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ruditapes philippinarum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6초

곰소만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성장 (Growth status of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mso Bay)

  • 박종수;김선용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230-236
    • /
    • 2009
  • 2003년 2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잔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대죽도 부근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성장에 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바지락의 패각에 나타난 윤문은 연1회 형성되며 윤문형성시기는 1월에서 3월사이로 조사되었다 2. 초륜 형성 시기는 19개월(1.58년)로 나타났다. 3. 각고에 대한 각장,각폭 및 총중량사이의 상대성장관계식은 각각 ${\bullet}$ SL=1.0027SH+5.812, ${\bullet}$ SW=0.5120H+1.2849, ${\bullet}\;TW=2.8x10^{-3}SH^{2.3648}$ 이었다. 4. 연령에 대한 각고와 총중량으로부터 구한 von Bertalanffy성장식은 ${\bullet}\;SH_t=42.83(1-e^{-0.4595(t-0.591)})$이고, ${\bullet}\;TW_t=20.17(1-e^{-0.4595(t-0.59)})^{2.3648}$이다.

통영 연기해역의 바지락자원 적정관리에 관한 연구 (Ecologically Sustainable Management of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on the Coast of Yeongi at Tongyeong, Korea)

  • 조상만;정우건;이상준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9-197
    • /
    • 2008
  • In order to develop the sustainable ecological management,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were collected from Yoengi coast in Tongyoeng, Korea. The growth of the clam was estimated as: $L_f=68.08{\cdot}(1-e^{-0.145(t+0.324)})$ from ring radius composition of shell. Instantaneous co-efficiency of total mortality and natural mortality were calculated as: 0.991/year and 0.494/year, respectively. The age of the clams from the first capture was estimated to be 3.28. The total biomass was estimated to be 212 MT in the fisheries area (6.4 ha). Applied by these parameters, the annual recruit biomass and the current yield per recruit were calculated to be 649.5 individual/$m^2$ and $0.7\;g/m^2$, respectively. The current fishing intensity was much lower for maximum sustainable yield and acceptable biological catch. Although higher yield per recruit could be achieved by increasing fishing intensity, it is favorable to retain the current fishing intensity because of the unique fishing attitude on Yeongi coast in Tongyoeng, Korea.

  • PDF

완도 영흥지선 연안의 천연 바지락 자원에 대한 연구 (Study on natural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stocks in Yeongheung coast of Wando Island, Korea)

  • 조상만;이종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9-116
    • /
    • 2012
  •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troduction of oyster rack culture on natural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stock,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natural clam stock prior to introduction of oyster rack culture at Yeongheung Coast of Wando Island. The growth equation of the clam was estimated as: $L_t=61.46{\cdot}(1-e^{-0.172(t+0.155)})$ from ring radius composition of shell.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total mortality and natural mortality were calculated as: 2.4087/year and 0.478/year, respectively. The age at first capture was estimated to be 2.55 year. The total biomass was estimated to 3.23 ton in the bed (0.8 ha). Applied by these parameters, the annual recruit biomass and the current yield per recruit (Y/R) was corresponded to $114.7individuals/m^2$ and $92.0g/m^2$, respectively.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 was estimated 0.77 ton/year which was close to annual catches, 0.74 ton/year, in the area.

곰소만 갯벌에서 양식되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성장 (Growth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cultured in Gomso tidal flat, Korea)

  • 임현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9-195
    • /
    • 2016
  • 2000년 8월부터 2002년 7월까지 한반도 남서연안 곰소만 바지락 양식장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성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조사기간동안 서식밀도는 평균 1,224 개체/$m^2$ 로서 2000년 11월에 최고 밀도를 보인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월별 각장 빈도분포는 단일 모드형으로 중앙값은 시간경과에 따른 각장 성장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하였다. 바지락의 각장 성장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2001년 7월 이후부터 2002년 2월까지는 성장이 둔화하였고 2002년 3월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무게 또한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2002년 3월 이후 증가폭이 컸다. 각장과 각고와의 상관관계는 직선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으며, 각장과 전중, 육질습중량, 건육중량 및 AFDW와의 관계식은 지수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다. 비만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2001년 4월 이후에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2002년에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비만도 증감으로부터 2001년도 곰소만 양식장 바지락의 산란은 연 1회 5-10월 중으로 파악된다. 또한 곰소만 양식 바지락은 종패 살포이후 24개월 이후부터는 여름철 이전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산도 진두해역 양식 바지락의 자원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f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the Jindu Coast of Hansan Island, Korea)

  • 조상만;정우건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30
    • /
    • 2007
  • 양식생물의 최적생산을 위해서는 적극적 관리 외에도 환경 개선과 지속적으로 최대생산을 위하여 수산자원학적 관리방안도 함께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양식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어느 시기에 어느 정도의 사이즈의 생물을 선택적으로 채취하여야 할 것인가는 양식생산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영시 한산면 진두연안의 바지락양식장의 양성중인 바지락자원의 자원학적 특성치로부터 가입당 생산량 모델을 구현하였고, 이 모델을 통해 현재의 양식생물 이용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어업형태에 따른 $t_c$와 F를 적용하면, 가입당 생산량은 3.46 g에 해당하였지만, $t_c$의 경우 3.48 세까지, F의 경우 0.9295/yr까지 증가시키면 약 5% (3.63 g)의 생산증대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채취시기를 연장함에 따른 사육소요기간의 장기화 및 자연사망계수의 변동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현재의 어업행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치패의 수온내성과 바닥기질에 따른 성장 (Tolerance against Water Temperature and Growth of Ruditapes philippinarum Spats in Different Substrates)

  • 민광식;이승주;김병학;박기열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1-124
    • /
    • 2004
  • 바지락 치패의 수온내성 실험 결과, 생존율은 15$^{\circ}C$, 20$^{\circ}C$, 25$^{\circ}C$ 및 30$^{\circ}C$의 수온에서 각각 99.7%, 91.0%, 88.7% 및 73.3%로 나타났으며, 수온 35$^{\circ}C$에서는 전량 폐사하였다 (p < 0.05). 수온상승 및 하강 (5$^{\circ}C$, 10$^{\circ}C$, 15$^{\circ}C$) 자극 실험 결과, 수온하강에 대한 치패성의 내성은 강했으나, 수온상승의 경우 온도차가 클수록 폐사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서로 다른 바닥기질에서 평균 각장 240.4 ${\pm}$ 9.30 ${\mu}$의 착저기 유생을 사육한 결과, 성장은 염화비닐파판 기질에서 3.9 ${\pm}$로 가장 빨랐으며, 수조저면과 모래기질에서 각각 3.6 ${\pm}$ 0.3 mm와 3.2 ${\pm}$ 0.3 mm로 나타내었다. 생존율은 모래기질에서 36.7%와 23.3%로 각각 나타내었다. 수조당 생산성 (총중량)은 수조저면에서 26.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모래 및 염화비닐파판기질에서 22.9 g, 20.6 g으로 나타내어 바닥기질 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5). 생산된 바지락 치패의 크기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표준망체로 선별한 결과, 염화비닐파판기질에서 가장 큰 개체군인 각장 3.9 mm 이상의 치패 분포 비율이 56.8%로 가장 높았다.

  • PDF

산지별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성장과 생존율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Survival Rate in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Different Seedling Production Areas)

  • 이용한;장영진;임한규;정갑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3-232
    • /
    • 1996
  • 산지가 다른 3지역의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종패를 재료로 전남 승주군 해룡면 신성포의 바지락 양식장에서 산지별 및 방양밀도별로 성장과 생존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의 수온은 4.5 (1월)${\~}26.0^{\circ}C$ (8월) 범위로 나타났으며, 비중은 1.0216 (8월)${\~}1.0248$ (2월) 범위였다. 산지별 바지락의 양성결과, 각장 성장은 하동산이 $2.30{\pm}0.05$ cm에서 $3.29{\pm}0.02$ cm, 울산산이 $1.32{\pm}0.02$ cm에서 $3.15{\pm}0.02$ cm, 고창산이 $1.24{\pm}0.03$ cm에서 $3.18{\pm}0.02$ cm로 성장하여, 고창산의 성장이 하동산과 울산산에 비해 빠르게 나타났다. 밀도별 양성실험에서 개시시 각장 $1.32{\pm}0.02$ cm 내외였던 것이 실험 종료시 $m^2$당 1,000개체 실험구가 $3.21{\pm}0.02$ cm로 2,000개체 실험구 $2.61{\pm}0.02$ cm 보다 성장이 빨랐으며, 전중도 1,000, 1,500 및 2,000 개체구에서 각각 $5.47{\pm}0.22\;g,\;5.12{\pm}0.788\;g,\;4.62{\pm}1.62\;g$로 나타나 밀도가 낮은 실험구에서 성장이 좋았다. 산지별 바지락의 생존율은 실험 종료시 하동산, 울산산, 고창산이 각각 $69.4\%,\;63.8\%,\;41.7\%$로 고창산이 가장 낮았으며, 밀도별 생존율은 1,000개체, 1,500개체, 2,000개체 실험구가 각각 $70.8\%,\;67.8\%,\;59.0\%$로 밀도가 높을 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β-glucan이 바지락의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β-glucan on immune parameters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 남기웅;박경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3-127
    • /
    • 2015
  • ${\beta}$-glucan은 면역증강제의 하나로 어류를 비롯한 척추동물의 사료첨가제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다당체이다. 본 연구는 척추동물과는 다른 면역체계를 갖고 있는 바지락의 면역반응에 ${\beta}$-glucan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식물플랑크톤이 공급된 해수에 0, 0.1, 1%의 ${\beta}$-glucan을 첨가하고 이 해수에 바지락을 매일 1시간 씩 2주간 노출시켜 먹이 섭식 시 ${\beta}$-glucan이 흡수되도록 하였다. 바지락의 면역력은 혈구의 식세포작용과 혈림프액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정균력을 실험전과 ${\beta}$-glucan을 급이한 2주 후 각 그룹별로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0.1%의 ${\beta}$-glucan에 노출된 바지락의 식세포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뚜렷한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1%의 ${\beta}$-glucan에 노출된 경우 약 30%의 식세포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정균력에 관한 실험에서 ${\beta}$-glucan은 바지락 혈림프액이 Vibrio tapetis, V. parahaemolyticus, V. ordalii 등의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케 함이 확인되었다. 바지락의 사망률 역시 ${\beta}$-glucan에 노출된 바지락에서 낮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beta}$-glucan의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바지락은 ${\beta}$-glucan에 의해 면역력이 상승하였으며, 주사방식이 아닌 해수 침지시에도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광양만산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의 개체군 생물학. II. 성장과 서식환경 (Population of Biology of Short-en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II. Population Dynamics and Secondary Production)

  • 신현출;신상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39
    • /
    • 1999
  • 본 연구는 1994년 6월부터 7월까지 광양만의 조화조간대와 덕산조간대에 서식하는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의 개체군동태와 이차생산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994년 6월부터 1995년 4월까지 각장 빈도분포는 이중모드형을 보였으며, 이 후 단일모드형으로 변하였다. 중앙값은 시간에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이는 각장의 성장을 의미한다. 평균서식밀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다. Chohwa A에서 가장 서식밀도가 높았으며, Chohwa B, Toksan C, Toksan D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새로운 연령군의 가입은 상부조간대에서 먼저 일어나고, 이후 하부조간대로 이동하였다. 각 연령군의 육질부 생물량은 춘계의 산란기 직전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연평균생물량은 Chohwa A에서 170.7 g m$^{-2}$ , Chohwa B에서 220.7 g m$^{-2}$ , Toksan C에서 21.8 g m$^{-2}$ , 그리고 Toksan D에서 45.2 g m$^{-2}$ 를 기록하였다. 육질부 연간 생산량은 Chohwa A에서 259.72 g m$^{-2}$ yr$_{-1}$, Chohwa B에서 359.79 g m$^{-2}$ yr$_{-1}$, Toksan C에서 45.02 g m$^{-2}$ yr$_{-1}$, Toksan D에서 68.88 g m$^{-2}$ yr$_{-1}$를 기록하여 조화조간대의 연생산량이 덕산조간대보다 높았다. 반면에 P:B ratio는 덕산조간대가 1.70으로 조화조간대의 1.58보다 높았다. 즉 잠재적 먹이원의 총량이 많은 조화조간대에 바지락의 서식밀도, 생물량, 생산량이 많았으나, 단위개체당 이용가능한 먹이양과 공간의 관점에서 경쟁이 적은 덕산조간대가 개체의 성장과 P:B ratio가 양호하였다.

  • PDF