세포가 해수 시료에서도 발견되었다: Polykrikos swartzii/kofoidii complex, Scripssiella trochoidea, Protoperidinium claudicans(cyst name: Votadinium spinosum), P. pentagonum(: Trinovantedinium capitatum capitatum), P. conicum(: Selenopemphix quanta), P. leonis(: Quinquecuspis concretum), P. conicoides(: Brigantedinium simplex), Gonyaulax spp.(: Spiniferites spp.). 본 연구에서 퇴적물 시료의 타가영양 와편모조류 시스트 농도가 가장 높은 정점과 표층 해수 시료의 규조류 현존량이 가장 높은 정점이 일치하였다. 이는 부영양화로 인해 영양염류가 증가한 해역에서 규조류가 많이 증식하고, 뒤이어 이를 먹이로 하는 타가영양 와편모조류도 증식함에 따라, 많은 양의 타가영양 와편모조류 시스트가 퇴적물에 집적되는 현상이 장기간에 걸쳐 진행된 결과로 생각된다 앞으로 해역의 부영양화와 퇴적물의 타가영양 와편모조류 시스트와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표층수의 식물플랑크톤과 퇴적물의 와편모조류 시스트에 대한 장기간 모니터링에 따른 연속적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라그랑지안 입자확산모델을 이용한 광양만 권역에서의 공기괴 재순환현상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Recirculation of Air Mass in the Coastal Region Using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 이화운;이현미;이순환;최현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7-170
    • /
    • 2010
  • Air mass recirculation is a common characteristic in the coastal area as a result of the land-sea breeze circulation. This study simulates the recirculation of air mass over the Gwangyang Bay using WRF-FLEXPART and offers a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 domain size that can reflect recirculation. For this purpose, WRF is set up four nested domains and three cases are selected. Subsequently FLEXPART is operated on the basis of WRF output. During the clear summer days with weak wind speed, particles that emitted from Yeosu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Gwangyang iron works flow into emission sources because of the land-sea breeze. When land-sea breeze is strengthen, the recirculation phenomena appears clearly. However particles aren't recirculated under weak synoptic condition. Also plume trajectory is analyzed and as a consequence, the smallest domain area have to be multiplied by 1.3 to understand recirculated dispersion pattern of particles.

Depositions of Egg Capsules by Female Shell Heights and Comparisons of Sizes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ies of the Female Rapa Whelk Rapana venosa in Three Different Salinity Concentration Regions

  • Lee, Il Ho;Chung, Ee-Yung;Son, Pal Won;Lee, Ki-Young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9-153
    • /
    • 2014
  • We investigated fecundities in egg capsules and sizes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ies in female Rapana venosa in three different salinity concentration regions (S-1, S-2, and S-3). In three different salinities, egg capsule heights, the number of egg capsules and the number of eggs and embryos were remarkab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female shell heights (or ages) and also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salinity concentrations. Heights of egg capsules, the number of egg capsules and fecundities (the number of eggs and embryos) were the maximum at S-1 (Gwangyang Bay (average 31.5 psu)) and the minimum at S-3 (the upper reaches of Seomjin River (average 15.5 psu)). Total numbers of fecundities of R. venosa $individual^{-1}year^{-1}$ were about $1{\times}10^6$ at S-1 region, about $8{\times}10^5$ at S-2 region, and about $2{\times}10^5$ at S-3 region. Rates (50%) of individuals reaching first sexual maturities in three different salinity regions (S-1, S-2 and S-3) were over 50% in females measuring 7.1-8.0 cm in shell height (considered to be two years old), and 100% in those > 10.1 cm (considered to be five years old). Biological minimum sizes ($RM_{50}$) in females in three different regions are 72.0 mm SH at S-1 region, 70.9 mm SH at S-2 region, and 74.6 mm SH at S-3 region, respectively. Exceptionally, smaller individuals (considered to be one year old) were participated in re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