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unsan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23초

축산폐수의 고온호기성 소화공정에서의 반응동력학 연구 (The syudy of reaction kinetics in the thermophilic aerobic digestion process of piggery wastewater)

  • 김용관;김석원;김백제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97-102
    • /
    • 2007
  • 축산폐수는 유기물 및 질소분의 농도가 높아 발생량에 비해 오염 부하량이 큰 폐수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축산폐수에 고온호기성소화공정을 적용하여 고농도의 질소분의 제거효율을 조사해 보았다. 실험은 체류시간과 공기주입량을 변화시켜가며 수행하였다. 반연속식으로 운전된 본 실험 결과 높은 SCOD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반면 TCOD의 경우 SCOD보다는 적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질소분의 제거의 경우 HRT 3 days일 때 79%의 NH4-N이 제거되었으며, 체류시간이 감소하면서 그 제거량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기간 중 수행된 가스분석에 있어서 유입된 질소분 중 일부가 N2O gas로 전환됨을 발견하였으며, 따라서 생물학적 탈암모니아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기간 중 반응조 내에 NO2 및 NO3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HRT 3 days의 경우 유입된 질소 중 213.4%가 N20 gas로 전환되었으며, HRT 0.5 day 의 경우 4.5% 가 N2O gas로 변환되어 체류시간이 감소할수록 생물학적인 N2O gas 전환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간보간법을 이용한 전라북도 서해안 지역의 지하수 염소이온 분석 (The Analysis of Chloride Ion of Ground Water in the West Coast District of Jeollabuk-Do using Spatial Interpolation)

  • 이근상;임동길;최연웅;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3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보간법을 이용하여 전라북도 서해안지역의 지하수관정 염소이온 농도를 분석하였다. 특히 해수침투를 평가하기 위해 지하수관정중 검정점을 지정하였으며, 역거리가중치, 스플라인 그리고 크리깅 보간법에 의한 염소이온 농도의 오차특성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으로서 첫째, 485개 지하수 관정의 염소이온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 보간법의 오차특성을 분석한 결과 IDW 방법이 해수침투에 의한 염소이온 농도를 추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지역의 평균 염소이온 농도를 분석한 결과, 군산시가 $541mg/{\ell}$로서 공업용수 수질기준에도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제시와 고창군은 먹는물 수질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안군은 $272mg/{\ell}$로서 먹는물 수질기준에 약간 미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행정구역별 분석에서 군산시는 서해안에 접해 있는 대명동, 중동, 장재동, 금암동의 평균 염소이온 농도가 매우 높게 분석 되었으며, 만경강과 접해 있는 회현면과 대야면도 공업용수 수질기준에도 미달하는 등 전반적으로 해수침투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으로 생육한 생쥐간에서 백삼과 홍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on Liver of High Fat Diet-treated Mice)

  • 전보현;성금수;전승기;성종환;장재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38-1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high fat diet에 대한 인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동물로 생쥐를 이용하였다. 대조군은 일반사료만을, FD군은 high fat diet만을 먹였으며, 실험군은 high fat diet와 인삼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후 간 조직에서의 SOD, catalase, GPS의 활성 및 MDA 및 $H_2O_2$ 함량 등을 측정함으로서 fat diet독성에 대한 지질과산화와의 상호 관련성, 인삼의 항산화 효소의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Fat diet 독성에 대한 항산화 효소인 SOD의 활성은 인삼 추출물 군에서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GPx의 활성은 FR500, FR3000군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과산화수소 함량은 FD군에서 약간 높았지만, 모든 군에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자유라디칼에 의해 생성된 지질과산화의 최종 산물인 MDA의 함량은 FD군을 기준으로 인삼추출물 군에서 모두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와 같이 fat diet에 대한 인삼 추출물은 SOD의 활성 증대보다는 자유라디칼 제거제로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고 생각하고, GPx의 직접적인 작용과 생체 내에서 내인성 항산화 물질인 GSH의 합성 능력을 강화시킴으로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을 향상시키는 결과라고 생각한다.

전라북도 군산시 산북동층에서 발견된 백악기 새 발자국 화석 (Bird Tracks from the Cretaceous Sanbukdong Formation, Gunsan City, Jeollabuk-do, Korea)

  • 정동권;김정빈;조규성;김경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6-4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군산시 백악기 산북동층의 전석에서 발견된 소형 새 발자국 화석을 간략히 기재하고,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을 포함한 산북동층 퇴적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산북동층 응회암질사암에서 쇄설성 저어콘을 분리하여 SH RIMP U-Pb법 절대연령 분석을 실시하였다. 소형 새 발자국 화석은 보존상태가 양호하지 않으나, 보행렬을 이루는 두 개의 발자국과 세 개의 개별 발자국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물갈퀴가 없고, 비대칭이며 가느다란 세 개의 발가락으로 걷는 소형 새 발자국이다. 보행렬을 이루는 발자국은 Koreanaoris dodsoni?, 개별 발자국은 Koreanaornis ichnosp.로 동정하였다. 본 연구는 산북동층 사족동물 발자국 화석 군집이 수각류, 조각류, 익룡과 새 발자국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의미한다. 절대연대 분석 결과, 산북동층 퇴적시기의 최대지질연대는 112.5±5.8 Ma로 중생대 백악기 압트절(Aptian)에 해당하며, 경상분지 진주층 하부에 대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산북동층의 백악기 소형 물떼새 발자국 화석(Koreanaornis)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GIS와 UBIQUITOUS (GIS & UBIQUITOUS)

  • 정종권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2권)
    • /
    • pp.169-175
    • /
    • 2006
  • 기존의 종이지도가 아닌 전자지도(수치지도) 내에 필요로 하는 (속성)정보를 입력하여 체계적으로 구축한 데이터를 이용, 업무의 효율 및 통계적 관리가 가능토록 해주는 GIS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한 유비쿼터스(Ubiquitous)의 이용분야와 개발현황을 확인함으로써 해상교통안전시설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 PDF

Preparation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s of Superparamagnetic Maghemite Nanoparticles

  • Yoon, Sunghyu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9권4호
    • /
    • pp.323-326
    • /
    • 2014
  • Superparamagnetic maghemite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chemical co-precipitation, followed by a temperate oxidation stage, and investigated using FE-SEM, XRD, TGA, VSM, and M$\ddot{o}$ssbauer spectroscopy. Through SEM image and XRD analysis, its average particle size was found to be 13.9 nm. While VSM magnetic measurement showed typical superparamagnetic behavior at room temperature, M$\ddot{o}$ssbauer spectroscopic investigation revealed that non-vanishing magnetic hyperfine structure were retained. Cation distribution estimated from M$\ddot{o}$ssbauer spectroscopy confirmed the formation of maghemite nanophase in the sample.

Determination of the Size Distribution of Magnetite Nanoparticles from Magnetic Measurements

  • Yoon, Sung-Hyu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6권4호
    • /
    • pp.368-373
    • /
    • 2011
  • Particle size distributions in 10 nm magnetite ferrofluids are analyzed based on both dc and ac magnetic measurements. Modified log-normal distributions are used for fit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hich allows for a proper account of the narrow distributions. The calculated average particle size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TEM results. However the ac method gives a much narrower distribution width than that of the dc magnetization curve fit. The proposed measurements combined with the analysis methods are useful for the characterization of ferrofluids being considered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 newly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Pennisetum flaccidum Griseb. (Poaceae)

  • Kim, Chang-Seok;Lee, Jeongran;Lee, In-Yong;Han, Young-Wo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223-226
    • /
    • 2013
  • Pennisetum flaccidum Griseb. (Poaceae) is native to Central Asia. While monitoring Poaceae weeds nationwide in Korea, we found its new naturalized distribution in Gunsan, Jeonrabuk-do. The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P. alopecuroides var. alopecuroides by subsessile involucres and plumose bristles. We provide the first documented record of P. flaccidum Griseb. for Korea with the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We also provide a taxonomic key to the species of Pennisetum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